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차선 작업특성상 고소작업

2. 건설업 재해 중 추락재해가 차지하는 비율이 30%를 넘는다

  • 추락재해 예방에 집중적, 지속적인 안전교육실시
  • 입체적인 홍보로 분위기 조성 → 교육 및 현장점검 집중실시 → 현장 지도감독 강화

3. 중점 점검사항

  • 장비 작업대, 작업용대차, 작업발판 등 추락재해를 자주 발생시키는 시설 집중점검

4. 중점 실천사항

근로자 보호구 착용 지도강화

- 현장 순회점검시 보호구 착용 집중지도

- 안전모, 안전화, 안전대 미착용 근로자에 대해 현장 퇴출 조치

  • 임의개조 장비 탑승금지 및 고소작업시 안전줄 설치한다.
  •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시 사고사례 전파교육을 통한 유사재해 예방활동실시
  • 현장 특성상 야간고소 작업이 많으므로 낙하물 및 안전에 유의하 여야 하며 작업자의 바로 밑에 서 있지 말아야 한다.
  • 높은 장소에서 작업시 작업원 상호간의 사용공구나 볼트등 각종 물건을 던지지 않도록 한다.
  • 볼트 및 너트 등은 견고한 주머니에 담아서 로프를 이용하여 운반 부재는 심부름바에 견고하게 결박한 후 인상‧인하하여야 한다.
  • 복장은 작업에 가장 적합하고 단정한 복장을 갖추어야 하고 승탑시 안전허리띠, 보조로프 착용상태 및 안전도를 수시 점검한다.
  • 안전모를 착용하여 낙하물이나 건축요철 부위 및 각종 철재류 에 의한 머리 손상을 막는다.
  • 안전복은 인화방지면 종류로 가공된 의복이며 상의 단추를 꼭 잠그고 하의 하단부를 안전각반속에 넣어 걸려 넘어져 외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한다.
  • 고소 작업시 안전벨트를 사용한다.
  • 작업자는 어떤 물체도 낙하 하여서는 안된다.
  • 작업자는 작업 상부에서 떨어지는 낙하물 방지에 최선을 다한다.
  • 작업자는 본인 추락 방지에 최선을 다한다.(작업 발판의 추락 및 발 헛디딤, 타인에 의한 추락, 기타)작업 중 어떤 경우에도 음주는 허락하지 않는다.
  • 작업 중 장난 및 욕설은 금한다.
  • 작업 중 주위에 위험한 요소가 있다고 판단하면 즉각 작업책임자 이나 현장대리인 에게 보고한다.
  • 작업책임자이나 현장대리인은 주위에 안전 보호망 및 가드레인 설치가 필요 하다고 인정되면 당 현장 안전 관리자와 협의하여 설치 하도록 한다.
  • 작업자는 작업 진행과정에서 기 설치된 안전보호망이나 안전울타리를 부득이 철거해야 할 경우, 작업책임자 및 현장대리인을 경위 하여 안전관리자의 지시에 의해 철거하고 작업 후 원상 복구 시켜야하며 원상 복구 후 작업반장이나 소장에게 보고 하여 안전관리자의 완료 점검을 받는다.

5. 위험공종별 안전조치

1) 추락/낙하

○ 고소작업

  • 정빔 상부 작업용 생명줄 설치
  • 전철주 승하강 시 생명줄 설치+완강기구 착용
  • 사다리차 상부발판에 안전고리 시행용 고리 설치
  • 사다리차 계단에 미끄럼방지 테프 부착
  • 모타카 작업대 난간에 이동용 생명줄 설치
  • 모타카 작업대 위 고소작업대 설치(빔작업용)
  • 이중안전고리 체결

대책

  • 미끄럼방지
  • 추락방지
  • 고소이동, 승하강시 추락방지
  • 고소이동 최소화

2) 감전

단전작업

  • 작업자별 검전기 착용(급전 경보용)
  • 단전확인 및 접지걸이 설치 전 작업개시 통제
  • 모타카 사다리부 상승금지표시 명확화(페인팅)
  • 작업대 접근 쇄정장치 설치/관리

대책

  • 가압부 접근방지
  • 가압전 작업방지

3) 장비

모터카/크레인

  • 장비 정기점검
  • 장비고장 대처훈련
  • 크레인 인양능력 정기 점검(인양줄 손상여부 정기점검)
  • 장비 전후 대형 반사지 부착
  • 모터카 등 사다리부 전기위험경고표시 보완
  • 작업용 조명 추가(보완) 설치
  • 장기주차 시 차륜지 설치(상시 탭재)
  • 장비 이동시 규정속도 준수 및 전방 주시 철저

대책

  • 장비고장 예방
  • 비상조치능력 배양
  • 장비협착,충돌방지
  • 인양물 낙하방지
  • 작업대 임의상승 방지
  • 장비 흐름방지
  • 장비추돌방지

1) 핵심 유해·위험요인

  • 사다리 상부 작업시 추락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음.
  • 사다리 승·하강시 미끄러지는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음.
  • 사다리 노후화로 인한 흔들림 등 우려로 인한 추락 발생의 위험이 있음.

 

2) 안전대책

  • 사다리 상부 작업시 안전고리 체결 철저
  • 사다리 승·하강시 미끄럼방지 설치
  • 안전의식 강화를 위해 사다리에 안전표지판 및 안전표어 설치
  • 사다리 레일바퀴에 브레이크 설치
  • 이동중 탑승금지

 

● 상부 작업시 안전고리 체결 철저

승·하강시 미끄럼 주의

● 하강시 지면에 닿기 전 뛰기 금지

● 비·눈 등 악천후 시 사용 금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