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전기방식을 설명하고 선정시 검토사항을 기술하시오. 

 

1. 개요

전기철도의 전기방식은 직류와 교류 방식으로 구분되며 교류방식은 단상교류 3상 교류 방식으로 분류되고 각각 전압 또는 주파수에 따라 다수의 방식으로 구분한다.

 

2. 전기 방식의 분류

가. 직류방식

나. 교류방식

1) 단상 교류방식

가. 단상교류 상용 주파수 방식

나. 단상교류 저주파 방식

2) 3상 방식

 

3. 직류식 전기철도 장단점

가. 직류방식의 장점

1) 직류 직권  전동기의 특성이 전철용으로 가장 적합

2) 통신선에 유도장애가 없다.

3) 절연이 용이

4) 신호 궤도회로에 교류사용

5) 활선 작업 가능

나. 직류방식의 단점

1) 정류기등 변전소 건설비 고가

2) 대전류의 급전선 전차선 건설비가 높다.

3) 전압강하를 방지하기위하여 변전소수 증가

4) 귀선로의 귀선전류에 의한 지하 금속 관로의 전식피해 심하다

5) 보호방식이 복잡하다

 

4. 교류식 전기철도의 장단점

가. 교류방식의 장점

1) 집전(集電)이 용이하다.

2) 차내에서 사용전압을 임으로 조정할 수 있다.

3) 점착(粘着:Adhesion)성능이 우수하다.

4) 사고 시 급전차단(給電遮斷)이 확실하다.

5) 전철 건설비가 저렴하다.

나. 교류전기 방식의 단점

1) 전압이 높아 절연도를 높여야 하므로 절연설비비가 고가로 된다.

2) 차량이 복잡하다.

3) 인접 통신선로에 대한 유도장해가 심하다.

4) 전원의 불평형(不平衡)

 

5. 전기철도의 선정 조건

가. 전기철도의 기술향상과 전철망 확충을 위하여 각각의 교통여건에 적합한 방식선정과 기술의 적용은

나 『수송거리, 수송량, 수송시간등 수송목적』에 따라 경량, 중대형, 고속형등 적합한 System이 선정되어야 하며,

다. 동력방식은 운용면과 투자비용을 고려하여 집중방식과 분산방식이 조건에 따라 선택되고,

다. 전기방식은 수송조건, 인접전철화 구간의 전기방식, 전력 수급조건, 선구의 특수조건, 장래계획과 경제비교 등이 고려되어 직류와 교류방식이 결정되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