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電流) Ampere
전기가 전선 중을 흐를 때 1초 동안에 전선의 어느 한 점을 통과하는 전기의 양 1[A]의 전류는 1[Sec] 동안에 1[C]의 전기량이 이동하는 것
전압(電壓) Voltage
전기를 흐르게 하는 압력, 도체 내 두점 사이의 전기적인 위치에너지 차(差).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는 볼트(Volt)로 전압계로 측정한다.
선간전압(線間電壓)Line Voltage
다상교류 결선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도선사이의 전압을 말한다.
상전압(相電壓) Phase Voltage
교류 다상식 접속에 있어서 1상의 전압.
저항(抵抗) Resistance
저항이란 전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정도를 표시하는 것
저항손(抵抗損) Ohmic Loss
저항 중에서 소비되는 전력 손실을 “저항손”이라 한다.
전력(電力) Electric
단위시간 내에 기기나 장치에 소비 또는 발생하는 전기에너지의 양.
교류전력(交流電力)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단상전력[W] = 전압×전류×역율
교류전력 P는 전압의 실효값 E[V]와 전류의 실효값 I[A]의 곱에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θ의 cos을 곱한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교류전력이라 함은 유효전력을 말한다.
전력량(電力量) Electric Energy
어떤 일정한 전력이 어느 시간 일하는데 사용한 전기량. 즉, 전기가 하는 일의 양으로
전력×시간이다.
인덕턴스(inductance)
인덕턴스란 전자유도에 의한 전압이 유도된 세기를 말한다.
정전용량(靜電容量) Electrostatic Capacity
정전용량이란 콘덴서가 전기를 축적하는 크기를 말하며. 1[V]의 전압을 가할 때 1[C]의 전기량을 축적하는 양을 1[F]라 하며, 단위는 [㎌], [㎊], [㎋]로 쓰인다.
임피던스(Impedance)
교류회로에서 그림과 같이 V[V]의 전압을 가할 때 I[A]의 전류가 흘렀다고 하면 이 전압과 전류의 비 V/I를 임피던스라 하고, 일반적으로 Z의 기호를 사용하며 단위로는 오옴[Ω]을 사용한다.
양방향성 임피던스 (Bilateral Impedance)
인가전압의 극성에 관계없는 일반적인 임피던스이다. 즉, 전류의 방향이 달라져도 같은 임피던스 값을 갖는다.
어드미턴스(Admittance)
임피던스의 역수를 어드미턴스라 하며 통상 Y의 기호를 쓰고 [℧]의 단위로 표시한다. 따라서 어드미턴스는 전류의 흐르기 쉬운 정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직렬공진(直列共振) Series Resonance
Z = R이므로 Z의 값이 최소가 되어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는 최대가 된다.
병렬공진(並列共振) Parallel Resonance
전원에 대하여 L, C가 병렬로 접속된 회로에서 r를 콘덴서의 누설저항이라 하고, R를 인덕터의 손실이라 하면 실제로 r는 대단히 크므로 이를 생략할 수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르히호프 법칙 (Kirchhoff's Low) (0) | 2009.04.25 |
---|---|
분포정수(分布定數) Distributed Constant (0) | 2009.04.25 |
전기안전상식 (0) | 2009.04.13 |
누전차단기 종류 (0) | 2009.04.13 |
구조물 염해방지대책 (0) | 2009.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