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동접점(可動接點, moving contact)
계전기가 미리 규정된 전기량이나 물리양의 크기에 따라 응동할 때 가동부분과 같이 행동하는 접점을 말한다.
(a) 가동철심형
(b) plunger형
[그림18] 가동접점
aa접점 (aa contact)
차단기의 보조switch접점으로 차단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은 a접점과 같으나, 닫힐 때는 a접점보다 시간적으로 늦게 닫히고, 열릴 때는 빨리 열리는 접점을 말한다.
bb접점 (bb contact)
차단기의 보조 switch접점으로 차단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로되어 있는 것은 b접점과 같으나, 닫힐 때는 b접점보다 시간적으로 빨리 닫히고 열릴때는 늦게 열리는 접점을 말한다.
상시개로형 접점(常時開路形)
평상시 무입력 상태에서 개로되어 있다가 계전기입력에 의해 닫혀 계전기 자체의 동작책무를 수행하는 접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a접점이 여기에 속한다.
상시폐로형 접점(常時閉路形)
상시 무입력 상태에서 폐로되어 있다가 계전기입력에 의해 열려 계전기 자체의 동작책무를 수행하는
접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b접점이 여기에 속한다.
주요소(主要素, main unit)
계전기 본래의 책무를 수행하는 주요부로서 전압, 전류에 의해 미리 규정된 전기량이나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응동한다.
보조요소(輔助要素,auxiliary unit)
계전기의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주요소에 보조적으로 부가되어 있는 요소로서 동작표시기, 보조접점, 한시요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외부단자(外部端子, external terminal)
계전기의 외함에 취부된 단자로서 계전기의 각 요소와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단자에 계전기입력(전류, 전압, 구동용 DC전원등), 동작신호등을 제어 케이블을 이용, 관련기기나 차단기등의 조작회로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단자는 대부분 bolt형이나 최근에는 socket형도 사용된다.
외함(外函, case)
보호계전기의 주요소 및 보조요소를 수용하는 함으로서 그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외부로 부터의 먼지, 수분등 불순물
의 유입을 차단
2) 계전기의 주요소 및 보조요소 보호
3) 계전기반에 취부 용이
4) 외부단자의 지지
한편 대부분의 계전기의 외함 전면은 유리로 되어있어 보호계전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동작표시기 복귀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외부요소(外部要素, external unit)
계전기 요소의 일부가 외함밖에 설치 되었을 경우 그 부분을 외부요소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0) | 2009.07.14 |
---|---|
상태 표시기(狀態表示器) (0) | 2009.07.14 |
양방향접점(兩方向接點) (0) | 2009.07.14 |
억제코일(restraint coil) (0) | 2009.07.14 |
평형비임형(balance beam type) (0) | 200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