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으로 인한 감전재해 예방대책


1. 소전압법


금속성 탱크나 보일러의 내부,풀장 등과 같이 도전성이 양호한 장소에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회로전압을 안전전압 이하로 채용하는 방법이다. 즉 충전부에 접촉되어도 전격의 위험이 없는 소전압으로 운전하는 것이다.


2. 리모콘방식


안전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의 주회로를 조작하기 위하여 안전전압에서 동작하는 제어회로를 별도계통으로 설치하여 주회로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즉 인체에는 주회로의 전압이 직접 접촉되지 않아 안전하다는 개념이다.


3. 대지전압의 저하


변압기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으로 2차측의 선간전압은 변화되지 않으나 전로의 대지전압은 저하되기 때문에 감전이 발생한 경우 같은 조건에서 감전전류가 감소되어 안전도가 증가될수 있다는 개념이다.


4. 비접지방식


절연변압기의 2차 저압측을 접지하지 않는 방식으로 저압부하측 전선로에 1선지락(또는 접촉)이 생겨도 접지점을 통한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으므로 지락전류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전선과 대지간에는 약간의 정전용량이 존재하고 전선과 대지간의 절연저항도 무한대는 아니기 때문에 약간의 감전전류가 흐를수 있다. (그러나 접지방식보다는 안전하다.)


※ 안전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변압기내에 고저압이 혼촉되지 않도록 혼촉방지판을 설치한 혼촉방지판부 변압기를 사용하고 혼촉방지판은 접지하여야 한다.


※ 그런데 비접지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를 한번더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①전로의 절연저항을 항시 최적으로 유지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계속 열화되기 때문이다. ② 그리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한 검출대책이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장 발생시 새로운 사고로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5. 사용기기의 접지

 

 1. 기기의 외함 접지법(보호접지법)


기기의 외함에 접지극을 접속하는 방법으로 누전시에도 기기외함에 생기는 충전전압을 허용치 이하가 되도록 하거나 혹은 회로에 첨가된 차단기로 단시간내 차단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기기의 대지전위는 접지저항치에 의하여 크게 다르게 되므로 일정한 안전저항치를 정할수는 없다.


  2. 중성점 접속법(Nullung법)


보호대상기기의 외함을 회로의 중성선에 접속하는 방법이다. 누전의 경우에는 단상단락사고로 되어 회로의 차단기로 기기를 전원으로부터 분리한다.


이경우 중성선의 전체 전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일정전압 이하로 제한 할 수 있도록 접지저항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중성선이 단선될 경우에는 위험하게 될 수 있다.


  3. 접지전용선 방식


보호대상기기의 외함을 중성선과 별도로 시설한 접지전용선에 접속한 것으로 Nullung법과 같은 원리이며 같은 주의를 요한다. 단 회로의 중성선과 혼동하지 않도록 색깔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6. 2중절연방식


전기기기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충전부분과 접촉할 우려가 있는 비충전 금속부분 사이를 절연물로서 보호절연하거나 외함을 모두 절연체로서 제작하는 방식이다. 

주로 가전제품에 실시하고 있다.


7. 누전차단기에 의한 방법


보호대상기기의 외함에 누전이 생긴경우 기기의 외함에 발생하는 대지전압 또는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기기를 전원회로로부터 자동 분리하는 것이다. 검출방식에는 전압 동작형과 전류 동작형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