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상전압 Inv-Volt

 

V2=(Va+a2Vb+aV0)/3을 말한다. Va,Vb,Vc는 3상전압을 a=-1/2+j(√3/2)이다.

 

역방향전류 Inv-Current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흐르기 힘든 방향의 전류

 

내부저항 IntR

 

① 진공관에 있어서 그리드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양극전압을 변화하였을 때의 양극 전류의 변화율, 또는 전지에 있어서는 전극간의 저항인데 일반적으로 내부의 저항. 보통의 일차전지의 내부저항은 0.1∼3Ω정도.

② 전지, 전기기기, 전기계기 등의 단자간에 있는 저항.

 

애자 Insulator

 

전기공사에서 전선 기타의 것을 지지하는데 쓰이는 도체의 절연물로 사용전압, 사용목적으로 한 명칭이 있다. 또 원료도 에브나이트, 붕산유리, 마이카렉스 등으로도 만들어진다.

 

 

계장 Instrumentation

 

측정장치와 제어장치등을 장비하는 것.

 

절연 Ins

 

전류의 통과를 방해하는 것.

 

입력콘덕턴스 Input-G

 

그리드콘덕턴스(Grid condutance)라고도 하며, 진공관의 양극전압을 일정하게 한 경우의 격자전류의 변화와 격자전압의 변화의 비로 나타낸다.

 

입력 Input

 

전기기기에 있어서 전력을 받아 들이는 쪽을 입력측, 보내는 쪽을 출력측이라소 한다. 진공관에 있어서는 그리드측에 가해지는 전력이 입력이다. 즉 기기의 동작을 위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에너지

 

관성 Inertia

 

전기회로에 있어서 인덕턴스가 있을 때 전압을 갑자기 가하여도 전류는 갑자기 증가하지 않고 또 전압을 갑자기 제거하여도 전류는 그대로 계속 흐르려고 한다. 이 현상은 물체의 관성과 비슷한 점에서 인덕턴스는 전기적 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조도계 Illuminometer

 

어느 면의 조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계기로 machbeth, weber, Tharp miller등 각종이 있다.

 

절연전선 IW

 

나전선을 고무, 지, 면사, 견사 등으로 피복하거나 또는 에나멜(enamel)등을 말아 절연을 보환 전선. 1종 및 2종 면 절연전선, 고무절연선, 비닐절연선 등 용도에 의해 각종이 있다.

 

충격전압시험 IVT

 

충격내전압, 충격 Brach over전압, 충격파괴전압 시험 등의 총칭.

 

애관 ITPB

 

전선이 외부와 또는 전선이 서로 접속하는 곳에 사용하는 백색의 도체인 절연용의 관.

 

절연내력 IS

 

절연이 파괴하는데 이르는 전압을 시료의 두께로 나눈 것을 말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kV/mm로 나타낸다.

 

유도기 IS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1차급·2차의 2권선을 준비하여 1차권선에서 2차권선에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에너지를 전하여 회전하는 교류전기기기로 보통 1차는 고정자 2차회전자에 감겨서 동기속도와 다른 속도로는 회전하고 교류전동기 혹은 발전기로 작용하는 것.

 

유도리액턴스 IR

 

① 인덕턴스에 의한 리액턴스 교류 인덕턴스중을 흐르면 이부분에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전압강하와 전류와의 비(比)로써 유도 리액턴스의 값을 나타낸다. 주파수 f인 교류에 대하여 L헨리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유도리액턴스는 2πfL음이다. →인덕턴스→리액턴스 참조

② Inducdance L, 저항 R, 용량 C되는 직렬회로에서 임피이던스(impedance)는 Z=√(R2+(ωL-(1/√ωC))2) 로 되며 이 식중에 있는 ωL의 것을 말한다.또 1/ωc를 용량 Reactance라 한다. 어느것이고 단위는 (Ω)

 

인버터 INV

 

방전관을 이용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화시키는 장치.

 

유도전동기 IM

 

교류전동기의 일종으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3상용과 단상용이 있다. 고정자 coil로 회전자계 또는 이동자계를 만들어 회전자 coil 또는 도체는 이것을 끊어서 기전력을 유도하고 여기에 생긴 전류와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3상유도 전동기에는 권선형과 농형이 있어 단상유도전동기에는 시동방법에 의해 반발시동형 condenser시동형, 셰이딩코일(shading coil)외 수종이 있다.

