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지의 특성


1) 전력파형에 의해 나타나는 과전압 스파이크 또는 전력파형의 교란.

2) 기기의 오작동, 수명 단축 또는 손상 초래



2. 낙뢰에 의한 서지


1) 직격뢰 

  ① 뇌 서지가 건축물이나 장비 또는 전력선에 직접 떨어 지는 것

  ② 20 KV 이상의 고압에 수KA~수백KA의 과전류 발생

  ③ 전기기기에 영향


2) 간접뢰

  ① 뇌 서지가 송전선로나 통신선로 등에 떨어져 선로를 통하여 전도되는 것

  ② 발생 빈도도많고 수천 V 이상의 큰 전위를 갖고 있어 그 피해가 가장 크다.


3) 유도뢰

  ① 낙뢰 지점에 근점된 대지에 매설된 전원선, 통신선, 접지, 수도파이프 등의 도전체를 통하여 유도

      되어 발생하는 고전압의 전류

  ② 대자 전위의 급상승으로 발생하는 서지



3. 개폐에 의한 서지


1) 외부 서지 :  발전소, 변전소 등의 차단기의 개폐시 발생하는 서지

2) 내부 서지 : 부하 자체의 스위치의 개폐, 단락 등에 의해 발생하느 서지

3) 서지의 전달경로

  ① 전도성 서지 : 송전선, 금속배관, 접지선, 회로 등과 같은 도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서지

  ② 유도성 서지 :  낙뢰 시 유도뢰에 의한 서지 같이 갑작스런 전류 변화에 의해 인접회로에 유도되는

                           서지

  ③ 전파성 서지 : 라디오파 등 공중파 형태로 회로에 전달되는 서지

  ④ 복합성 서지 : 전도성, 유도성 및 전파선 등의 형태가 복합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의 서지



4. 서지의 피해


1) 전자화된 자동화 설비 등에서 기기의 과전압, 부족전압 또는 과전류 등에 의한 오작동, 손상 또는

    수명 단축 등

2) 피해 규모는 막대할 것으로 추정



5. 서지의 저감대책


1) 서지의 경로, 서지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파형 등을 조사 서지 발생 메커니즘을 파악

2) 서지의 침입을 방지 또는 억제하고 등전위화

3) 전원선, 뇌방전 및 대지전위 상승으로 인한 과전압과 과전류에 의한 위험도 분석

4) 경제적인 조건 고려하여 서지보호장치(SPD) 설치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압기 소음 저감대책  (0) 2019.06.27
차단기 개폐 시 서지 방지대책  (0) 2019.06.27
고조파 저감대책  (0) 2019.06.27
전자파 장해대책  (0) 2019.06.27
정전기 재해방지 대책  (0) 2019.06.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