시공허용 오차기준
1. 150km급 이하 시공 허용오차 기준
연번 | 구 분 | 기준값 | 허용오차 | 비고 | |
1 | 전철주 | 전철주 건식 km당 | 1,000m | ±500㎜ | |
전철주 건식 경간당 | 설계값 | ±100㎜ | |||
건식게이지 | 설계값 | ±50㎜ | 캔트반영 | ||
2 | 연속되는 인접전주에서 전차선 높이의 차 | ||||
- 본선 | 전주경간 50m | 1/1,000 | ±50㎜ | ||
전주경간 40m | 1/1,000 | ±40㎜ | |||
전주경간 30m | 1/1,000 | ±30㎜ | |||
- 측선 | 전주경간 50m | 3/1,000 | ±150㎜ | ||
전주경간 40m | 3/1,000 | ±120㎜ | |||
전주경간 30m | 3/1,000 | ±90㎜ |
| ||
3 | 합성전차선의 수직경사 간격 | 0 | ±50㎜ | 직선,곡선 | |
4 | 전차선의 편위 | 일반개소 | 표준값 | ±30㎜ | 직선기준 |
승강장 | 표준값 | ±30㎜ | 직선기준 | ||
교량, 터널 | 표준값 | ±30㎜ | 직선기준 | ||
5 | 구분장치(에어조인트) |
|
|
| |
- 진입,진출전주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 150㎜ | +30㎜ |
|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 200㎜ | ±30㎜ |
|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 300㎜ | ±50㎜ | 3경간기준 | ||
- 중간전주 | 두 유효전차선의 수평거리 | 150㎜ | +30㎜ |
| |
두 유효전차선의 수평거리 | 200㎜ | ±30㎜ |
| ||
두 유효전차선의 수직거리 | 0 | ±5㎜ |
| ||
6 | 구분장치(에어섹션) |
|
|
| |
- 진입,진출전주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 300㎜ | +30㎜ |
|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 500㎜ | +20㎜ |
|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 330㎜ | +50㎜ | 3경간기준 | ||
- 중간전주 | 두 유효전차선의 수평거리 | 300㎜ | +30㎜ |
| |
두 유효전차선의 수평거리 | 500㎜ | +20㎜ |
| ||
두 유효전차선의 수직거리 | 0 | ±5㎜ |
| ||
7 | 구분장치(FS형 동상용 애자형 섹션) |
|
|
| |
- 양 지지점 합의 이등분값에 대한 오차 | 0 | ±10㎜ |
| ||
- 구분장치의 편위값 | 0 | ±30㎜ | 품질검사지침 | ||
- 구분장치의 기울기(궤도기울기 기준) | 기울기값 | ±5㎜ |
| ||
- 구분장치 양단의 전차선과 조가선 기울기 | 0 | +20㎜ | 기울기방향 | ||
8 | 절연구분장치(연속 에어섹션) |
|
|
| |
- 진입(①,④)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수평거리 | 500㎜ | +30㎜ |
| |
무효전차선과 유효전차선의 수직거리 | 설계값 | ±5㎜ |
| ||
- 중간(②,⑤)전주 | 두 유효전차선의 수평거리 | 500㎜ | +30㎜ | 0 편위 기준 | |
두 유효전차선의 수직거리 | 0 | ±5㎜ |
| ||
9 | 절연구분장치(FRP형, PTFE형) |
|
|
| |
- 지지점 및 각 FRP 연결점간의 높이차 | 0 | ±5㎜ |
| ||
- 구분장치 양 지지점의 편위와의 차이 | 0 | ±30㎜ |
| ||
- PTFE형 아킹혼과 절연봉의 간격 | 3㎜ | -0.5㎜ |
| ||
10 | 가동브래킷 진동방지파이프의 수평 | 수평 | 수평 |
| |
11 | 전차선과 진동방지파이프 간격 | 350㎜ | -10㎜ |
| |
12 | 자동장력조정장치 | A길이 | 산출표 | ±30㎜ |
|
Y길이 (3톤) | 산출표 | ±100㎜ |
| ||
Y길이 (2톤) | 산출표 | ±100㎜ |
| ||
스톱바 간격 | 30㎜ | ±5㎜ |
| ||
13 | 드로퍼 설치 | 드로퍼의 수직 | 0 | ±50㎜ | 표준온도 |