 

조명율 ILOEF

 

어느 면이 받는 전광속(全光束)을 광원의 전광속으로 나눈 것. 조명효율과 거의 같은 것.

 

조명효율 ILEF

 

조명설비에서 작업면(통상 상상 85㎝)에 투과하는 광속과 설비된 전구 전체가 발생하는 광속의 비.

 

철손 IL

 

철이 지닌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손과 와전류손을 합친 것으로 철심에 생기는 전력손실.

 

유도기전력 IEF

 

①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생기는 기전력으로 발전기에서 유도기전력은 자속밀도를 B(wb), 1(m)은 자계를 직각으로 끊는 도체이며 (길이)V(m/s)의 자속을 끊는 속도라 하면 e=Blv(V)로 나타낸다. 전자유도작용의 항 참조.

②전자(電磁) 또는 정전유도에 의해 생기는 기전력. 즉 트랜스의 2차측에 생기는 기전력 또는 전파의 작용으로 수신안테나에 생기는 기전력 등은 이 예이다. →전자유도, 정전유도

 

전자배전반 IED

 

디지털 기술로의 적용으로 기존의 하나의 보호계전 기능을 가진 아날로그 장치를 대체하는 다기능 지능형 보호계전 장치이다.

 

유도전류 IC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생긴 유기전압에 의해 흐르는 전류.

 

유도성회로 IC

 

inductance를 포함한 회로, 또는 고주파 등에서 전체를 inductance로 보는 회로.

 

절연협조 IC

 

송전선과 기기에서는 하나만 절연이 좋아도 못쓰고 애자라든가 지지물, 선간격 등 무엇이고 상호의 절연간에 합리적인 관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입/출력 I/O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이다.

 

헤르츠 Hz

 

주파수의 단위인데 사이클(cycle)과 같음.

 

난조 Hunting

 

발전기, 변류기 등의 부하가 변화했을 때 원동기의 속도가 변화하여 그 출력을 새로운 부하에 대응시키는 것이나 회전체에 관성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부하에 대응할 때까지 전압이 진동하는 현상. Humting이라고도 한다.

 

하울링 Howling

 

반결합(反結合)에 의하여 발생하는 발진에 의한 잡음.

 

외피 Housing

 

회전 전기의 외주를 껍질로 보호하는 부분으로 내부를 보호하고 또 통풍의 공기통로를 회전기본체와의 사이에 만든다. 또 수차에서는 수차의 외축을 둘러싼 껍질(케이스)을 말한다.

 

정공 Hole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말로 전자가 결합이 떨어진 부분의 정의전하를 갖은 곳에서 전기전도작용을 갖는다.

 

낙차 Head

 

어느 량의 물이 어느 높이에 있으면 그량이 그 높이로 갖는 위치 에너지에 상당한 일을 한다. 이 물의 높이를 말한다. 단위는 [m]

 

고조파 Harmonics

 

하나의 임의의 파형을 생각하면 그 기본이 되는 정류파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로부터 되는 것을 수학에서 알게된다. 그리하여 그 기본이 되는 정현파를 기본파라 부르고 그 기본파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를 고조파라 부른다. 그리하여 몇배의 주파수를 갖고 있는가에 의해 이자조파, 삼차조파라 말하고 또 우수배의 조파는 우수조파, 기수배의 것은 기수조파라 부른다.

 

행거 Hanger

 

전차선의 가공선의 이어(ear)와 스팬(span)선을 잇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기구.

 

고압애자 HTI

 

고압전선용의 애자로 고압핀애자, 고압인류애자, 건조브러시오우버(brachover)전압은 6kV용으로 pin형은 50,000V 인류는 30,000V정도이다.

 

고차진동 HOSC

 

일반적으로 전자진동에 있어서 기본진동(基本振動)과 다른 동작전압이 일어나는 복잡한 진동형태를 말한다. R-K 진동에 있어서의 왜소파진동(倭小波振動) 마그네트론(magnetron)의 자난자계보다 큰자계에서 일어나는 파장의 보다 큰 진동반사형 클라이스트론(klystron) 반사형의 기본진동에 비하여 낮은 플레이트 전압으로 발생하는 같은 파장 소출력(小出力)의 진동등은 그예다.

 

고저역여파기 HLPF

 

어떤 주어진 주파수대의 전류는 통과하지 않으나 그 대역보다 높은쪽과 낮은쪽의 주파수의 전류는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필터로서 수신기에서는 혼신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보통 대역소거여파기라고도 한다.

