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
위험요인 |
관리계획 및 기준 |
비고 |
전철주 기초 공사 |
열차 운행선 인접작업시열차에 충돌위험 |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수칙 숙지 관련 일일 안전교육 실시 -작업구간내 열차감시 배치로 반대열차 확인 철저 -관리자의 현장상주로 지속적 관리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크레인 적재시 전철주 체결 철저 |
일일,정기,특별 안전교육 및 일일,주간,월간안전점검으로 대체함. |
열차감시의 통제를 벗어나 작업하다 열차와 충돌 |
|||
오거 회전반경내 및 후진 이동시 작업자 충돌위험 |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전철주 건식 공사 |
크레인으로 전철주를 장비에 옮겨 실다가 달기 벨트 불량으로 벨트가 끊어지면서 낙하하여 작업자 강타 |
-크레인으로 전철주 건식시 작업시작업원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장비운전원 안전수칙 준수 -장비운전원 유자격자 운전 실시 -장비운전원은 장비 일상점검 실시 -장비작업시 신호수 배치 실시 -장비작업시 전도방지를 위하여 아웃 트리거 설치후 작업실시 |
|
전철주 상.하차중 크레인 운전미숙으로 자재가 구조물에 부딪쳐 낙하하면서 튕겨서 작업자 강타 |
|||
전철주 기초 건식시 전철주 전도 위험 |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전철주 인양벨트가 노후되어 인양중 파단되어 작업자강타 |
|||
가동브라켓 설치 공사 |
가동브라켓을 크레인으로올리다 와이어가 끊어지면서 가공브라켓이 낙하하여 하부에 있던 작업자 강타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인양용용구 변형,손상유무 작업전 확인철저 -크레인으로 브라켓 설치작업시 작업원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고소작업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장비운전원 안전수칙 준수 -장비운전원 유자격자 운전 실시 -장비운전원은 장비 일상점검 실시 -장비작업시 전도방지를 위하여 아웃 트리거 설치후 작업실시 |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구 분 |
위험요인 |
관리계획 및 기준 |
비고 |
빔 설치 공사 |
빔을 크레인으로 올리다 와이어가 끊어지면서 빔이 낙하하여 하부에 있던 작업자 강타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인양용용구 변형,손상유무 작업전 확인철저 -크레인으로 브라켓 설치작업시 작업원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고소작업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장비운전원 안전수칙 준수 -장비운전원 유자격자 운전 실시 -장비운전원은 장비 일상점검 실시 -장비작업시 전도방지를 위하여 아웃 트리거 설치후 작업실시 |
일일,정기,특별 안전교육 및 일일,주간,월간안전점검으로 대체함.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
지선 설치공사 |
장선기로 지선을 당기다 장선기의 체인이 떨어지면서 하부작업자 타격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인양용용구 변형,손상유무 작업전 확인철저 -고소작업시 안전벨트 착용후 작업실시 -작업전 공구관리 이상유무 확인후 작업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
완철 설치 공사 |
전철주 승하강시 작업자 추락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인양용용구 변형,손상유무 작업전 확인철저 -고소작업시 안전벨트 착용후 작업실시 -작업전 공구관리 이상유무 확인후 작업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
장력장치 설치공사 |
자재 인력운반시 열차에충돌위험 |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수칙 숙지 관련 일일 안전교육 실시 -열차감시원 열차접근 확인후 이동 -관리자의 현장상주로 지속적 관리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인양용용구 변형,손상유무 작업전 확인철저 -고소작업시 안전벨트 착용후 작업실시 -작업전 공구관리 이상유무 확인후 작업 |
구 분 |
위험요인 |
관리계획 및 기준 |
비고 |
하수강 설치공사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인양용용구 변형,손상유무 작업전 확인철저 -크레인으로 하수강 설치작업시 작업원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고소작업시 안전벨트 착용후 작업실시 -장비운전원 안전수칙 준수 -장비운전원 유자격자 운전 실시 -장비운전원은 장비 일상점검 실시 -장비작업시 전도방지를 위하여 아웃트리거 설치후 작업실시 |
