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곡선 당김장치

 

○ 곡선로의 경간내 또는 건널선에서 중간 편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보조로 설치하는  곡선당김장치를 말한

    다.

 

 

 

가동브래키트

 

○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기 위해 취부하는 시설물.

     -  압축형 (O형) : 합성전차선을 지지물 반대쪽(선로쪽)으로 밀때 사용함.

     -  인장형 ( I형)  : 합성전차선을 지지물 쪽으로 당기는 개소에 사용함.

 

 

 

하수강

 

○ 터널 및 건널선 개소, 또한 역구내 등 단독주의 시설이 불가능한 개소에 가동브래키트를 지지하기 위해 전

    철주 대용으로 고정비임에 취부하는 시설물.

 

 

 

전주대용물

 

○ 비임 설치개소에서 급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시설물로써  문형 대용물을 말하며 1선용, 2선용, 특수개소 3선

   용 등이 쓰이고 있음.   - 선간 이격거리 1500mm, 지지물 선간 1200mm, 높이 1900mm.

 

 

 

 흐름방지장치

 

○ 전차선은  온도 및 팬터그래프의 고속도 습동운동 의해서 전차선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가선이 흘러 전차선의 편위가 변위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장력조정장치 설치 구간 중앙에 설치하

    여 전차선 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임.

 

 

 

장력조정장치

 

○ 장력 조정장치는 전선의 장력이 온도변화에 따라 변동  되므로 전차선의 장력을  일정한 크기로 유지하여

    집전성능 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말함.

 

 

 

인류장치

 

○ 전차선로  표준 섹션은 양장력(양단 장력장치)을 원칙이나  선로특성 및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일단 장

    력인 경우 장력장치 반대쪽에 전차선이 흐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를 말함.

 

 

 

절연구분장치

 

○ 교류 전철 구간의 이상 전원  접속 개소에 서로 다른 전원의 단락(교류구간의 이상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전소의 인출구와  변전소와 변전소사이 중간지점에 교류 이상 구분 장치(절연구분장치)을 설치한다

 

 

 

급전분기

 

○ 급전선으로부터 전기를 전차선에 공급하기 위하여 급전선과 전차선을 접속  하는 것을  말함.

     · 주의  - 급전 분기선을 가동브래키트에  접속시 가동브래키트의  회전에 영향을 주면 안됨

 

 

 

 Section insulator

 

○ 주로 역구내 건널선 및 측선 등에 사용되어 상하선 및 측선 구분용과 사고시, 또한 작업상 정전시에 열차운

    전에 대한 영향을 최소 구간에 한정하기 위한 장치임.

 

 

 

Air joint

 

○ 전차선의 가선특성상 전차선을 수평으로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연속하여 가선할 수 없기 때문에

    섹션별로 가선이 불가피 함. 따라서 이와 같은 섹션과 섹션이 접속되는 개소에 전기적으로는 접속되고 기

    계적으로는 분리되는 것을 말하며  전차선 상호간 이격거리는 150mm, 평행부분 양단은 조가선 상호간 및

    전차선과 조가선을 일괄 균압한다.

 

 

 

 Air section

 

○ 집전부분의 전차선에 절연물을 삽입하지 않고 절연하여야 할 전차선선 상호 평행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유

    지하여 공기의  절연을 이용한 구분 장치임. 구분소 및 보조구분소 앞에 설치 된다. 전차선 상호간의 이격

    거리는 300mm 를 표준으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 250mm까지 단축할 수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구간 구성도  (0) 2008.08.02
전차선 표지류  (0) 2008.08.02
급전선   (0) 2008.08.02
기울기 요소 (편위)   (0) 2008.07.22
직류, 교류 방식별 비교  (0) 2008.07.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