 

열손 HL

 

전기기기에 있어서 전력이 열로 되어 손실되는 것을 말한다. →주울열

 

히스테리시스손 HL

 

교류에 의하여 자성체. 즉, 철과 같은 것을 자화하면 자속밀도는 히스테리시스 관성을 그리고 이를 요하는 에너지는 열의 세력으로 바뀌어 철심중에서 소비되고 만다. 이것을 히스테리시스손이라고 한다. 자속밀도→철손

 

고주파계기 HFI

 

가청주파수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측정에 사용하는 계기로 열선형, 진공관형, 열전형, 열전대형등이 사용된다.

 

고주파탐상법 HFDM

 

금속의 탐상법의 하나로 와전류의 분포가 상처가 있는 것은 불균일하게 되어 손실이 증가하는 것으로 이손실 측정보다 상처의 유무를 알게 된다.

 

고주파케이블 HFC

 

동축케이블, 동축코오드등 고주파전송용의 케이블로 무선통신의 공중선급전선 텔레비젼과 다중전화등의 광대역전송선로등에 사용된다.

 

고주파 HF

 

높은 주파수로 무선통신등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말할때도 있고 무선통신에서 저주파 고주파로 나누어서 반송파로 닿는 것을 고주파로 부를때도 있다.

 

고조파필터 HF

 

고주파를 없애기 위해 회로에 넣는 filter

 

경동선 HDCW

 

상온에서 선인(線引)한대로의 동선 도전을 96∼98% 인장의 세기 항장력 35∼48kg/mm²로 140kV급이하인 송전선로에 널리 쓰이고 있다.

 

열음극 HC

 

열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장치한 열전자관내의 음극의 뜻.

 

고조파함유기 HC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의 크기 일그러짐의 정도를 나타낸다.

 

 고주파 HF

 

높은 주파수로 무선통신등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말할때도 있고 무선통신에서 저주파 고주파로 나누어서 반송파로 닿는 것을 고주파로 부를때도 있다.

 

고조파필터 HF

 

고주파를 없애기 위해 회로에 넣는 filter

 

경동선 HDCW

 

상온에서 선인(線引)한대로의 동선 도전을 96∼98% 인장의 세기 항장력 35∼48kg/mm²로 140kV급이하인 송전선로에 널리 쓰이고 있다.

 

열음극 HC

 

열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장치한 열전자관내의 음극의 뜻.

 

고조파함유기 HC

 

증폭기의 출력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의 크기 일그러짐의 정도를 나타낸다.

 

하드웨어 H/W

 

설비와 장비를 표현하는 경우와 컴퓨터의 각종 전자기판과 부품을 대표하기도 한다.

 

자기인덕턴스 H

 

자기유도(磁氣誘導)에 의하여 생긴 기전력(起電力)은 시간에 대한 전류의 변화 비율에 비례한다. 이 비례상수(比例常數)를 자기인덕턴스라 한다. 1암페어의 전류를 회로에 흐르게 하였을 때 그 회로 자신에 쇄교한 자속수(磁束數)를 L이라 하고, di암페어만큼 전류치가 변화하였다고 하면 그것에 대응하는 자속수의 변화 dΦ는 dΦ=Ld로써 표시된다. 그런데 dt초중에 dΦ만큼 자속수가 변화할 때 그것에 쇄교하여 있는 회로중에는 -(dΦ/dt)=-L(di/dt), 여기서 (di/dt)는 전류의 변화시간에 대한 비율이다. L은 그 회로의 자기인덕턴스이다(E는 전류변화의 반대방향을 취하므로 역기전력이라고 한다) L의 실용단위는 헨리이다.

 

인덕턴스 H

 

① 자기인덕턴스 및 상호인덕턴스의 총칭. 그 단위는 헨리로 표시된다.

② 송전선 1조(條)당 인덕턴스.

③ 유도계수.

