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전선의 뇌격 침입경로 및 현상 분석
가공송전선에 발생하는 사고 - 뇌격, 산불, 염해, 풍수해 등 자연적인 재해
1) 제1경로
철탑에 뇌격을 받은 경우 뇌격전류의 파두부가 급준하기 때문에 송전선의 경간에 지선으로부터
도체에 거꾸로 Flash Over
2) 제2경로
송전선로에 뇌격을 받아 전력선 상호간이나 철탑의 지지점으로 도체로부터 Flash Over
(최악의 경우)
3) 제3경로
철탑 또는 가공지선이 뇌격을 받아 철탑의 전위가 상승하여 철탑으로부터 도체에 역 Flash Over
4) 제4경로
송전선의 근방에 낙뢰가 있어 송전선 도체에 뇌 과전압 유도
2. 내뢰대책의 기본원칙
1) 가공지선으로 송전선로에 낙뢰가 직접 침입하여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
2) 가공지선이 직격뢰를 전력선에 맞지 않도록 한 경우라도 뇌격전류가 급준한 파두를 가지고
있거나 파고치가 높은 경우 철탑으로부터 전력선에 Flash Over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
3. 뇌격보호대책
1) 가공지선의 다중화
① 1조또는 2조에서 3조로 확대
② 뇌의 차폐실패로 인한 사고를 감소
③ 전력선과의 결합률을 증가시켜 역섬락 저감
2) 철탑 하부의 차폐선 설치
① 결합률 증대
② 차폐실패를 방치하는 대책
③ 2회선 사고가 20~40% 정도 저감하는 효과
3) 선로용 피뢰기의 설치
① 송전선로상에 피뢰기 설치하는 방법
② 실용화되지 않은 기술
③ 산화아연(ZnO) 소자의 우수한 특성과 소형화하기 쉬운 장점을 이용 애자간에 적용
4) Arcing Horn의 설치
① 뇌격에 의하여 애자련이 아크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
② 345KV 선로에 적용
③ 뇌방전 시 애자간의 연면방전 방지
④ By-Pass 역할
5) 철탑각 저항의 감소
① 가공지선과 전력선 사이의 전위차가 애자의 임계섬락 전압을 초과할 때 역섬락 발생
② 전력선과 가공지선상의 전위차가 낮아지게 되고 뇌파를 감쇄시키는 효과 증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화원별 전기화재 예방대책 (0) | 2019.06.25 |
---|---|
정전작업 시 안전대책 (0) | 2019.06.25 |
피뢰기의 구조개량 및 보수대책 (0) | 2019.06.25 |
변압기 소음 및 진동대책 (0) | 2019.06.24 |
지하공간 전기설비 안전대책 (0) | 2019.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