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업전 안전관리
1) 일일작업에 관한 계획수립 및 확인을 철저히 한다.
- 현장대리인은 책임감리원과 당일 작업에 관하여 사전협의를 철저히 한다.
- 동원인원, 장비, 자재준비상태 확인을 철저히 한다.
- 작업시간의 적정성 및 작업시간(선로차단) 승인여부를 사전에 확인한다.
2) 안전관리자는 작업전 작업내용 및 작업방법 및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당일 작업내용, 작업시간 등 운행선 작업방법 및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안전작업을 위한 근로자 건강상태 및 안전보호장비 착용상태를 확인한다.
- 작업조에 임무를 부여하고 각조와 긴밀히 연락체계를 갖추어 사전에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3) 작업현장의 준비 및 안전조치 상태를 확인한다.
- 신설구간인 경우 노반 상태를 점검하여 작업 가능여부를 확인한다.
- 운행선 구간인 경우 열차감시원을 작업구간 양단 500m에 배치시키고 안전장구(무전기, 호루라기, 확성기, 신호용 수기 등) 휴대상태를 철저히 확인한다.
2. 작업 중 안전관리
1) 개인보호구 안전모, 안전화, 고소작업시 안전밸트 착용을 철저히 한다.
2) 건설장비, 자재전도방지 및 건축한계 저촉여부 확인을 철저히 한다.
3) 고소작업시 안전고리 착용을 상호 교차 체크 한다.
3. 작업 후 안전관리
1) 사용된 장비, 자재 및 공구류의 정리정돈 및 뒷정리 상태를 확인한다.
4. 구조물(빔,전주대용물,하수강) 신설 작업 안전관리 대책
1) 작업계획수립 및 확인
- 감독자와 현장대리인은 당일 작업계획을 사전협의한다.
- 동원인원, 장비종류, 양중방법, 자재준비 상태 확인한다.
2) 안전책임자를 지정하여 작업내용 및 안전교육 실시
- 당일 작업내용 작업시간등 작업방법 및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안전작업을 위한 안전모, 안전화, 안전고리 등의 착용상태를 확인한다.
- 장비운전원 안전교육 실시한다.
3) 작업현장의 준비 및 안전조치 상태를 확인한다.
- 건설장비 작업구간 내 안전한 작업구획 확보 한다.
- 장비운전원과 신호수간의 신호 체계화 한다.
- 양중 와이어로프, 섬유로프등을 확인 한다.
- 이례사항 발생시 행동요령, 보고체계 확립 및 비상연락망 정비휴대 한다.
4) 안전수칙 준수여부 확인 철저(건설장비 안전대책)
- 작업에 적합한 규격의 장비를 사용하고, 지반 상태등을 확인한다.
- 장비운전자는 급발진, 급정거를 하지 않게끔 사전에 운전자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한다.
- 장비작업 반경내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며 각종 표시, 신호수를 배치한다.
- 장비후진이 불가피한 경우 장비 전후방에 신호수 배치후 이동한다.
- 장비운전자 유자격자만이 장비를 조작 및 운전한다.
- 이동식크레인 사용시 근로자는 불의의 출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소작업시 반드시 안전대 체결 사용해야 한다.
5) 카고크레인 사용시 자재 낙하, 비래방지 안전대책
- 중량물 인양중 자재가 낙하되지 않도록 섬유벨트 및 와이어로프등을 견고하게 체결 시킨 후 인양한다
- 작업시작전에 인양 용구(달기로프 및 슬링벨트) 사용 전 점검을 철저히한다.
- 인양물의 형상, 중량, 특성에 따른 적절한 인양방법으로 작업한다.
6) 카고크레인 및 고소작업차 전도방지 안전대책
- 아웃트리거 설치후 작업실시한다.
- 연약지반은 깔판 설치한다.
- 과하중 인양금지한다.
7) 신호수의 신호중 낙하물 위험 안전대책
- 신호수는 운전자 시야내, 크레인 위험반경 밖에서 신호한다
8) 카고크레인 및 굴삭기 작업시 근로자는 붐하부 및 선회반경내, 인양물 하부에는 낙하물 위험이 있으므로 접근해서는
안된다.