④ 전류가 전선에 흐를때 나오는 자력선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특히 코일인데 이 현상이 현저하다 그리고 여기에는 상호 인덕턴스와 자기 인덕턴스와의 2종이 있어 전자는 접근한 2개의 전기회로의 일방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자력선이 변화하고 그때 이 회로에 기전력을 일으키므로 그 일어나는 전압은 양회로의 형상, 코일의 권수등에 의해 변하는 것으로 이것을 상호유도라 한다. 여기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e라 하면 흐르는 전류와의 사이에 e=-M(di/dt)라는 관계가 있다 이때의 계수M을 상호 인덕턴스라 부른다. 또 한편 자기 인덕턴스란 하나의 회로내에서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그 전류에 의해 자력선이 발생한다. 이 자력선을 방해하려는 방향에 기전력이 유기되어 전류의 변화에 반대하려는 작용이 일어난다. 이때 자기유도작용에 의해 도선내에 유기되는 전압을 e라 하면 도체에 흐르는 전류 i와의 사이에 e=-L(di/dt)라는 관계가 성립한다. 이 L을 자기 인덕턴스라 부른다. 실용단위는 헨리(H)를 사용한다.

 

궤간 Gauge

 

궤도의 간격이란 말이며 궤간에는 협도와 표준궤간이 있는데 협도는 1.067m이고 표준궤간은 1.435m로 구미각국에서 널리 사용한다.

 

보호선 GW

 

고압선과 저압선, 통신선 등의 혼촉을 막고 기기를 장애(障碍)에서 지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접지(第三種)된 도선. 절연저항 측정의 표면누설전류방지(表面漏泄電流防止)의 프라이스씨 선.

 

가스세정기 GW

 

가스중인 불순물을 액체로 세정(洗淨)하여 제거하는 장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GUI

 

컴퓨터 장치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단순한 입력방식을 탈피하여 화려한 컬러등을 조합한 객체와 편리한 입력도구 등을 사용가능하록 발전된 형태의 연락장치이다.

 

글로우관 GT

 

글로우 방전을 이용한 것으로서 텔레비젼의 수상(受像) 터어키(talkie)의 녹음등의 광원(光源) 또는 표시등(表示燈)으로 사용된다. 또 형광등의 점등용(點燈用)으로도 사용된다.

 

게이트신호 GS

 

일반적으로 제어입력단(制御入力段)에 특정한 제어입력신호가 전달되는 회로 또는 반대로 그 기간중 신호의 전달을 막는 회로를 게이트회로라 하며 이제어신호를 게이트신호라 한다. 게이트회로 참조

 

위성위치확인시스템 GPS

 

미국에서 발사한 저고도 24개의 정지위성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는 장비이다. 최초 군사목적으로 개발되었고, 레이건 대통령때 일반 용도로 사용가능도록 암호화를 풀었으며, 아직도 위성에서는 군사용과 일반용과의 일정오차를 유지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한다. 위성데이터에는 현재 표준시각과 위성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수신기는 이 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해 낸다. 대표적인 데이터 방식은 IRIG-B/A등이 있다.

 

접지 GND

 

기기, 지락, Earth라고도 부른다. 도체를 지표에 연락한다는 것으로 여기에 의해 대전하고 있는 물질은 대전을 잃는다. 또 때로는 어느 대전체와의 감응에 의해 이것과 역의 대전을 한다는 것으로 접지라 불리우는 것은 어느 목적을 갖고 전로를 대지와 전기적으로 이어지는는 것이고 또 지락(地絡)이라 하는 것은 전로의 이상상태라 하여 전로의 일부가 대지와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것.

 

그리도중화 GN

 

3극관을 사용한 고주파증폭기〈주로송신기〉에 있어서는 플레이트 그리드간의 정전용량 때문에 발진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 정전용량을 중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중화용의 궤환 전압을 그리드 탱크회로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총체적으로 보아서 플레이트 중화법보다는 좀 떨어진다. 격자중화.

 

기본잡음 GN

 

열잡음, 진공관 잡음등의 순잡음을 말한다.

 

격자변조 GM

 

이것은 제어격차, 차폐격차, 억제격자의 세가지 변조방식의 총칭. 이 격자에 변조 주파수의 출력을 넣어서 변조를 행하는 것이다. 간단한 것이 특징.

 

도시법 GM

 

사물을 그림 또는 graph로 하여 나타내는 방법.

 

단절연 GI

 

전부를 한꺼번에 절연하지 않고 절연강도에 단계를 둔 것.

 

전주 GE

 

주형의 외면 또는 내면에 흑연 등을 칠하고, 거기다 전해로 금속을 침착시키는 것으로서, 동상이나 메달 제작에 이용한다.

 

가스전지 GC

 

수소를 양극, 염소 또는 산소를 음극으로 하는 전지이나 가스저류조(貯溜槽)가 필요하므로 불편하다. 기전력은 1∼1.3V

 

격자회로 GC

 

진공관의 격자와 음극관의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회로.