인접드로퍼와의 간격 | 5,000㎜ | ±50㎜ | 표준온도 | ||
14 | 건넘선장치의 | 본선 궤도중심과 900㎜ 지점 | 30㎜ | +10㎜ | 교차형 |
본선 궤도중심과 600㎜ 지점 | 30㎜ | +10㎜ | 평행형 | ||
본선 궤도중심과 350㎜ 지점 | 0 | +5㎜ | 교차형 | ||
15 | 에어섹션 구분애자 애자설치 위치 | 설계값 | ±50㎜ | 지지점 기준 | |
16 | 브래킷 인하식 급전분기선 설치 위치 | 설계값 | ±100㎜ |
| |
(주) 1. 기존선 터널 또는 구조물에 의한 전차선 높이제한 개소는 적용 제외(#2) 2. 시공중 기타 여건에 의해 ±30㎜이내 시공이 곤란한 부득이한 경우 250㎜적용(#5) |
2. 200km급 시공 허용오차 기준
연번 | 구분 | 기준값 | 허용오차값 | 비고 | ||
1 | 전차선 높이 | 설계값 | ±30㎜ | |||
2 | 연속되는 인접전주에서 전차선 높이의 차 | 설계값 | ±30㎜ | 본선,부본선 | ||
3 | 합성전차선의 수직경사 간격 | 0 | ±50㎜ | 직선, 곡선 | ||
4 | 전차선의 편위 | 표준값 | +10㎜ | 직선기준 | ||
5 | 건식게이지 | 설계값 | ±50㎜ | |||
6 | 드로퍼 | 수직 | 0 | ±20㎜ |
| |
간격 | 5,000㎜ | ±50㎜ |
|
3. 300km급 시공 허용오차 기준
연번 | 구 분 | 기준값 | 허용오차값 | 비고 | ||
1 | 전차선 | 지지점에서의 전차선 높이 | 설계값 | ±10㎜ | ||
평행개소 중심에서의 두 전차선 높이차 | 설계값 | ±5㎜ | ||||
편 위 | 설계값 | ±10㎜ | ||||
비틀림 | 설계값 | 허용불가 | ||||
무효부분의 전차선 높이 | 설계값 | +20㎜ | ||||
2 | 지선기초 | 레일과 지선간의 거리 | 설계값 | -50㎜/+100㎜ | 앵커기준 | |
전주와 지선간의 거리 | 설계값 | ± 200㎜ | 앵커기준 | |||
3 | 전주 | ㎞당 건식 오차 | 설계값 | ± 500㎜ | ||
경간 | 설계값 | ± 100㎜ |
| |||
건식 게이지 | 설계값 | -20㎜/+50㎜ |
| |||
터널 C찬넬 설치 간격 | 설계값 | ±50㎜ |
| |||
기초 앵커볼트 간격 | 설계값 | ± 3㎜ | 볼트중심 | |||
4 | 가동브래킷 | 고정금구(밴드) 설치 위치 | 설계값 | ± 10㎜ |
| |
평행용 가동브래킷 간격 | 설계값 | ± 50㎜ |
| |||
조가선 현수 클램프와 | 일반개소
| 450㎜ |
| |||
50㎜ |
| |||||
평행개소 | 200㎜ |
| ||||
50㎜ |
| |||||
전차선과 수평 파이프 간격 | 설계값 | ± 10㎜ |
| |||
가고 | 설계값 | ± 10㎜ |
| |||
전차선과 조가선의 수직도 | 설계값 | ± 20㎜ |
| |||
5 | 고정 빔 | 고정 빔 높이 | 설계값 | -20㎜/ |
| |
하수강 설치 위치 | 설계값 | ± 20㎜ |
| |||
6 | 분기부 | 지지점에서의 두 전차선의 | 설계값 | ± 10㎜ |
| |
편위 | 설계값 | ± 10㎜ |
| |||
7 | 전선의장력 | 하수강 설치 위치(인류점에서) | 설계값 | <30 daN |
| |
8 | 드로퍼 | 드로퍼 설치 간격 | 설계값 | ± 50㎜ |
| |
드로퍼의 수직도 | 설계값 | ± 20㎜ |
| |||
9 | 균압선 및 | 브래킷 인하식에서의 | 설계값 | +50㎜ |
| |
M.-T 균압선 설치 위치 | 설계값 | ± 200㎜ |
| |||
10 | 자동장력 | A축 길이(도르레 간격) | 설계값 | ± 30㎜ |
| |
M .T 도르레 지지금구 간격 | 설계값 | ± 30㎜ |
| |||
M .T 도르레 지지금구 높이(본선) | 설계값 | ± 30㎜ |
| |||
장력 추 수량 | 설계값 | 0 |
|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장력조정장치 검사기준 (0) | 2018.09.18 |
---|---|
강체 전차선 공사(R-Bar) (0) | 2018.09.18 |
표지류 (0) | 2018.09.18 |
접지장치와 보호설비 (0) | 2018.09.18 |
전차선 가선 (0) | 2018.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