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장해경감을 위한 대책

가. 전철측 대책

 1) 흡상 변압기 이용

 

 

 

[그림 3]흡상변압기 방식 개략도

 

가) 부급전선과 레일간에 흡상선을 연결

나) 권수비 1:1인 변압기를 활용하여 1차측은 전차선측에 2차측은 부급전선 측에 결선한다.

다) 차량 부하를 통과한 귀선전류 즉 레일 및 대지에 흐르는 전류는 흡상선을 따라 부급전선에 흘러 돌아서 변전소로 귀로하므로 전자유도가 크게 경감된다.

라) 차량부하위치에서 흡상선까지 영향을 받음.

 

 2) 단권 변압기 방식

 

 

 

[그림 4]단권 변압기 방식 개략도

 

가) 단권 변압기 AT1과 AT2 사이에 전기차가 전기차가 있을 때 AT2에서 변전소간의 레일에는 거의 흐르는 전류가 없다. 즉 전자유도는 거의 없다

나) AT2와 AT3 사이에서도 통신선에 유기되는 전압 e1, e2는 부하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기되므로 서로 상쇄되어 전자유도전압 의 크기는 (e1~e2)로서 작아진다

 

 3) 동축케이블 급전방식

전력용 동축케이블은 내, 외부 2개의 도체를 가지는 케이블이며 간격이 작으므로 왕복 임피던스가 전차선로의 임피던스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아서 레일의 부하전류를 흡상하는 효과가 있다.

 <특징>

가) 내부도체를 트롤리선, 외부도체를 레일에 5km~10km 간격으로 접속한다.

나) AT, BT가 필요 없으므로 전차선로의 구조가 간단하다.

다) 급전선로의 임피던스가 작으므로 전차선로의 전압강하가 적다.

라) 동축케이블이 고가이므로 투자비가 많다.

마) 흡상효과가 커서 통신유도장해가 적다.

바) 길이가 짧은 터널에 사용하면 터널 단면을 줄일 수 있다.

 

 

 

[그림 5]동축케이블 방식 개략도

 

나. 통신선측 대책(정전유도 측면)

1) 전차선과 통신선과의 이격거리를 크게 한다.

2) 케이블화 한다.

3) 배류코일을 설치하여 전하를 대지로 방류한다.

 

다. 통신선측 대책(전자 유도 측면)

1) 통신선의 차폐 케이블화 또는 지하 매설에 의해 차폐효과를 삽입하여 전자 유도전압 소멸

2) 통신선에 차폐 코일을 삽입하여 기기의 평형도 향상

3) 통신선에 중화 코일 삽입하여 기기의 평형도 향상.

 

라. 전기차측 대책

정류기형 또는 전력변환장치 형 전기차의 2차측에 필터(콘덴서와 저항을 조합)병렬로 접속하여 전차선로에 흐르는 고조파 성분을 경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