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식 발생원인 분석
∙누설저항 : 레일의 대지에 대한 접지저항(누설저항) 이며 전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
∙누설전류 : 전기차 운전에 의해 레일 대지전압이 발생, 레일 누설저항이 있어 누설전류가 발생
제4궤조 방식 (의정부 경량전철) |
제3궤조 방식 | |||||
|
| |||||
∙누설저항 범위 : 거의 없음. ∙누설전류 : 거의 없음. 제4 궤조(+, -) 방식은 누설저항 및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
∙누설저항 범위 : 8~425(Ω.km) ∙누설저항과 누설전류 (레일과 대지전압 +50V) | |||||
|
|
|
|
|
| |
|
누설저항 |
1km당 |
누설저항 |
1km당 |
| |
|
1,000Ω.km |
0.05A |
10Ω.km |
5.0A |
| |
|
100Ω.km |
0.5A |
1Ω.km |
50A |
| |
|
|
|
|
|
|
전 식
전해액에 접촉되는 금속으로부터 대지에 1A의 전류가 1년간 계속 유출되면, 철의 경우.
13kg의 전식이 발생하며 전철측, 매설관측 공히 누설전류가 유출되는 개소에는 전식이 발생
∙전철측에서의 전식
- 전식대상 : 궤도재, 차고부근, 레일 근접 구조물 등
- 제3궤조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량 (레일과 전압의 평균치 +10V의 경우)
누 설 저 항 |
제3궤조방식 1km당 |
누 설 저 항 |
제3궤조방식 1km당 |
1,000 (Ω.km) |
0.09kg |
10 (Ω.km) |
9.1kg |
100 (Ω.km) |
0.9kg |
1 (Ω.km) |
91.3kg |
- 국부적 누설의 경우 91~91.3kg 정도 발생
∙매설관측에서의 전식 발생
전원 구배내의 매설관 전식 |
지중매설 금속체를 흐르는 누설전류와 전식 |
|
|
∙A점은 접지상태 레일로 구성됨 (레일과 전압의 극성은 +) ∙누설전류는 A점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확대되고, 대지중에는 지중전위 구배 AB를 유기함 ∙구배내 CD와 같은 매설관이 있으며, 전류는 CE 사이로 관에 유입, ED 사이로 유출됨 ∙전식은 ED 사이로 발생하여 지장물을 부식시킴.
|
|
∙전차선 방식이 정.부급전으로 분리된 구조 ∙전차선과 궤도 사이에 절연체로 완전 분리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음 ∙누설전류, 지락 등의 사고시 변전소내 접지장치에서 흡수 소멸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짐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의 내진 대책 (0) | 2008.05.30 |
---|---|
전차선장치 (0) | 2008.05.30 |
원방제어감시 설비 (0) | 2008.05.28 |
기술시방 요약(충전기) (0) | 2008.05.28 |
제어전원장치 (0) | 200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