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조정율(速度調整率, Speed Regulation Rate)
수차나 터어빈의 조속기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지표로, 정격출력 정격회전수로 운전하고 있는 원동기의 부하를(조속기 설정치를 바꾸지 않고) 차단하여 무부하로 운전하였을 경우의 회전수와 정격회전수의 차(差)를, 정격회전수에 대한 비로 나타내며 보통 백분율로 나타낸다.
난조(亂調, Hunting)
전력계통의 동요에 의해 동기기가 그 입력과 출력간에 불평형이 발생하여 유도 기전력의 위상각이 주기적인 변동울 반복하는 현상으로 동기속도를 중심으로 회전수가 주기적으로 증가, 감속하는 것이다.
탈조(脫調, Step Out)
전력계통에서 정태안정 극한전력 이상의 전력을 송전하는 경우나 계통내 고장발생, 급격한 부하변동 등으로 과도안정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력계통에 접속된 동기기간의 동기운전이 불가능하여 급격히 분리되는 현상이다
동기화력(同期化力, Synchronizing Power)
동기기가 병렬운전중인 상태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동기기간의 위상각(동기)이 변화할 때 이것을 원래의 위상각(동기)으로 되돌리려고 작용하는 힘이다.
정태안정도(定態安定度,Steady State Stability [of a Power System]
전력계통에서 극히 완만한 부하변화가 생겼을 때 발전기가 동기를 유지하면서 안정하게 송전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의 최대전력을 정태안정 극한전력이라 한다.
동태안정도(動態安定度, Dynamic Stability)
정태안정도의 경우와 같이 극히 완만한 부하변화에 대하여 발전시의 자동전압 조정효과 및 계통부하의 전압-주파수특성 등 계통전압이나 전력을 제어 또는 변화시키는 제특성의 영향을 고려한 안정도를 말한다. 상기의 특성이외에도 조속기의 제어효과 등의 영향을 고려한 과도안정도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과도안정도(過渡安定度, Transient Stability[of a Power System])
전력계통을 안정하게 송전하고 있을 때 지락, 단락, 단선, 회로차단, 재폐로, 계통분리 등의 급격한 외란이 있어도 안정상태를 유지하여 계속 송전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의 최대전력을 과도안정 극한전력이라 하며, 이는 고장의 종류, 장소, 고장지속시간, 계통구성 등에 따라 다르며 보통 어떤 계통의 안정도는 과도안정 극한전류에 의해 나타난다.
안전전류(安全電流, Current Carrying Capacity)
도선(導線)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를 말한다. 그 크기는 전선의 종별, 주위온도, 사용장소 등에 따라 다르다.
전원제한(電源制限, Shedding of Power)
전력계통의 고장시, 수급평형의 유지나 안정도의 유지 또는 설비의 과부하 해소를 위하여 발전기 출력을 급속 억제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부하제한(負荷制限, Load Shedding)
전력계통의 고장시, 수급평형의 유지나 안정도의 유지 또는 설비의 과부하 해소를 위하여 부하를 차단하는 것이다.
직렬콘덴서(直列콘덴서, Series Capacitor)
전압강하의 개선, 안정도 향상, 루프계통의 조류분포 제어를 위해 장거리 송전선로와 직렬로 설치한 콘덴서이다.
제동저항기(制動抵抗器, Damping Resistor)
고장발생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상 발전소 인근 단자에 연결하는 저항기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렬 (並列, Paralleling) (0) | 2009.07.13 |
---|---|
속응여자방식(速應勵磁方式, Quick Response Excitation Systems) (0) | 2009.07.13 |
전력조류계산(電力潮流計算, Load Flow Calculation) (0) | 2009.07.13 |
운전기준전압(運轉基準電壓, Standard Operating Voltage) (0) | 2009.07.13 |
계통운용(系統運用, Power System Operation) (0) | 2009.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