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차단기 종류
영역 |
영역한계 |
생 리 학 적 영 향 |
AC-1 |
a선 이하 |
. 보통, 영향 없음 (지각한계 = 0.5mA) |
AC-2 |
a선과 곡선b사이 |
. 보통, 유해한 생리학적 영향 없음 (이탈한계 = 10mA) |
AC-3 |
곡선b와 c1사이 |
. 보통, 예기치 않은 기관장해는 없음. . 근육경련 및 호흡곤란, 심장의 자극형성과 전도 가역성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음. . 전류크기와 시간 경과에 따라 일시적 세동(細動) 및 심실세동이 없는 과도한 심장박동정지를 포함. |
AC-4 |
곡선c1 초과영역 |
. 영역 AC-3영향에 더해 심실세동 발생확률은 곡선 c2의 5%에서 곡선 c3의 50%까지이며 곡선 c3를 초과하면 50%이상 증가함. . 전류크기와 시간 경과에 따라 심장정지, 호흡정지, 심한 화상 등 병체생리학적 효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 (심실세동 한계 : c1곡선) |
일본의누전차단기 설치장소에 따른 정격감도전류
국가 |
|
국 내 |
일 본 | |||||||
규격 |
형식승인 |
KS |
JIS | |||||||
규격 번호 |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
KSC4613 |
JISC8371 | |||||||
정격 감도 전류 구분 (mA) |
IΔn≤5, 5<IΔn≤15, 15<IΔn≤30, 30<IΔn≤50 50<IΔn≤100, 100<IΔn≤200, 200<IΔn≤400 400<IΔn |
고감도형: 5, 10, 15, 30 중감도형: 50, 100, 200, 500, 1000 저감도형: 3000, 5000, 10000, 20000 |
고감도형: 5, 6, 10, 15, 30 중감도형: 50, 100, 200 , 300, 500, 1000 저감도형: 3000, 5000, 10000, 20000 | |||||||
정격동작시간 (Sec) |
IΔt≤0.03 0.03<IΔt≤0.1 0.1<IΔt |
|
IΔn |
1.4IΔn |
4.4IΔn |
|
IΔn |
2IΔn |
5IΔn |
500A |
감전보호형 |
0.03초 이내 |
|
| |||||||
고속형 |
0.1초 이내 |
고속형 |
0.1초 이내 | |||||||
시연형 |
0.1초 초과 2초 이내 |
시연형 |
0.1초 초과 2초 이내 | |||||||
반한시형 |
0.2<t≤1 |
0.1<t≤0.5 |
t≤0.05 |
반한시형 |
0.3<t |
0.15<t |
0.04<t |
0.04<t |
국내외 누전차단기 성능 및 제품규격 비교
국가 정격 |
일 본 |
미 국 |
국 내 | ||||
mA |
mS |
mA |
mS |
mA |
mS | ||
30mA |
일반형 |
23.7 |
20.7 |
- |
- |
22.3 |
17.1 |
15mA |
일반형 |
12.1 |
20.4 |
- |
- |
- |
- |
꽂음형 |
- |
- |
- |
- |
11.9 |
13.7 | |
6mA |
꽂음형 |
- |
- |
4.5 |
10 |
- |
- |
Code형 |
4.5 |
13.2 |
4.8 |
9.3 |
- |
- | |
Module형 |
- |
- |
5.1 |
10.2 |
- |
- |
최소동작전류 및 동작시간의 성능 분석
적 용 장 소 |
관 련 법 규 |
누전차단기의 적용 | |
1 |
기계기구의 철대외함의 접지공사가 곤란한 장소(물기가 있는 장소는 제외) |
.전기설비기술기준(해석제29조) .내선규정(1350-2) |
.정격전압 : 300V이하 .정적감도전류 : 15㎃이하 .동작시간 : 0.1초이하 |
2 |
가반식 및 이동식의 전동기계기구 |
.노동안전위생법규(제 333조) |
.정격감도전류 : 30 ㎃이하 .동작시간 : 0.1초이하 |
3 |
양식욕실내의 콘센트 |
.내선규정 (3202-2) |
.정격감도전류 : 15 ㎃이하 .동작시간 : 0.1초이하 |
4 |
전기온수기.전기난방기 등 심야전력기구 |
.내선규정 (3545-5) |
.정격감도전류 : 30 ㎃이하 .동작시간 : 0.1초하 |
5 |
C종 및 D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이 500Ω까지 완화하는 장소 |
.내선규정 (1350-1) |
.정격감도전류 : 100㎃이하 .동작시간 : 0.2초이하 |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19조) |
.정격감도전류 : 규정없음 .동작시간 : 0.5초이하 |
국가 규격 |
IEC / UL 규격 | |||||||||||||
IEC |
UL | |||||||||||||
규격 번호 |
IEC947-2AnnexB (CB-RCP) |
IEC1008-1 (RCCB'S) |
IEC1009-1 (RCBO'S) |
UL943 (GFCI) | ||||||||||
정격 감도 전류 구분 (mA) |
6, 10, 30, 100, 300, 500, 1000, 3000, 10000 |
6, 10, 30, 100, 300, 500, (1000) |