일일,정기,특별 안전교육 및 일일,주간,월간안전점검으로 대체함.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인류장치 설치공사 |
작업자가 안전벨트 착용하지 않아 작업자 추락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고소작업 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안전보호구 착용후 작업실시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
흐름방지장치설치 공사 |
작업자가 안전벨트 착용하지 않아 작업자 추락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고소작업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안전보호구 착용후 작업실시 빔 위에서 작업자 이동금지 |
|
전철주 위에서 작업시 작업자 추락위험 |
|||
빔 위에서 작업시 작업자 추락위험 |
|||
비절연보호선 가선공사 |
케이블 인장시 전선이 튕겨 작업자를 강타하여 추락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고소작업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안전보호구 착용후 작업실시 -전선드럼이 구르지 않도록 고임목 설치 |
|
전선드럼을 운반하역, 상차시 드럼이 굴러 협착위험 |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구 분 |
위험요인 |
관리계획 및 기준 |
비고 |
급전선 가선공사 |
전선드럼을 운반 하역, 상차시 드럼이 굴러 협착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고소작업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안전보호구 착용후 작업실시 -전선드럼이 구르지 않도록 고임목 설치 -장비운전원 안전수칙 준수 -장비운전원 유자격자 운전 실시 -장비운전원은 일상점검 실시 |
일일,정기,특별 안전교육 및 일일,주간,월간안전점검으로 대체함. |
케이블 인장시 지지물에 손 협착위험 |
|||
케이블 인장시 전선이 튕겨 작업자를 강타하여 추락 |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
전선드럼을 운반 하역, 상차시 드럼이 굴러 협착위험 |
|||
전차선/조가선 가선공사 |
단전지조 미확인후 작업시행으로 인한 감전위험 |
-단전지조 전 임의작업 금지 및 검전기 지급 -작업전 일일 안전교육 실시 -작업장내 관리감독자의 지시이행 철저 |
|
선로차단구간 외 지역에서 작업중 운행열차와 충돌위험 |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수칙 숙지 관련 일일 안전교육 실시 -임의작업 금지 -철저한 계획수립으로 당일 작업물량 계획 |
||
전선드럼을 운반 하역, 상차시 드럼이 굴러 협착위험 |
-작업전 작업원 안전교육 실시 -고소작업시 안전벨트착용후 작업실시 -안전보호구 착용후 작업실시 -전선드럼이 구르지 않도록 고임목 설치 -장비운전원 안전수칙 준수 -장비운전원 유자격자 운전 실시 -장비운전원은 일상점검 실시 |
||
케이블 인장시 지지물에 손 협착위험 |
|||
케이블 인장시 전선이 튕겨 작업자를 강타하여 추락 |
|||
장비안전수칙 미준수하여 장비사고 위험 |
|||
고소작업시 추락위험 |
구 분 |
위험요인 |
관리계획 및 기준 |
비고 |
케이블 포설 |
열차 운행선 인접작업시열차에 충돌위험 |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수칙 숙지 관련 일일 안전교육 실시 -작업구간내 열차감시원 배치로 반대열차 확인 철저 -관리자의 현장상주로 지속적 관리 |
일일,정기,특별 안전교육 및 일일, 주간, 월간안전점검으로 대체함. |
케이블 접속 |
단전지조 미확인후 작업시행으로 인한 감전위험 |
-단전지조 전 임의작업 금지 및 검전기 지급 -작업전 일일 안전교육 실시 -작업장내 관리감독자의 지시이행 철저 |
|
전선관로 포설 |
열차 운행선 인접작업시열차에 충돌위험 |
-운행선 인접공사 안전수칙 숙지 관련 일일 안전교육 실시 -작업구간내 열차감시원 배치로 반대열차 확인 철저 -관리자의 현장상주로 지속적 관리 |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점검의 날 (0) | 2020.09.09 |
---|---|
안전보건점검 체크리스트 (0) | 2020.09.08 |
위험성 검토 공종별 체크리스트 (0) | 2020.09.04 |
발생빈도, 심각성의 등급 및 기준 (0) | 2020.09.03 |
열차감시원배치기준및근무요령 (0) | 202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