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안 radian

 

각도(角度)의 단위, 원주(圓周)를 반지름과 같은 길이로 자르고, 그호의 양단과 원의 중심을 잇는 선이 이루는 중심각을 1라디안이라고 한다. 1Radian≒57.29578° 즉, 360°가 2π라디안이 되며 따라서 1라디안은 약 57π17′44.8′ 또는 약 57.2958°와 같다. 이 단위를 사용할 때는 여러가지 편리한 일이 많다. 이를테면 그림과 같이 반지름 R의 원으로서 서로 θ라디안을 가지는 두 반지름의 주위를 잘라내는 길이는 Rθ이다.

 

룩스 Lux

 

조도의 단위로 1m²당 1m의 조도를 1Lux라 한다. 약호는 Lx.

 

루우멘 Lumen

 

① 광속(光束)의 단위로서 한결같은 점광원이 1cd의 광도를 갖고 있을때, 이로부터 발산하는 전광속은 4π루우멘이다.

② 광속의 단위로 1(cd)의 균등점광원(均等點光源)에서 단위입체각에 나오는 광속약호는 Lm으로 나타낸다.

 

데시벨 Decibel

 

① 전화의 발명자 A. G Bell의 이름을 본딴 단위벨의 10분의 1. 약호는 db 또는 dB이며 실제로 벨보다도 데시벨을 더욱 많이 쓴다. 최초 전화의 전송감쇠를 나타내는데 사용되었으나 지금엔 널리 전압 또는 전력의 감소나 이득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입력전력 P₁, 일의 그 회로에서의 전력의 감쇠를 N데시벨이라 하면 N=10log10(P₁/P₂) 또 출력은 전압 V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동일한 임피이던스 밑에 N=20log10(V₁/V₂)로도 표시한다.

② 음의 세기를 표준음의 세기에 견준 수량의 단위. 표준음으로서 보통은 최초가청한계의 음을 취하고 이의 세기가 I0인 때 세기 I의 다른 음은 α=10log10(I/I0)데시벨이라고 한다. 전화에서 통화의 양부를 나타내는 표준으로 송화단위 전력 P₁과 수전단위 전력 P₂의 비의 상용대수(常用對數)를 10배한 것. 즉 db=10log10P₁/P₂

 

대역 Band ; Zone

 

어떤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사이의 주파폭.

 

영상임피이던스 Zero-imp

 

대칭 3상교류회로에서 영상전류가 흘렀을 때의 각상의 전압 강하와 각 상전류에 대한 비.

 

변압기손 Transformer loss

 

① 임피이던스 정합이 부적당한 트랜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선로 접합점에서 생기는 손실을 변압기 또는 변성손이라고 한다. 반사손이라고도 한다.

② 트랜스 내부에 생기는 손실, 철심에 의한 손실과 권선에 의한 손실이 있다.

 

 제너다이오드 Zener diode

 

항복전압의 일정성에 의한 정전압특성을 이용하는 diode

 

영상변류기 ZCT

 

비교적 낮은 송전전류의 접지의 보호 때문에 사용하는 변류기로 각조에 대하여 공통의 자로를 자기적으로 평행하고 있어 중성점 접지등에서 접지 계전기의 오동작을 막는 것.

 

영상전류 ZC

 

대칭 3상교류회로의 각상전류중에 포함되어 있는 크기와 같은 전류 Ia, Ib, Ic를 3상 전류라하면, 영상전류는 I0=(Ia+Ib+iC)/3이다.

 

임피이던스 Z

 

용어해설 교류회로에 있어서 가해진 전압과 그것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와의 비(比). 전기회로에서 전기저항으로 보이는 것들의 총칭으로서 Ohms law에 적용된다. Inductance 정전용량, 저항의 전부 또는 일부로 된다. 실용단위는 Ohm(Ω)을 사용한다.

 

방사선 X-Ray

 

라디움(radium), 우란(uran)등의 원자가 스스로 붕괴하여 원자값이 낮은 다른 원자로 변이할 때 발하는 전자파 α. β, γ선등이라는 뜻

 

배선도 Wiring diagram

 

각종의 배선기호를 사용하여 회로의 접속을 상세하게 계통적으로 표시한 도면.

 

배선 Wiring

 

어떤 목적을 이룩하기 위하여 결선하는 것.

 

전선관 Wire-Tube

 

옥내배선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선을 넣어두는 금속제관으로 콘 듀이트(Conduit), 파이프(pipe), 튜브(tube) 등으로 불리고 있다.

   

전선접속 Wire-Connet

 

두가닥의 전선을 잇는다는 뜻인데 트위스트(twist)접속, 부리타니야(britannia)접속, 막킹타이야(mclntire or sleeve)접속등 각종이 있다. 전양자? 도시한다.

