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등전위 접지의 소개
가. 공통접지 시스템
1) 공통 접지시스템은 자연접지체와 인공접지체를 등전위망의 조합에 맞게 하는 것이다. 강력한 낙뢰의 전류는 대지에 도달해서만이 그 힘이 중화가 되어 상대적으로 평형을 이루게 된다. 접지 성능의 좋고 나쁨은 효율의 높고 낮음을 보호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2) 공통접지시스템은 교류작업지역, 직류작업지역, 안전보호지역, 피뢰접지, 정전기 방지 접지를 공용으로 한 조로 만든 접지 장치이며, 내부 등전위 네트워크 연결로 구성된 공용접지 시스템이다. 접지 저항의 개소는 설비에 접합된 최소치로 확정한다.
<건축물 기초면에서 접지설계 예> <건축물의 각층 바닥면에 있어서의 공용지점의 설정 예>
나. 최근 세계 접지 기술의 변화
세계 모든 규격 및 접지 기준은 완전한 등전위 공통접지로 향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단독 개별접지는 접지저항치가 높고 낙뢰 시 과도임피던스(주파수) 특성이 좋지 않아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2) 단독 개별접지는 모든 서지, 노이즈의 원인이 되어 직격뢰, 유도뢰에 의한 기기파손이 확대된다.
3) 현재 사용하고 있는 1종, 2종, 3종, 특별3종 저항치의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다.
(1900년대에 일본에서 정한 규격으로 엄밀한 의미에서 "엉터리 기준")
일본에서도 이를 심각하게 인정하고 JIS규격 및 모든 관련 규격을 공통 등전위접지로 바꾸고 있다.
다. 등전위 공통 접지를 실시하면 좋은 점
(1) 낙뢰시 과도임피던스 특성이 좋아 전위 상승이 낮아진다.
(2) 유도뢰, 직격뢰 피습 시 전위 상승이 낮아 서지와 노이즈의 근본을 제거할 수 있다.
(3) 통신선과 강전선도 완벽히 등전위 접지시키면 접지로 인한 모든 우려사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 1 : 현재 서울 부산 KTX 고속철은 통신, 강전 등 모든 접지를 완벽하게 공통 등전위 시켜 운행하고 있다.)
(예 2 : 미국 NFPA 780 기준 내용 및 NEC 기준)
참고 :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가이드북” 및 “뇌와 정보 고도화 사회”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훅크온 메터 사용법 (0) | 2009.04.28 |
---|---|
계측기의 사용요령 (0) | 2009.04.28 |
이종금속의 접촉부식 (0) | 2009.04.14 |
전차선의 성능 (0) | 2009.04.13 |
차량한계 및 건축한계 (0) | 2009.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