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접점 (a contact)

 

계전기에 입력이 인가 되었을때 닫히고 무입력 상태에서 열려 있는 접점을 말한다.

 

b접점(b contact)

 

a점점과는 반대로 계전기에 입력이 인가되었을 때 열리고 무입력 상태에서 닫혀 있는 접점을 말한다.

 

양방향접점(兩方向接點)

 

한 개의 가동부가 계전기 입력이 영인 위치로 부터 두개의 방향에 이동할 수 있고 그 각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접점을 말한다. 예를들면 전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가를 한개의 계전기로서 식별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접점기구로서 입력이 영인 경우는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류가 어떤 한 방향으로 흐르면 좌측접점이 닫히고 전과 반대방향으로 흐르면 좌측접점이 닫히도록 하는 즉, 양방향에 대해서 개폐가 가능한 접점을 말한다.


 

 

 

                                         (a) a접점   (b) b접점         (c)양방향접점

[그림16]


접점용량(接點容量, contact capacity)

 

접점이 기계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이상없이 유지할 수 있는 부담의 한도를 말하는 것으로써 접점용량은 폐로용량, 개로용량 및 통전용량등을 총칭하여 말한다.

 

폐로용량(閉路容量, current closing capacity)

 

접점이 폐로할 수 있는 부담의 한도이며 보정하는 조건과 전압에서 폐로할 수 있는 전류 또는 VA로 표시한다.

 

개로용량(開路容量, current opening capacity)

 

접점이 개로할 수 있는 부담의 한도이며 보정하는 조건과 전압에서 개로할 수 있는 전류 또는 VA로 표시한다.

 

통전용량(通電容量, current carrying capacity)

 

보정하는 조건에서 폐로된 접점의 통전부가 정해진 온도상승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전류의 한도이며 통전허용시간에 따라 연속통전용량 및 단시간통전용량이 있다.


잔류접점(殘留接點)

 

조작스위치(control switch)에 있는 접점인데 switch를 투입 또는 개방한 것을 기억해두는 기계적 접점을 말하는 것으로서 투입한 상태를 기억해두는 투입잔류접점과 개방한 상태를 기억해두는 개방잔류접점이 있으며 이들 접점의 복귀는 switch를 반대 위치로 조작할 때에 복귀된다.

 

기계적접점(機械的接點)

 

기계적인 동작에 의한 접점으로 a접점과 b접점이 있다.

예, limit Switch

 

 

 

[그림17] 기계적 접점


고정접점(固定接點, fixed contact)

 

계전기가 입력에 의해 응동하는 것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는 접점을 말하며 계전기 가동부분에 고정된 가동접점의 동작에 의해 계전기 본래의 책무를 수행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