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훅크온 메터 사용법

 

1) 개 요

Digital 표시 방식으로 기존의 Analogue표시방식의 Hood on meter보다 측정 범위가 광역화 되었으며 온도 및 주파수 기능이 부과되어 현장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Digital형 계측기의 단점인 측정값 판독의 난이함을 Normal Average pead 등의 Range로서 해소하였으며 10mA의 전류를 측정이 가능하여 누설전류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 Hook on meter라고 할 수 있다.


2) 훅크온 메터의 기능

 

◦ 표시

최대 “999” 액정표시 단위기호 표시

(AC A. AC V 측정에 있어서 5 Count 이하의 값은 “000”으로 표시)

◦ Range 절환

10A를 제외하고 자동 절환

◦ 입력 초과 표시

“OL" 표시

◦ 전지 소모 경고

B 표시가 점등

◦ 응답시간

AC A. AC V 약 3초 Ω 약1초

◦ 측정값 표시 시간

Averge : 약 4초간 1회       주파수 측정 : 약 1초간 1회

Valley : AC V AC A 측정 시 최대치 최소치를 보장

◦ 도체 위의 영향

코아 내의 어떤 위치에서도 ±2% rdg 이내

◦ 내전압

입력 터미널과 외함 및 코아간 AC 3000V/1분간

◦ 측정 가능

   도체 직경

 46mm 이하 또는 500mm×20mm부스바

◦ 최대 허용 입력

- AC A 최대 600A

- 10A Range에서 최대 100A

- 100. 1,000A Range에서 최대 1,400A(1분간)

- AC V 최대 1,500V(파고치)  

◦ 중량

약 500g

◦ 전원

9V

◦ 소비 전력

약 35mW

 

3) 취급방법

가) 교류 전류 측정

- Normal(통상) 측정

◦ 기능 SW를 “A”위치에 놓는다.

◦ 크램프 코아를 열어 도체를 크램프 내 중앙부에 넣는다.

◦ 도체는 필히 1선만 크램프에 넣는다.

   (단상 또는 3상을 동시에 크램프한 경우 측정되지 않는다.)

◦ Range는 자동절환되므로 표시값을 그대로 읽는다.

   (10A이하의 소전류 측정시 10A 절환 Range를 수동으로 눌러서 측정한다.)

◦ 500A를 넘는 대전류 측정 시는 코아부에 발열이 생기므로 단시간에 측정할 것

◦ 600A 이상 전로에서 전류 측정은 안전 확보를 위하여 피할 것

◦ 전류 측정 시는 전압 측정 리드. 온도 프로브는 본체에 연결하지 않는다.

 

- Average(평균화) 측정

◦ 모든 절환 SW를 눌러서 Average mode로 측정한다. 약 4초간 평균값을 표시하므로 측정 전류 변경 폭이 커서 표시값이 읽기 어려울 경우 사용한다.

◦ 기타의 경우는 Normal 측정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Normal 측정을 참고 한다. 다만 이 Mode에 있어서 10A SW를 절환하면 Normal Mode로 되돌아 간다. Average Mode로 하고 싶은 경우는 Mode절환 SW에 의하여 재 설정한다.

 

- Peak(최대치) 측정

◦ Mode 절환 SW를 눌러서 Peak mode로 한다.

◦ 이 Mode에 있어서는 측정 중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계속 유지하므로 전력의 최대수요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단 Normal이나 Average mode와 다른 10A와 100A의 두 렌지 (100A 렌지는 없음)는 되므로 측정 전에 적정한 Range를 선택한다.  이 Mode에 있어서 Reset SW를 눌러 이전의 Peak값을 제거하고 Peak값을 절환에 의하여 Normal mode로 되돌아 가므로 Valley 측정은 계속 할 때는 다시 Mode절환 SW에 의하여 다시 설정한다.

◦ Valley 값의 검출방식은 파형이 Valley 값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전류 또는 전압이 lever의 Valley 값을 검출한다  또 회로 시정수는 200m sec(3261)선 유지로 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Valley 값이 얻어지나 그 이하의 단시간 입력에 대하여는 측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나) 교류전압의 측정

◦ 기능 SW를 “V”로하고 Test lead를 전압 측정 단자에 꽂는다.

◦ 전압 측정의 경우에는 Average Peak Valley 주파수 측정이 가능하다.