   

와트시 Wh

 

일의 단위로 시간을 곱한 것. 약호는 wh이다. 1wh=3.6×103Joule

 

파미장 Wave-TL

 

어떤 방향으로 향하여 나아가는 전파의 최저부와 그 전파의 최고부까지의 길이.

 

파두장 Wave-FL

 

어떤 방향을 향하여 나아가는 전파의 앞 부분을 가리킨다.

   

무선 WR

 

① 라디오란 말.

② 전자파를 공간에 발사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목주 WP

 

나무의 전선 지지물인데, 전나무, 홍 및 백송 낙엽송(전나무과 木殷松)등이 쓰인다. 방부하기 위해 크레오소오(creoso)나 마니레트를 주입한다. 주입한 것은 수명이 20년에서 30년이며 주입하지 않은 것의4∼5배가 된다. 목주의 파괴강도는 400∼450kg/cm2, 길이는 7∼19m의 것이 쓰인다.

   

파형률 WFF

 

정현파=1.11(파형률), 1.414(파고율), 삼각파=1.155(파형률), 1.732(파고율), 구형파=1(파형률), 1(파고율), 전파정류파=1.11(파형률), 1.414(파고율)

 

자력 W

 

자극상호간에 움직이는 힘 또는 자계중자극에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음량조절 Vol-Cont

 

신호음의 대소를 조절하는 장치를 말함. 증폭할 신호전압에 관계없이 제어하여 그 출력을 임의의 크기로 조정하여 음의 양을 제어하는 장치를 자동음량조절이라 한다.

 

음성주파수 Voice-Fq

 

사람이 말을 할때 음성의 주파수로 102∼104Hz정도까지로 80∼345Hz를 테노울(테너), 170∼690Hz를 알토, 240∼1150Hz를 쏘프라노 등으로 나누고 있다.

 

뇌격 Lightning skroke

 

낙뢰란 것으로 뢰유도와 뇌직격(雷直擊)의 2개가 있고 뇌유도(雷誘導)는 부근의 뇌방전에서의 유도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60KV 정도 이하의 전압송전로에 害가 있다고 한다. 여기에 대하여 뇌직격(雷直擊)은 선로에 직접 락뇌한 것으로 1000∼150,000A 정도의 전류를 동반하는 위험한 것이다.

 

광 Light

 

전자파의 일종으로서 파장 0.4∼0.76μ 전반속도 3×108m/s

 

렌츠의 법칙 Len′s law

 

①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회로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작용을 일으키려고 하는 원인을 저지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라고 하는 법칙.

② 자석과 코일과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여 코일이 통과하는 자속의 양에 증감(增減)이 있을 때는 유도작용에 의하여 코일내에 유도기전력(誘導起電力)이 발생하는데 그 크기는 단위시간내에 코일을 자르는 자속의 수에 비례하고, 또 유도전류에 의한 전자반작용(電磁反作用)이 이 전류를 야기(惹起)하는 운동을 막고 저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라는 법칙 또는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폐회로에 생기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작용을 일으키는 자속의 변화에 반대하는 방향에 흐른다는 정리.

 

자수의법칙 Left-raw

 

전류와 자계와의 관계를 규정한 플래밍(fleming′s)의 법칙의 하나로서 전류 i를 통하는 직선도체가 자속밀도 B인 자계중에 이것과 직각에 있는 경우에 힘을 받는다. 그 힘의 방향은 왼손삼지(三指)를 각각 직각으로 폈을 때 중지(中指)의 방향을 전류의 방향, 인지(人指)의 방향을 자속 B의 방향으로 했을 때의 엄지손가락의 방향이고, 힘의 크기는 i×B라고 하는 법칙.

 

누설저항 Leak resistance

 

누출전류가 흐른다고 생각되는 곳의 저항값, 즉 그것의 절연저항, 단선궤도의 경우 흔한 예는 10Ω/km, 적은 예는 0.1Ω/km, 중위의 예로서 1Ω/km전후이고 축전지의 극관간 또는 그밖의 절연물(絶緣物)에 누설전류가 있을 때 이것에 가하여진 전압(E)과 그 전류 I의 비(比) E/I를 말한다. 보통 메가오옴으로 표시하며 메거(megger)와 같은 계기(計器)로써 측정한다. 그리드 리이크 또는 그의 저항치를 이렇게 말할 때도 있다.

 

누설리액턴스 Leak Reatance

 

① 전동기에서는 전기자전류에 의한 기자력중 전기자권선으로만 쇄교하는 누설자속에 의하여 만들어진 리액턴스(Resctance)분인데 슬로트(Slot) 자기누설, 차단자기누설 및 갭(Gap) 자기누설의 셋이 있다.

