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전제품의 접지 방법에 대하여
ㅇ 질의내용
☞ 다름이 아니라 저는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요 한달쯤 전부터 저희 집에 있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의 금속 표면에서 전류가 흐르는게 느껴집니다. 근데 컴퓨터의 경우는 그게 좀 심해서 모서리 같은데 만지면 깜짝 놀랄 정도로 전기가 옵니다. 근데 관리실에서는 별일 아니라고 하며 집이 습해서 그럴 수 있다, 어느집에서나 그 정도 전류는 흐른다 는 식으로 별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아니 가전제품의 표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이 그렇게도 당연한 일입니까?
혹시나 제 컴퓨터가 이상한가해서 친구집에 들고가서 확인해 봤는데 역시 이상 없더군요! 그렇게 당연한 것이라면 어느집에서나 같은 현상이 일어나야 하는 것 아닙니까? 답변 부탁드립니다.
ㅇ 답변내용
☞ 컴퓨터나 가전기기의 대부분은 기준전위를 내부 금속제 프레임에 연결하여 잡고있습니다. 특히 컴퓨터의 경우 전원트렌스의 중성점이 프레임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요. 따라서 전원 연결부의 접지라인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컴퓨터의 경우 외함이 주로 금속체이기 때문에 상당한 높은 전압이 검출됩니다.(특히 전원 콘센트 중간에 사용되는 멀티텝이 접지극부가 아닌 경우) 접지극부 멀티텝이라면 옥내에 인입하는 측의 접지선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경우 별다른 대책이라면 별도의 접지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컴퓨터나 가전기기의 접지단자와 수도꼭지, 알미늄 창틀 등에 연결하면 분명 괜찮아 질 것입니다. 가전기기의 경우 외함이 절연체인 이중절연이 기본이나 컴퓨터의 경우 외함이 철재로서 접지는 안전상 필수적인 시설입니다. 흔히 컴퓨터회사에서 공급하는 멀티텝도 접지극부가 아닌것이 대부분으로 이는 잘못된 상식에 따른 것으로 사료됩니다. 또한 컴퓨터나 오디오에 접지가 불확실한 경우 축적된 정전기의 방전로가 없어지기 때문에 부품의 파괴 등으로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지요.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접지 회로의 차단기 전단의 보호방법에 대하여 (0) | 2009.05.07 |
---|---|
접지공사 방법에 대하여 (0) | 2009.05.07 |
가전제품의 접지 방법에 대하여 (0) | 2009.05.07 |
자동차 접지원리에 대하여 (0) | 2009.05.07 |
상전압과 대지전압에 대하여 (0) | 2009.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