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선로
변전소로부터 전기차에 공급된 전기를 변전소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설비를 귀선로라 하며, 운전용 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로 이용한다.
귀선으로 이용되는 운전용레일은 레일의 이음매를 이음매판과 보울트로 견고히 접속하고 있으나 불완전한 접속으로 인하여 전기저항이 크고 그로 인한 전압강하가 심하며, 또는 대지에의 누설로 직류방식에서는 전식, 교류방식에서는 통신 유도장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지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음매 부분을 레일본드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조귀선을 설치하고 교류 전차선로에서는 부급전선을 레일과 병렬로 가설하여 레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한다.
다시 귀선로의 구성을 요약하면 운전용 레일, 래일본드, 보조귀선, 변전소의 인입선과 교류용으로 부급전선, 흡상선, 흡상변압기, AT보호선, 중성선등과 이것을 지지하는 공작물로 되어 있다
즉 직류방식 : 차륜→레일→임피던스본드→귀선케이블→변전소의 부극
교류 BT방식 : 차륜→레일→임피던스본드→흡상선→부급전선→변전소
교류 AT방식 : 차륜→레일→임피던스본드→중성선→급전선→변전소의 경로가 된다.
1. 부급전선
부급전선은 교류 BT방식에서 궤조와 평행으로 가설한 전선으로 궤조저항을 감소시켜 전압강하를 줄임과 동시에 흡상변압기와 접속하여 레일에 흐르는 귀선전류를 흡상시켜 유도장애의 직접원인이 되는 대지에의 누설전류를 억제하는 한편 통신선에 대한 정전적인 차폐효과도 갖는다. 또한 애자에 섬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변전소의 차단기를 신속하게 동작시켜 전차선로를 보호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2. 보호선
AT방식에서 섬락보호를 위하여 180㎜ 현수애자의 취부로 밴드, 비임, 완금등을 연접하여 귀선레일에 접속하는 가공전선을 보호선이라고 한다.
보호선은 전차선로 애자 섬락보호 및 검출을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애자에 섬락사고가 발생하면 보호선을 통하여 사고전류를 흐르게 하여 변전소
에 설비된 보호장치의 사고검출과보호차단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아-크열에 의한 애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보호선은 AT설치개소와 AT간의 중간점에서 임피던스본드를 통하여 레일에 접속하고 단말은 AT의 중성점에 접속한다.
3. 흡상선
부급전선과 귀선레일을 접속한 전선을 흡상선 이라고 하며 동연선(CU 100㎟)을 사용한다. 흡상변압기 설치간격의 중앙에서 복궤조식은 임피던스본드의 중성점에, 단궤조식은 귀선레일 측에 부급전선을 접속한다.
4. 중성선
AT방식에 있어서 단권변압기 권선비 1:1의 중간과 귀선레일을 접속하여 BT방식의 흡상선과 같은 역할을 하는 전선을 중성선이라 하며 AT보호선쪽은 보안기를 통하고 귀선레일 쪽은 임피던스본드에 접속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성 검토 공종별 체크리스트 (0) | 2020.04.14 |
---|---|
전차선로의 보호설비 (0) | 2020.01.17 |
각종시험 및 시공기록표 (0) | 2020.01.15 |
전차선 가선공구 점검 기준 (0) | 2020.01.15 |
강체설비(Rigid Bar System)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