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종류(故障種類)

 

단락

 

동일한 전압회로에서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다른 충전부와 상호 접촉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지락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대지와 접속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단락지락 

 

동일한 시간에 지락과 단락 사고가 동일시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영구사고( 永久事故, permanent fault)

 

전선의 단락, 변압기의 고장, 지지물의 도괴등과 같이 사고를 복구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고장이 지속되는 것을 영구사고라 하며, 조수의 접촉, 수목 접촉, 낙뢰 등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사고가 발생하였다가 자연 소멸되거나 한번 전압을 무압시켰다가 다시 전압을 인가하면 자연복구되는 사고를 순간사고라 한다.

 

고장전류반전(故障電流反轉)

 

S/S부근 F점에서 falut가 났을때 A S/S. B S/S의 CB가 동시에 차단되지 않고 B S/S의 CB가 먼저 차단되었을 때 Line1의 고장전류는 처음에 Line의 A S/S측 CB차단 후에는 실선과 같이 반대로 고장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고장전류 반전이라 한다.


주파수변조 ( 周波數變調, frequency modulation)

 

반송통신에 있어서 전자파를 전파시킬때 이 전자파에 어떤 방법으로 전달하려고 하는 정보를 실려보내게 된다. 이것을 위해서는 보통 Single로서 전자파가 되는 고주파전류 즉 반송파(Carrier)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데 이때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정보에 따라 주파수만 변화시키는 방법을  주파수변조(Fre- quency Modulation)이라 한다.

 

기준용량(base MVA)

 

전압을 Volt, 전류는 Ampere, 용량은(피상전력) KVA, Impedance는 Ω등의 단위를 사용하여 전기적인 양은 표시해 왔으나 Per unit법(단위법)에서는 전압, 전류 또는 용량 등에 어떤 기준량을 정하고 그 기준량의 몇 배인가로 표시하는데 전압과 전류에 어떤 기준량을 취하면 용량과 Impedance의 기준량은 필연적으로 정해지게 된다. 여기에서는 기준이 되는 용량,전압,Impedance,전류등을 각각 기준용량,기준전압,기준Impedance,기준전류라 한다.

                

대칭좌표법 ( 對稱座標法,  symmetrocal component analysis)

 

삼상회로의 불평형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불평형 전류나 전압을 대칭적인 3개의 요소(Component)로 나누어 그 각각의 요소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로 하여 계산을 3회한 후 최후로 이러한 각 요소의 계산 결과를 중첩시켜 실제의 불평형값을 구하는 해법을 대칭좌표법이라 하는데, 이 대칭좌표법에 사용하는 3개의 대칭요소를 영상분(Zero Sequence Com- ponent),정상분(Positive Sequence Com- ponent),역상분(Nagative Sequence Com- ponent)이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