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속기기
1)콘덴서용 직렬리액터
(1)역률개선으로 콘덴서를 사용하면 회로의 전압이나 전류파형의 왜곡을 확대하는 수가 있고 ,
때로는 기본파 이상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방지대책이 요구된다.
(2)고조파를 줄이는 방법 - 직렬리액터를 삽입한다.
- 제 3고조파에 대한 대책 - 콘덴서 리액턴스의 13%가량의 직렬리액터 삽입
3wL > 1/3wC
wL > 1/9wC = 0.11 x 1/wC ... 실제 13% 직렬리액터 삽입
- 제 5고조파에 대한 대책 - 콘덴서 리액턴스의 4%이상 되는 직렬리액터의 리액턴스가 필요
하지만 실제로 주파수 변동,경제성등을 감안 6%를 표준으로 한다.
5wL > 1/5wC
wL > 1/25wC = 0.04 x 1/wC
(3)사용할 때 주의사항
- 콘덴서 단자전압의 상승
6% 리액터 삽입에 의해 콘덴서 단자전압은 약 6%상승, 콘덴서 전류도 6%증가한다. 따
라서 콘덴서는 약 13%의 용량이 증가한다.
- 콘덴서와 용량을 합치는 일
리액터용량이 적정하지 않으면 오히려 선로정수만 증가시켜 무효전력만 증가시킨다.
- 콘덴서 전류가 정격전류의 120%이상이면 반드시 직렬리액터를 사용한다.
- 콘덴서 투입시 돌입 과대전류로 인해 CT 2차측 회로에서 플러시오우버 함으로 직렬리액
터를 반드시 접속
2)방전코일(Discharge Coil)
사용목적은 콘덴서회로를 전원으로부터 개방하면 즉시 잔류전하를 방전해서 위험을 제거한다.
방전코일은 철심을 사용하므로 포화에 의한 리액턴스 감소 때문에 큰 방전전류를 흘려
서 방전을 속히 완료시킨다.
3)억제저항
콘덴서를 투입하거나 개방할 때 큰 돌입전류가 흐르거나 과도적 이상전압이 발생하므로 돌입
전류만을 억제하기 위해 콘덴서리액턴스의 10 ~ 20% 정도의 억제저항이 사용된다.
4)차단기
단락보호용 차단기와 콘덴서 조작용 차단기가 있다.
(1)단락보호용 차단기는 유입차단기,애자형차단기가 사용된다.
(2)콘덴서 조작용 차단기는 유입차단기,유입개폐기가 사용된다.
(3)차단기 선정시 고려사항
- 정상전류의 수배가 흐르는 돌입전류로 인한 접점의 오손, 절연유오손에 대한 고려
- 90도 진상전류가 흐르므로 재점호에 대한 고려
- 하루 1 ~ 2회 정기적으로 개폐시키므로 기계적충격등에 대한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