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별 검토

 

1) 구분장치 시공상세도(에어섹션, 에어죠인트, 애자형 색션)

 

- 에어섹션은 집전부분의 전차선에 절연물을 넣지 않고 전차선 상호간 평행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공기의 절연을 이용한 구분장치이며,

 

- 에어죠인트는 전차선 가선시 작업의 용이성과 온도변화 등에 의한 전차선의 신축이 일어남으로 일정 길이마다 전차선을 인류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분장치이고,

 

- 애자형 섹션 절연구분장치는 본선의 상.하건넘선,본선과 측선 검수고 출입고선 등을 절연구분하는 장치로 정전의 영향을 사고구간과 작업구간으로만 한정하고 다른 구간에 급전을 가능케하는 시설로써 위 도면은 당초 설계도에 의함.

 

2) 균압장치 시공상세도

- 균압장치는 두 개의 전선간에 전류를 흐르게 하며 전선 상호간 전위차가 생기지 않도록 등전위 형성을 위함으로 위 도면은 일반개소(M-T형), 평행개소 및 건넘선 개소 (T-M-M-T형) 방식의 균압장치로 당초 설계도에 의함.

 

3) 건넘선장치 시공상세도

- 선로가 교차하는 분기개소에 전차선을 교차시켜 팬터그래프의 집전을 가능케 하는 설비로 전선간 균압은 위 2)항의 평행개소 및 건넘선개소(T-M-M-T형)에 따르며, 조가선간 교차부분은 절연방호관을 설치하고, 전차선간 교차부분은 교차금구(중.고속용) 1호를 사용. 당초 설계도에 의함.

 

4) 보조조가선 시공상세도

- 조가선의 인장하중, 굽힘하중, 진동피로로부터 조가선의 지지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조조가선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조가선 본체의 지지점이 단선된 경우에도 열차운행이 가능토록 보강하기 위함으로 당초 설계도에 의함.

 

5) 급전분기장치 시공상세도

- 전차선의 급전계통상 전기적, 기계적으로 구분되어진 개소의 전차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급전모선에서 인하하는 방식과 가동브래키트를 통한 공급 방식이 있으며 분기용 휘드이어를 사용한 장치로 당초 설계도에 의함.

 

6) 곡선당김장치 시공상세도

- 가동브래키트의 조정 범위를 벗어난 개소의 전차선 편위 조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물로, 지지물의 종류에 따라 설치되는 방법이 다르며, 위 도면에서 하수강용의 경우 지지금구(ㄱ형강)는 당초 설계도에 지지물이 H형강주이나 현장 여건상 하수강에 체결하기 위하여 동일 규격에 길이를 변경하는 것으로 구조적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ㄱ형강75x75x9tx400→75x75x9tx260) 그 외 시설 당초 설계도에 의함.

 

7) 절연방호관 시공상세도

- 과선교, 선상역사, 터널 입출구는 외부 요인으로 조가선 및 급전선에 지락이 발생하여 소손, 단선의 우려가 있어 절연방호관을 시설하기 위하여 과선교, 선상역사 하부는 6m(안쪽 1m,바깥쪽 5m),터널입출구는 4m(안쪽 1m,바깥쪽 3m)로 조가선과 급전선에 절연방호관을 씌우기 위함으로 당초 설계도에 의함.

 

검토의견

위 시공상세도를 검토한 결과 부재의 일부 변경이 현장 여건상 각 구조물의 설치 목적에 부합하고, 구조적 안정성과 유지 관리의 편이를 도모할 것으로 사료되어 요청된 시공상세도를승인함. 시공전 현장 기술자와 기능공이 승인된 시공상세도를 명확히 숙지토록하여 시공상 착오 없이 원활하게 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