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첩의 원리 (principle of superposition)

회로이론에서는 다수의 기전력을 포함한 도선망의 각 부분의 전류는 각 기전력이 겹쳐 합친 것과 같다. 이 원리는 선형 회로에 대해서만 성립한다.


캘빈의 법칙 (Keivin's law)

전선의 경제적인 굵기를 결정하는 기본원리이다. 전선의 단위 길이당 건설비에 대한 금리, 감가상각, 운전비의 합이 연간 여기서 없어지는 손실전력비와 같은 전선의 굵기가 가장 경제적이다


쿨롱의 법칙 (Coulombs law)

2개의 작은 대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양쪽 전기량의 상승적에 비례하고 그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역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자기에서도 두 자극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이 법칙에 따른다.


테브난의 정리 (Thevenin`s Theorem)

회로망 중의 임의의 2점 사이에 임피이던스 Z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그 임피이던스에 흐르는 전류 I는, Z를 접속하기 전의 2점 사이의 전위차를 V, 2점으로부터 본 회로망의 임피이던스를 Z라고 하면 I=V/(Z+Z′)로 주어진다. 이것을 “테브란의 정리”라고 한다.


토오크 (Torque)

토오크란 회전체가 그 회전축 둘레에 받는 힘의 모멘트이며, 축의 중심에서 힘의 작용점까지의 거리와 힘의 접선 방향이 성분과의 곱과 같다. 단위는 Nm, mN, kgwm, kgmJ/rad, Nm/rad, kgwm/rad등 여러 가지로 쓰인다.


톰슨 효과 (Thomson Effect)

균질의 금속선에 온도 구배가 있을 때 여기에 전류를 흘리면 열의 흡수 또는 발생이 생긴다. 이것을 “톰슨 효과”라고 한다. 전류를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흘리면 쇠는 열을 흡수하고 구리는 열을 발생한다. 쇠와 같은 물질을 톰슨 효과에서는 (-, 음)이라 하고, 구리와 같은 것은(+, 양)이라고 한다.


밀만의 정리 (Millmans Heore)

합성전압=개개의 전압원을 단락시 흐르는 전류의 총합/개개 전원의 어드미턴스의 총합을 말한다.


표피효과 (Skin Effect)

도체에 교류가 흐르게 되면 자극에 따른 기전력으로 도체내부의 전류밀도 균형이 깨진다. 따라서 도체 내부로 들어갈수록 전류밀도는 낮아지고, 위상각이 늦어지게 되어 전류(전자)가 도체외부로 몰리는 현상을 “표피효과”라 한다. 전선 단면적 내의 중심부일수록 자속 쇄교수가 커져서 인덕턴스가 증가하므로 중심부에는 전류가 흐르기 어렵게 된다.


허용 온도(許容溫度) Allowable Temperature

기기 또는 절연물의 성능이 별로 손상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고의 온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최고 허용 온도는 나전선에서는 100℃, 600V고무 절연 전선에서는 60℃, 또 절연 전선에서는 65℃로 되어 있다.


허용 전류(許容電流) Allowable Current

도체 또는 절연선 등에 흘릴 수 있는 최대의 전류를 “허용전류”라 한다. 이 전류는 도체 또는 절연물에 대한 최고 허용 온도로 정해진다.


히스테리시스손 (Hystersis Loss)

히스테리시스에 의해 생기는 손실을 말한다. 강자성체에서는 히스테리시스 루우프를 1회 돌 때마다 Wh =ρHdB [J/m³]의  히스테리시스손이 발생하여 강자성체 내에서 열로 된다.


와류손 (Eddy Current Loss)

교류자계에서 자성체를 자화하면 자속 변화에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고 줄열로서 소비하는 에너지를 “와류손”이라 한다.


단상(單相) Sigle Phase

하나의 회로망 있어서 하나의 교류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전류만이 있는 경우를 단상 교류라고 하며, 다상식에 대하여 단상이라고 한다.


렌쯔의 법칙 (Lenzs Law)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하여 회로에 생기는 유도 전류는 언제나 유도 작용을 일으키려는 원인을 막으려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법칙을 “렌쯔의 법칙”이라 한다.


배율기(倍率器) Multiplier

전압계의 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전압계에 직렬로 접속하는 저항기이다.


분류기(分流器) Shunt Resistor

전류계의 최대 눈금값을 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피측정 전류의 일정 비율만을 전류계에 흘리도록 하는 분로저항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