9) 작업후
- 휴식 및 종료시에 매달린 짐을 지상에 내리고 , 안전조치를 취한 후 운전석을 벗어난다.
- 장비, 자재 및 공구류등 작업종료 후 현장 정리정돈 깨끗이 한다.
5. 열차감시원의 준수사항
1) 열차감시원 교육
- 열차감시원에 대하여는 감독자가 작업순서, 작업내용, 작업방법, 열차시각, 열차운전사항 및 연락방법 등을 사전에 충분한 교육을 시켜야 한다. 또한 열차감시원은 교육받은 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의문사항이 있을 시는, 질의 또는 재교육을 요청하여야 한다.
2) 열차감시원 배치
- 열차운행 선로(철도변)상에서 작업시와 이에 접근하여 작업을 할 때에는 열차운전에 정통한 열차감시원 2명을 선로 양쪽에 배치하여야 한다.
3) 기관사에 대한 신호
- 열차감시원은 열차가 접근할 경우 작업원을 조기에 대피토록 조치하고 기관사에게 백색기(터널내 및 야간은 백색등)로 원형의 전호를 하여야 한다.
4) 열차감시원의 안전 장비 및 장구
가. 열차감시원은 다음의 안전장치를 반드시 갖추고 필요시 안전 조치를 하여 열차안전운행 및 작업원의 안전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 안전조끼
- 안전모
- 호루라기
- 주간에는 전호기(적,녹,백색), 터널 내 및 야간에는 휴대용 전호등(적,녹색)
- 단락용 동선
- 휴대용 전화기 또는 무전기
- 작업구간 열차운전 시각표
- 기타 열차감시원이 필요한 도구
5) 크레인 인양로프 사용시 주의사항
- 크레인으로 달아 맨 중량물 하부에서 정확한 안착을 위해 유도작업을 실시
- 줄걸이 작업으로 사용하는 섬유로프는 작업시작 전 변형 및 손상 등을 점검하고 이상 발견 시 교체하여 사용
- 중량물 인양 시 2줄걸이 방법을 사용하고, 상부 줄걸이 각도를 60도 이하로 함.
- 크레인 작업 시 매단 화물의 낙하 또는 접촉에 의한 위험 방지를 위해 유도작업자는 걸고리 등 수공구를 사용하는 등 매단 화물 하부에 출입 금지
- Wire Rope의 파손, 킹크발생을 억제하고 수명연장을 기할 수 있도록 적치대를 설치하고 Wire Rope별 담당자 지정 및 정기점검용 Tag부착을 통한 책임관리 실시.
- 크레인 방호장치 설치 및 작동상태 유지.관리 (훅해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충돌방지방치, 비상정지스위치 등)
- 이송 중인 중량물 낙하 위험 예방
- 와이어 로프 및 줄걸이 용구의 부식방지를 위해 그리스 도포 및 주기적 점검을 통하여 중량물 운반 중 파단 위험을 예방
- 와이어로프의 점검기준 -
- 표면에 기름을 칠하여 녹이 슬지 않도록 할 것.
- 외부 마모에 의한 지름의 감소가 호칭지름의 7% 초과하면 교환할 것.
- 한가닥 소선의 수가 10% 이상의 소선이 절단되면 교환할 것.
※ 안전수칙
- 정격하중을 초과한 인양작업을 금지한다.
- 크레인 방호장치의 기능을 임의로 해지하지 않는다.
- 물체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와이어로프를 걸 때는 보호대를 사용한다.
- 비스듬히 하중을 올리거나 훅으로 대차를 이동시키는 것은 크레인 각부에 부당한 힘이 가해져 장비 수명단축 및 안전사고 위험이 따르므 로 금지한다.
- 화물 위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 않는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공종별 안전대책 (0) | 2021.01.04 |
---|---|
각종전선류(급전선, 보호선, 전차선로 등) 신설 안전대책 (0) | 2020.12.31 |
교량 전철주 기초신설 안전대책 (0) | 2020.12.31 |
안전작업지침(비계틀, 이동식 사다리) (0) | 2020.09.10 |
공공공사 추락사고 방지에 관한 지침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