② 누설자속에 의한 리액턴스작용을 누설리액턴스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될 수 있는대로 누설자속을 적게하여 전압변동율을 좋게 하나 누설자속을 적게하여 전압변동율을 좋게 하나 대형 진공관의 필라멘트, 네온트랜스, 용접용(熔煉用)트랜스 등에서는 단락전류(短絡電流)를 제한하는 방법으로서 누설 리액턴스를 많게 하는 경우도 있다.

 

누설인덕턴스 Leak Inductance

 

트랜스의 누설자속(漏洩磁束)에 의한 자기(自己) 인덕턴스의 값(트랜스의 양 coil)에 쇄교하는 자속은 다른 권선폭(捲線幅)의 전류에 의한 자속으로써 없앨수 있으며, 자기유도(磁氣誘導)는 일어나지

않는다.

 

층간단락 Layer-Short

 

권선층간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단락하는 것으로 이것이 일어나면 기구가 소손된다.

 

선간전압 LV

 

선로전압이라 말하며 특히 3상교류회로의 성형 또는 3각결선의 각단자로 측정한 전압 즉 선간의 전압이란 말.

 

저압선 LTL

 

저압전선로라고 칭하는데, 그 주요한 예는 전등, 전력공통인 3상4선식(220V/380V, 120V/208V), 단상3선식(100V/200V), 단상2선식(100V), 3상3선식(200V)등이 있다.

 

선로개폐기 LS

 

① 전기선로를 개방 및 투입하는 소자로서 내 아크력을 가지면 차단기, 내 아크력이 없으면 단로기라 한다.

② A형의 자동전화교환기의 25의 출중계속을 가진 회전Switch 가입자가 수화기를 떼면 시동하여 일차실렉터(selector)의 빈 것을 생각하여 일단 동작하면 통화가 끝이나도 그 위치에 그쳐(정지하여) 다음의 호출로 그 위치에서 시동한다.

 

광계전기 LR

 

광속(光束)을 광전관(光電管)으로 받아 그 광속의 증감(增減)에 의하여 동작하는 계전기 장치를

말한다.

 

자력선 LMF

 

자계의 세기, 방향, 분포 등을 생각하는데 편리하게 생각하기 위한 가상적인 선으로 정극에서 나와서 부극에서 끝날 것. 이 선의 접선으로 자계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 선의 밀도가 자계의 세기를 나타낼 것. MKS단위계서는 투자율 μμ0인 물질 중에서 m(Wb)인 자극에 출입하는 자력선은 m/μ μ0본 등으로 결정되어 있다.

 

제한전압 LM

 

피뢰기(避雷器)의 방전시 그 단자에 남는 서어지(surge)전압으로 정격전압 154kV의 선로에 이어지는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170kV이며 방전전류는 2360A이다.

 

경부하 LL

 

케이블등에 장하할 경우 적은 인덕턴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중장하에 비하면 고음부도 잘 전달하여 주파수 특성은 좋으나 감쇠도가 높다. 또 한층 적은 인덕턴스를 사용하는 것을 익스트라 라이트 로우딩(extra light loading)이라고 한다.

 

국부조명 LI

 

어느 부분만 특히 강하게 비치는 조명.

 

층간절연 LI

 

발전기 coil등의 도체 각 층의 간(사이)에 삽입하는 절연물로 많은 절연박지를 사용한다. 또 에나멜(enamel)을 바를 때도 있다.

 

소켓 LH

 

전선의 끝에 붙여서 전구를 끼워 전류를 잇는데 쓰는 전기기구의 하나. 수구(受口)의 일종으로 전구수구라고도 부르며 전구를 낄 수 있는 구로 나사 입형(?形)으로 되어 있는 에디슨(edison) 소켓(socket) Edison 차입형으로 되어있는 스완(swan)형 Key가 붙어있는 Key socket, Key가 없는 Key less socket 등이 있다.

 

레벨지시기 LI

 

①레벨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시기. 음향지시기 참조.

② 라디오나 텔레비젼의 영상(映像) 또는 음성의 전송계의 1점에서 레벨을 지시하는 계기

 

부하율 LF

 

어느 기간중에 있어서의 평균수용전력과 최대수용전력과의 비, 배전계의 부하의 총합연부하율은 55%정도, 한편 기간에 따라 일, 월, 년의 부하율이 있다.

 

손실계수 LF

 

유전체의 유전율과 유전체률과의 적을 손실계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종류, 성질, 상태, 주파수, 온도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부하밀도 LD

 

주로 배전할 때의 용어인데 1km2당 몇 kW라고 나타낸다. 단위는 (KW/Km2)

 

선간전압강하 LD

송전선에서 선로가 갖는 저항 때문에 일어나는 전압강하.

