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접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원인
1) 직접접촉
① 전기적 고장이 없는 정상운전 시전압이 인가된 충전부분에서 인체가 접촉되는 것
② 전기기계기구 충전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체의 일부가 충전부에 접촉되어 감전
2) 방지대책
①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 구조로 한다.
② 충전부에 절연덮개 또는 방호망을 설치한다.
③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싼다.
④ 관계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접근할 우려가 없는 구획된 ㅏㅈㅇ소, 전주 위, 철탑 위 등에 설치한다.
2. 간접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원인 및 방지 대책
1) 간접접촉
① 전기적 고장으로 전압이 인가된 도전성 부분에 인체가 접촉되는 것
② 절연손상 등에 의해 전기기계기구의 비충전부에 누전전류가 흐르게되어 인체의 일부가 접촉되어
감전
2) 방지 대책
① 보호절연 : 누전된 부분을 인체가 접촉하더라도 전류의 통전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인체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
② 이중절연 구조(보호절연 추가)
③ 보호접지 : 인체의 보호를 목적으로 전기긱계기구에서 누전 발생 시 누전전류를 신속하게 대지로
방류시키기 위해 기기외함에 접지하는 것
④ 일명 기기접지
⑤ 전기기계기구를 보호하기 위해 접지하는 계통접지와 구분
3) 누전차단기(감전방지용)설치
① 누전차단기 : 지락검출장치, 차단장치, 개폐기구 등을 절연물 용기 안에 일체로 조립한 것
② 정격감도전류 30mA에서 동작시간은 0.03초 이내
4) 비접지식 전로 채용
① 계통접지(계통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 저압의 혼촉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를 하지
않은 경우
② 비접지식 전로에서는 누전이 발생되더라도 전기회로(감전 시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아 인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안전하다.
※ 절연불량의 주요 원인
① 이상 전압 등에 의한 전기적 요인
② 충격, 진동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③ 산화 등에 의한 화학적 요인
④ 온도 상승에 의한 열적 요인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설비 안전대책(고려사항) (0) | 2019.06.24 |
---|---|
하절기 감전재해 방지대책 (0) | 2019.06.24 |
접촉전압 보폭전압의 저감대책 (0) | 2019.06.21 |
변전소 접지망 설계 시 보호대책 (0) | 2019.06.20 |
접지개소 유지보수 시 대책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