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재폭발 조건
1) 정전기 방전이 가연성 물질과 공기 등 혼합물의 점화원으로 작용할 때 발생
2) 폭발한계범위 내의 농도를 가진 가연성 혼합물이 존재하고 이를 점화시킬 수 있는 방전에너지를
방출하는 정전기 방전
2. 화재폭발이 우려되는 설비
1) 위험물을 탱크로리, 탱크차 및 드럼에 주입하는 설비 및 위험물 저장설비
2) 인화성 물질을 함유하는 도료 및 접착제 등을 제조, 저장, 취급 또는 도포하는 설비
3) 위험물 건조설비 또는 그 부속설비
4) 가연성 분진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설비
5) 액화수소, 액화천연가스 등을 이송하거나 저장, 취급하는 설비
6) 화약류 제조설비
7) 드라이클리닝설비 또는 모피류 등을 씻는 설비 등 인화성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설비
8) 고압가스를 이송하거나 저장, 취급하는 설비
3. 화재폭발 방지대책
1) 점화원을 제거 또는 격리한다.
2) 공기, 산소 등 지연성 가스를 제거한다.
3) 폭발범위의 조건이 되지 않도록 환기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4)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치환하거나 봉인한다.
5) 가연성 물질의 공급을 정지하거나 차단한다.
6) 가연성 물질을 강제 냉각하거나 강제 배출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파 장해대책 (0) | 2019.06.27 |
---|---|
정전기 재해방지 대책 (0) | 2019.06.27 |
가연성 물질 취급 시 재해방지 대책 (0) | 2019.06.26 |
대전방지 대책 (0) | 2019.06.26 |
누전에 의한 감전 예방대책 (0) | 201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