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협조(保護協助)

 

피 보호물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피 보호물의 주보호장치(Main Protecting Equipment)가 동작하여 고장이 제거되고, 피 보호물의 후비 보호장치(Back up Protecting Equipment)는 동작하지 않도록 주보호장치와 후비보호장치간에 시간차이를 두어 보호장치간에 시간협조를 시키는 것을 보호협조라 한다.

 

최종차단(最終遮斷, final trip)

 

재폐로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선로의 보호에서는 자동재폐로가 가능한 경우가 있고, 재폐로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후자인 경우와 같이 재폐로가 불가능한 경우에 차단되는 것을 최종차단(Final Trip)이라 한다. 즉 선로의 사고가 영구사고인 경우 자동재폐로 시도후 재차단되어 재폐로가 "Lock out"되는 경우를 말한다.

 

내부사고( 內部事故,  internal fault)


계전기의 보호구간(계전기 설치단)의 사고를 내부사고라 하며, 특히 반송계전방식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사고를 말한다.


외부사고( 外部事故, external fault)

계전기의 보호구간(계전기 설치단) 바깥쪽의 사고를 외부사고라 하며,  Relay사이 구간을 제외한 모든곳의 사고를 외부사고라 한다.

 

다중사고(多重事故,multi fault)

여러회로(다회선)의 송전선로에서 2회선 이상의 선로에서 동시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다중사고라 한다.

 

2차 임피던스 (secondary impedance)

 

전력설비(송전선, 변압기, 동기기 등)의 Impedance를 계기용변성기(CT, PT)의 2차측으로 환산한 Impedance를 2차 Impedance라 말하며, 이것은 거리계전기의 정정에 사용되는 Impedance로서 리레이 임피던스(Relay Impedance)라고도 한다.

즉 ZL : 전력설비의 임피던스

    Z : 2차 임피던스라고 하면

    Z = (V/PT비)/(I/CT비)

      = V/I×(CT비/PT비)

   ∴ Z=ZL×(CT비/PT비)

 

아크저항(arc resistance)

 

선간 또는 상과 대지간의 사고 때 발생되는 Arc는 유효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Arc는 저항으로 취급하여 아크저항이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