 

연피선 LCW

 

고무절연 전선과 동등 이상의 특성을 갖었고 목면편조 대신에 연피를 한 전선을 연피선 또는 연피 절연전선이라 칭한다.

 

소규모 감시제어소 LCR

 

중앙감시제어소(Main Control Room)의 장애를 대비하여 각 구역별 제한된 권한을 가진 지역제어소가 존재한다.

 

LC발진기 LCOSC

 

LC공진회로를 사용한 발진기,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거의 회로의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연피케이블 LCC

 

보호와 차폐의 목적으로 연으로 외장한 케이블.

 

광원 LC

 

빛을 내는 원천으로 자기가 빛을 방사하는 1차광원과 다른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 또는 투과시켜서 비치는 이차광원이 있다. 또 광원의 크기와 형에 의해 직광원, 원광원 등으로 부르는 것이 있다.

 

링크회로 LC

 

2개의 인덕턴스 코일과 이것을 결합하는 도선(導線)으로 된 회로를 독립한 두 회로 사이에 삽입하여 이것을 통하여 전력을 이동시킬 때 이 중간회로를 링크회로라고 한다.

 

부하곡선 LC

 

부하의 시간적 변화(대개는 하루동안의 변화)를 곡선으로 나타낸 것.

 

부하전류 LC

 

부하를 걸어줌에 따라 기기(전동기, 발전기, 변압기 등)에 흐르는 전류.

 

선로정수 LC

 

1차정수와 2차정수가 있으나 1차정수는 선로의 단위길이당의 분포 inducdance L, 용량 C, 저항 R, 컨덕턴스(conductance) G를 말한다. 2차정수는 특성 impedance 감쇠정수 및 위상정수를 말한다.

 

연축전지 LBAT

 

양극을 과산화연 음극을 연으로 하고 전해액으로서 희황산을 쓴 축전지.

 

피뢰기 LA

 

뇌서어지(雷surge), 회로의 개폐(開閉), 아아크 접지(아아크 接地) 등일 때 일어나는 이상전압을 대지에 방전하여 회로전압을 일정치 이하로 보전하고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절연파괴(絶緣破壞)등의 장애를 방지하는 장치인데 관형(辦形), 저항형, 자기(磁氣)취부형 등 각종이 있다. 일례로서 선로정격 전압 154kV의 것으로 피전기제한전압 170kV, 방전전류 2360A.

 

부하 L

 

① 전력 또는 동력을 소비하는 것. 그 전력 또는 동력을 가리키기도 한다.

② 전력을 소비하는 전기기계기구 또는 회로요소의 총칭. 즉 전동기 전등·전열기 등은 전력을 받고 여러 가지 일을 한다. 이들을 총칭하여 부하라고 하는 것이다.

③ 이른바 「Loading」은 부하(負荷)라고 하는데 이는 적당한 유도량을 선로에 부가하여 그 유도량을 더함으로써 선로의 손실을 경감하는 것. 집중부하(集中負荷)와 평등부하(平等負荷)가 있다.

 

키르히호프의 법칙 Kirchhoff′s law

 

제1법칙과 제2법칙의 2가지가 있다. 제 1법칙은 도선망중 임의의 분기점에 유입하는 전류와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합는 영이다. 제2법칙은 도선망중 어느 폐회로에 대해서도 그 회로중에 흐르는 전류와 그 회로의 저항값의 적의 대수합는 그 회로망 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전력의 대수합와 같다. 단 회로중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일정하다.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부호를 (-)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주울 J

 

에너지 및 일의 MKS단위. 에르그의 107배, 양(量)기호는 J. 1[J]은 물체에 1[N]의 힘을 가하여 그 힘의 방향으로 1[m]움직이는데 필요한 일이다. 1[W]의 전력이 1초간에 행하는 일과 같다.

 

동위원소 Isotope

 

아이소토오프(isotope) 또는 동위체라고도 한다.

 

반한시-정한시특성 Inverse definite time-limit characteristic

 

동작에너지(energy)의 어떤 범위에서는 반한시특성이며 어느 정도를 넘으면 정한시특성이 되는 한시특성(限時特性).

 

역상 Inv-image

 

텔레비젼 수상관의 영상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반대가 된 이것은 수상관 그리고 전압의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반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폭단이나 단수 또는 결합에 따라 일어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재의 종류  (0) 2009.04.09
케이블 가교비닐절연 비닐 시스  (0) 2009.04.09
배선공사   (0) 2009.04.09
전선의 접속   (0) 2009.04.09
연락차단 케이블공사   (0) 2009.04.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