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자크로싱(k字轍叉, center frog of crossing)

다이아몬드 크로싱에 사용하는 k자형 크로싱

 

콘크리트침목(콘크리트枕木, concrete tie)

콘크리트를 재료로 한 침목

 

콘크리트침목궤도(콘크리트枕木軌道, concrete tie track)

콘크리트침목을 부설한 궤도

 

크로싱(crossing, frag)

분기기를 구성하는 일부분으로 궤간선이 교차하는 부분, V자형의 노스레일과 X자형의 윙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크로싱조립(크로싱組立, built-up crossing)

크로싱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

 

크로싱각(크로싱角, crossing angle)

분기 또는 교차에 있어 기본선과 분기선의 교차각도

 

크로싱 결선부(크로싱缺線部, gap in frog)

기본선과 분기선이 교차하는 곳에 차륜이 통과하는 통로

 

크로싱교점(크로싱交點, crossing point)

크로싱에서 궤간선이 교차되는 점

 

크로싱노오스(크로싱鼻端, nose of crossing)

크로싱을 구성하는 V자형의 노스레일

 

크로싱번호(크로싱番號, crossing number)

크로싱의 크기를 나타내는 번호로 크로싱 교점과 후단과의 거리를 후단의 범점 길이로 나눈 값.

 

크로싱인후(크로싱咽喉, throat of frog)

크로싱을 구성하는 X자형의 윙레일에 있어서 교차 지점의 차륜 통과지점

 

크로싱전단(크로싱前端, toe of crossing, toe of frog)

크로싱 윙레일의 끝단

 

크로싱후단(크로싱後端, heel of crossing, heel of frog)

로싱 노스레일의 끝단

 

키로표(키로標, kilometer post)

선로의 거리를 km로 표시하여 설치한 표지

 

타력구배(惰力勾配, momentum grade, tie tamper)

제한구배보다 심한 구배라도 그 연장이 짧은 경우 열차의 타력에 의하여 통과할 수 있는 구배

 

타이패드(tie pad)

열차주행시 레일에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레일과 침목,타이 플레이트와 침목, 레일과 타이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하는 고무제 완충판

 

타이플레이트(座鐵, tie plate)

레일의 체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레일과 침목사이에 삽입하는 철판

 

탄성체결(彈性締結, elastic fastening, flexible fastening)

열차주행시 레일에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안한 탄성이 충분한 체결방법

 

탈선(脫線, derailment, run off the rails)

선로상태의 불량, 화물의 편적 차량의 불량 또는 선로상의 장애물 등으로 기관차 또는 객화 차가 선로상을 벗어나는 열차사고, 궤도이탈

 

탈선포인트(脫線轉轍器, derailing point, derailing switch)

한선에서 착오로 타선에 진입하여 발생되는 충돌과 기타 운전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차량을 일시 탈선시키는 전철기

 

탈선방지가드레일( 脫線防止가드레일, guard rail to prevent derailing)

급곡선부에서 외측레일에 횡압이 작용하여 레일에 편마모가 심하고 차륜의 플랜지가 마찰에 의하여 외측레일에 올라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선의 내측에 설치하는 호륜레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