◦ 각 Mode에 있어서는 전류측정 Mode를 참고한다.

◦ 대용량 전로에서 전압 측정시 단락, 감전사고 등이 없도록 충분히 주의한다.

◦ 1,000V 이상의 전압은 절대로 측정하지 않도록 한다.

◦ 전압 측정시는 크램프 센서를 열고 인체 기타 금속 등에 크램프의 금속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다) 저항 측정

◦ 기능 SW를 “Ω”으로 하고 Test Lead를 저항 측정 단자에 꽂는다.

◦ Test Lead를 Short 하여 0 MΩ 2초 후에 Adjust SW를 눌러 표시가 000Ω으로 되는 것을 확인한다.

◦ ADJ를 0.5초간 표시될 때 이때 OL이 표시될 경우에는 Fuse가 단선되었으므로 Fuse를 교환한다.

◦ 잘못하여 저항 측정 단자에 과전압(최고전압 250V까지)를 가한 경우 대용량의 차단능력을 갖는 0.5A의 소호제가 들어있는 유리관 Ruse에 의하여 내부회로가 보호된다.

◦ 저항 측정 Lead를 Short하지 않는 상태 혹은 측정 중에 영점 조정 SW를 누르면 정확히 측정이 않된다. 측정 중 잘못 누른 경우는 영점 조정을 다시 한다.


라) 온도 측정

◦ 기능 SW를 “Ω”으로 한다.

◦ 중앙의 공통 단자에 망선 프로그 Ω의 타 방향 단자에 흑색 리드 프로그를 꽂아 0 Adjust SW를 눌러 0으로 조정한다. 조정이 끝나면 흑색 리드 프러그를 빼고 적색 프러그 를 꽂아 Mode를 ℃(℉)로 선택하고 표시치를 읽는다.

◦ 0점 조정은 저항 측정과 똑같은 방법으로 하며 또한 측정 중에 잘못하여 0점 조정 SW를 누를 경우에는 저항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영점 조정을 합니다.

◦ -10℃ 또는 -14℉ 이하의 측정에 있어서는 선단 금속부에서 행하고 손잡이 및 코드는 온도측정 중에 비바람에 맞지 않도록 주의한다.

◦ 온도 프로브의 응답시간은 측정 장소의 열용량 비열 등에 따라 변화한다. 

   공기의 온도측정은 공기 배열이 대단히 작으므로 장시간이 소요된다.

◦ 전압이 증가되고 있는 장소의 측정은 피한다.

◦ 0점 조정 후 흑색 리드를 뽑지 않은 채(입력의 쇼트 상태) Mode℃ 또℉로 하면 OL을 표시한다.


마) 주파수 측정

◦ 기능 SW를 주파수 위치에 놓고 Mode SW를 누른다.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는 10HZ 까지다.  이 모드에 있어서 주파수 표시는 최대 측정 눈금의 수 % 초과 시에 나타난다.

◦ 주파수가 999HZ를 초과 할 때는 “OL"표시가 나타난다. 또한 주파수가 2kHZ 초과 시에는 표시판에 나타나는 값은 무의미한 값이다.

◦인버터를 가지는 회로와 특수파형을 만드는 다른 장치의 주파수 측정에는 사용할 수 없다.


마) 측정값 Hold 기능

◦ 표시가 읽기 어려울 경우 표시를 중지하여 읽고 싶을 때 사용한다.

◦ Hold SW는 모든 측정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4) 사용 시 주의사항

◦ 측정범위를 초과하여 과대 입력을 가하지 말 것

◦ 강한 잡음이 나는 장치 부근에서 사용하면 정확한 측정이 되지 않거나 표시가 안정되지 않는 일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 본체 Case는 고운에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온도가 높은 곳에 보관하지 말 것

◦ 운반 및 취급시 진동, 충격등을 가급적 피한다.

◦ 보존은 고운, 가습 결로시키는 장소를 피한다. 특히 직사광선 및 열적충격이 가하는 장소에 보존하지 않도록 한다.

◦ 사용후에는 반드시 전원 SW를 OFF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공사의 종류  (0) 2009.05.06
회로시험기(멀티테스타)사용법   (0) 2009.04.28
계측기의 사용요령  (0) 2009.04.28
공통 등전위 접지  (0) 2009.04.28
이종금속의 접촉부식   (0) 2009.04.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