 

그리드콘덕턴스 GC

 

다른 전극전압의 미소변화와 그리드전류의 미소변화의 비로서 표시되는 콘덕턴스

 

콘덕턴스 G

 

① 저항의 역수(逆數), mho[?].

② 전류를 이끄는 능력을 말하며 직류회로에서는 저항의 역수와 같고 교류회로에서는 어드미턴스의 실량부와 같다. 단위는 옴(ohm)의 역수인 모(mho)로 나타내며 기호는 G 또는 g를 사용한다.

 

발전기 G

 

①전력을 발생하는 회전기로써 직류발전기(直流發電機), 동기발전기(同期發電機), 유도형발전기(誘導型發電機)로 대별하며 용도에 따라 종류나 형식이 여러 가지 있다.

②기계동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기.

 

자유진동 Free-OSC

 

스프링에 무건운 추를 달아매고 일단 손으로 추를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추는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가하여 주는 힘이 없어진 뒤에도 지속(持續)하는 진동을 자유진동 또는 감폭진동이라고 한다. 이 자유진동의 주기(周期)는 추의 무게와 스프링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되며 진폭의 대소에는 거의 관계가 없다. 전기회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를테면 충전(充電)된 콘덴서를 저항이 작은 코일을 병렬로 연결하면 콘덴서의 방전은 진동적으로 행하여진다. 곧 자유진동을 하게 되며 이때의 진동주기는 회로정수(回路定數)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을 고유주파수라고도 한다.

 

플리커잡음 Flicker noise

 

가청주파수(可聽周波數) 특히 산화물 음극을 가진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예기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잡음이 관측되는데 이것을 플리커잡음이라고 한다. 이것은 게르마니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의 반도체(半導體) 잡음과 여러 점에 있어서 공통성을 가진다.

 

플리커 Flicker

 

텔레비젼에 있어 화면이 얼른거리는 것을 말한다. 수상기의 진공관이나 그밖의 부분품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지만 주로 조정불량 또는 외래잡음에 인할 때가 많다.

 

필터 Filter

 

어떤 파장대(波長帶)의 일부분을 제거(除去)할 목적으로 콘덴서(condenser) 및 코일(coil)을 조립하여 만든 회로인데 상부대역을 지나게 하든가 하부대역을 지나게 하든가 어느 대역만을 지나게 하든가에 따라 고역(高域), 저역(低域), 대역(帶域)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파기(濾波器)라고도 한다.

 

금전점 Feed point

 

전류를 흘려넣는점 안테나에 급전할 경우에는 전류급전이던가 전압급전에 따라서 급전점이 다르다. 즉 전류급전에서는 전류복(電流腹)인 점이, 또 전압급전은 전류파절(電流波節)인 점이 각각 급전점이 된다. 즉 급전선과 배전의 간선(幹線)과의 접속점.

 

맥동전압 FV

 

진공관에 있어서 열요란, 쇼트효과 또는 플리저효과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적은 전압의 변화를 말한다. 또 직류와 교류전압이 겹친 모양의 전압을 맥동전압이라고 할 때도 있다.

 

침입파 FSW

 

송전선(送電線)등을 진행파(進行波)가 진행할 때 접합단(接合端)에서 그 일부는 반사되며 나머지는 계속하여 진행한다. 전자(前者)를 반사파, 후자(後者)를 침입파라고 한다.

 

강자성체 FS

 

자기유도작용이 센 물질로 철, 니켈, 코발트 등의 비투자율이 1 이상인 것.

 

형광등 FL

 

① 열음극 저압 수은 등에서 내는 가시광선을 형광물질에 대고 발광시킨 방전 등으로 전력이 적게 들고 또 광색을 자유로 선택하는 이점이 있다. 색온도 3500∼6500°K, 효율 25∼35lm/W, 수명 2000시간이상

② 형광을 이용한 방전관등. 저압수은등의 관벽에 형광체를 도포하고 수은의 2537A°인 자외선을 광선으로 바꾸어 이를 조명에 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률저하의 원인   (0) 2009.04.10
역률이란?   (0) 2009.04.10
조명기구 제작시방 특기사양   (0) 2009.04.09
피뢰기(Light Arresting)  (0) 2009.04.09
접속재의 종류  (0) 2009.04.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