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조(貯油槽, oil storage bin(or tank))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의 연료를 저장하는 저유조는 7일분의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하고, 가능하다면 방화를 위하여 지하 매설(地下 埋設)로 하는 것이 좋다.

 

적설검지장치(Snowfall Detector)

적설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측정된 적설량에 따라 중앙통제센터의 종합사령자가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속키기거나 열차운영을 정지시킴 (3개소 : 강설량이 많은 대구이북 지역에 설치)

 

적재정규(積載定規, loading gauge)

무개 화차(無蓋 貨車)에 적재한 화물이 차량한계외로 나가는 것을 검사하는 설비이다.

 

적차중량 공차에 정원승객 및 승무원이 승차하고 연료, 물, 모래 등 운전정비에 필요한 물자를 적재한 차량의 중량

 

적하장 옹벽(積荷場 擁壁, freight platform retaining wall)

고상식 적하장의 구조는 토공(土工)으로 돋기하여 선로쪽을 철근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옹벽으로 막고 적하장 표면은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한다.

 

전공계전연동장치(電空繼電聯動裝置, electro pneumatic relay interlocking)

신호기(信號機) 및 전철기(轉轍器)는 전기로 조작하고 전철기의 전환(轉換)은 압축공기(壓縮空氣)로 작동하며, 이들 상호간의 연쇄(連鎖)는 전기계전 연동장치와 똑같이 계전연동기(繼電聯動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전공전철기(電空轉轍器, electro - pneumatic switch machine)

전자(電磁)밸브로 조정되는 압축공기를 전환기 등을 통하여 전철기를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국철에서는 1977년 그 동안 사용하던 전공전철기를 전기전철기로 모두 대체하였다.

 

전기계전연동장치(電氣繼電聯動裝置, electric relay interlocking)

신호기 및 전철기를 전기에 의하여 조작, 전환하고 이들 상호간의 연쇄는 조작반(操作盤)과 계전기(繼電器)로 구성된 계전연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기전철기(電氣電轍器)가 사용된다.

 

전기기관차(電氣機關車, electric locomotive)

동력차중에서 동력원을 전기로 하는 기관차이다. 전차선에서 팬터그래프로 공급된 전기를 변압기로 전압을 낮게하여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전동기는 차륜을 회전시키는 힘(기계 에너지)을 발생시키므로서 차량이 주행한다.

 

전기기 연동장치(電氣器 聯動裝置, electric - mechanical interlocking)

전기 정자(廷子)와 기계 정자를 사용하여 전철기, 신호기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이들 상호간의 연쇄는 제1종 전기연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신호기는 전기적으로, 전철기는 기계적으로 제어, 쇄정한다.

 

전기쇄정법(電氣鎖錠法, electric locking)

전기쇄정방법에는 전자석회로의 개방에 따라 전자석이 전기정자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쇄정하는 방법 및 계전기의 회로를 여러 가지 신호보안장치에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전기시계설비(Master Clock System)

중앙의 모시계시스템이 각각의 시계에 통일된 시각정보를 전송하므로써 모든 고속철도시설이 동일한 시간을 표시토록 하는 설비

 

전기신호기(電氣信號機, electrical signal)

상치신호기는 조작 동력에 따라 인력을 이용하는 기계신호기와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신호기로 분류한다. 전기신호기에는 단등형(單燈型)신호기, 다등형(多燈型)신호기, 등렬식(燈列式)신호기

등이 있다.

 

전기연동장치(電氣聯動裝置, electric interlocking)

신호기 및 입환표지는 취급소의 탁상전기정자(卓上電氣廷子)로 조작하고, 전철기 와의 연쇄는 현장의 전철정자에 설치한 전기쇄정기로 하는 장치이며 현재 2종만을 사용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