6, 10, 30, 100, 300, 500, (1000) |
Class A : 6 Class B : 20 | ||||||||||
정격동작시간 (Sec) |
Ty pe |
IΔn |
2I Δn |
5I Δn |
10I Δn |
Ty pe |
IΔn |
2I Δn |
5I Δn |
Ty pe |
IΔn |
2I Δn |
5I Δn |
Class A: t=(20/I)1.43 Class B: t=(80/I) |
일반 |
0.3 |
0.1 5 |
0.0 4 |
0.0 4 |
일반 |
0.3 |
0.1 5 |
0.0 4 |
일반 |
0.3 |
0.1 5 |
0.0 4 | ||
S |
0.5 |
0.2 |
0.1 5 |
0.1 5 |
S |
0.5 |
0.2 |
0.15 |
S |
0.5 |
0.2 |
0.1 5 |
인체 교류전류영향에 관한 시간/전류구역 (IEC 61200-413(1996))
추정접촉전압(Ut) [V] |
Z [Ω] |
I [㎃] |
t [s] |
≤50 |
1,725 |
29 |
∝ |
75 |
1,625 |
46 |
0.60 |
100 |
1,600 |
62 |
0.40 |
125 |
1,562 |
80 |
0.33 |
220 |
1,500 |
147 |
0.18 |
300 |
1,460 |
205 |
0.12 |
400 |
1,425 |
280 |
0.07 |
500 |
1,400 |
350 |
0.04 |
구 분 |
정격감도전류(㎃) |
동 작 시 간 | |
고감도형 |
고속형 |
5, 10, 15*, 3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인체감전보호형은 0.03초 이내 |
시연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2초 이내 | ||
반한시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2초를 초과하고 1초 이내 정격감도전류 1.4배의 전류에서 0.1초를 초과하고 0.5초 이내 정격감도전류 4.4배의 전류에서 0.05초 이내 | ||
중감도형 |
고속형 |
50, 100, 200, 500, 1,00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
시연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통과하고 2초 이내 | ||
저감도형 |
고속형 |
3,000, 5,000, 10,000, 20,000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
시연형 |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를 통과하고 2초 이내 |
누전차단기의 필요성
가. 감전재해로부터 인명을 보호
- 전기로 충만된 기기에 사람이 노출될 경우 빠른 시간 내 전로를 차단하여 인명을 보호하는 목적, 즉 접촉전압이 30V를 넘으면 안된다. 3종접지와 2종접지의 차이가 9배 이하로 접지되어야 하나 평상 저항치는 이와 역으로 되는 것이 상례이다. 예를 들면 R2 = 10Ω의 경우 R3 = 10/9 = 약1.1Ω이하로 되어야 되는데 통상의 접지공사에서 어려운 일이며 3종접지는 2종접지 보다 접지저항이 높은 값을 차지한다. 따라서 반대로 높은 저항치를 R3가 갖는 대신 짧은 시간에 전로를 차단하여 전위 상승을 방지하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누전차단기 설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 보폭전압과 접촉전압 저감법
* 전기기기 주변1m 위치에 깊이 0.2~0.4m보조 접지선을 개설하고 주 접지선과 접지
* 접지기기, 철주 위에 자갈, 콘크리트를 15cm정도 타설
(기기 주위에 2m정도는 콘크리트 타설, 그 주위에 자갈 등 포설)
과부하 및 단락 시 선로 차단
감전방지용 |
누전의 화재방지 | ||||
300v이하,100A 이하의 금속제 외함의 기기, 접지공사곤란한 장소경우 |
60V를넘는 저압의 금속제 외함의 기기를 사용하는경우 |
가변식,이동식의 전동기계류 |
로드하팅,플로어하팅,전기온상,비상용조명장치,유도등,소화설비,철도신호장치,병원수술실등 | ||
암반위,건물위에 사용하는 전동공구,FAN,공작기등 |
대형전동기,급배수펌프,일반전기기 |
ROOM에어컨, 난방기, 대형냉장고, 세탁기,,우물펌프등 |
전기드라이어,송풍기,팬,전기그라인더,이동식콤프레셔 |
전로 차단 경우 누전차단기 |
경보만을요구하는 경우 누전차단기 |
비접지,15mA |
210Ω이하, 200mA 100Ω이하, 500mA |
500Ω이하 30mA |
200Ω이하,30mA |
200mA,500mA |
200mA,500mA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류(電流) Ampere (0) | 2009.04.25 |
---|---|
전기안전상식 (0) | 2009.04.13 |
구조물 염해방지대책 (0) | 2009.04.13 |
형광램프 (0) | 2009.04.11 |
IC 이해 (0) | 2009.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