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응여자방식(速應勵磁方式, Quick Response Excitation Systems)

 

  속응여자방식은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 중 발전기의 전압조정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즉, 고장시 여자계의 응답을 빠르게 하고, 아울러 여자정상전압을 크게 하여(일반적으로 사고시에는 단자전압이 크게 저하한다) 고장발생 후의 발전기 내부 유기기전력이 증대되도록하여 전기적 출력을 증가시키고, 잉여입력에 대한 감속에너지를 크게 하여 과도안정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초속응여자제어(超速應勵磁制御, Ultra Quick Response Excitation)

 

  계통 외란시에 발전기 단자전압의 변동을 신속히 억제하기 위해 여자전류를 고속으로 제어하여, 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발전기의 위상각 변동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는 것이다.


고속밸브제어(高速辨制御,  Relay Valve Actuation)

 

  계통고장에 의해 발전기가 가속될 때 터어빈 입력을 급속히 감소시켜, 발전기의 가속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전압프리커(電壓프리커,  Volatage Flicker)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짧은 주기의 전압변동을 말하며, 조명의 어른거림, TV화면의 동요 등 다른 기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전압불안정현상(電壓不安定現狀, Voltage Intensity)

 

  중부하 장거리 송전선의 일부 회선 정지 등에 따른 계통내 부하의 급속한 변동 또는 전압변화에 의해 수전단 전압이 계속 저하되어 정상전압의 회복이 어려운 현상


증분부하법(增分負荷法, Incremental Loading)

 

  등증분 연료비법이라고도 한다. 발전소 또는 각 발전기 간의 부하배분을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각 발전기의 증분비(단위출력을 증가하는데 요하는 증가 경비)를 같게 하도록 배분하는 방법을 말한다. 실제로는 출력증가에 수반해서 송전손실도 증가하므로 발전단에 있어서의 증분비를 수요단으로 환산하는 계수 페날티팩터를 고려하여 사용한다.

수력발전소에서는 단위출력을 증가하는데 필요한 증가 사용 수량을 화력발전소의 증분연료비와 동등하게 취급하고 있다. 이 경우 화력발전기의 단위수량의 경제가치를 수단가(水單價)라 한다.


증분연료비(增分燃料費,  Incremental Fuel cost of  Generation)

 

  증분연료비는 증분연료소비율에 연료단가를 곱한 것을 말하며, 출력 P로 운전중인 어느 발전기가 출력을 미소량 △P만큼 증가 시켰을 때 연료비가 △F만큼 증가했다고 하면 이때의 △F와 △P의 비율(△F/△P)로 되는 것이다. 즉, 연료비 대 출력특성간의 관계이다.


등증분연료비운전(等增分燃料費 運轉, Operation for Equal  Incremental Fuel Cost)

 

일반적으로 각 발전기출력 배분이 다음 관계를 만족할 때 최적 경제출력배분으로 되게 한다.

      λ = C   dFi/dPi

  여기에서, F : 연료비             P : 발전기출력

  즉, 화력계통에서 각 화력발전기의 증분 발전비용이 같게 되더록 각 발전기 출력을 배분해 주면 가장 경제적인 부해배분이 된다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각 발전기의 증분연료비가 균등하게 되도록 운전하는 것을 등증분 연료비운전이라 한다.


스윙모선(스윙母線, Swing BUS)

 

  전력조류계산에서 발전기모선과 부하모선에 유효전력을 지정하게 되는데, 모든 모선에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송전하는 과정에서 송전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전 모선의 유효전력을 지정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송전손실의 크기까지를 지정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계산에서는 발전기 모선중에서 한군데만을 풀어서(즉, 여기에서는 유효전력[P]을 설정하지 않음) 계통내의 송전손실분을 흡수 조정하는 모선으로서의 기능을 맡게 하고 있는데, (이 모선을 스윙모선이라 함) 여기에서는 유효전력과 전압의 크기를 지정하는 대신에 전압의 크기만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슬랙모선(슬랙母線, Slack BUS)

 

  전력조류계산에서 계통내의 각 모선 전압의 크기와 위상각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 모선을 기준모선으로 선택하여 위상각(δ)을 0°로 둔다면, 다른 모선들은 이 기준모선을 기준으로 하여 각 모선전압의 위상각이 얼마만큼 벌어지고 있는가를 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한 것인데, 이러한 기준모선을 슬랙모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어느 한 모선을 스윙 모선과 슬랙모선으로 사용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