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발전기와 비상용발전기의 차이점

 

제 48 조 (비상용 예비전원의 시설)

 

질의

상용스팀터빈발전기 고장시를 대비해 설치하는 비상용으로 디젤엔진발전기가 한전과 병렬운전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비상용인지, 상용인지여부 및 업무처리방법?

 

회신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비상용예비전원”이란 수용장소에 시설하는 것으로서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비상용예비전원이 상용전원측의 수용장소에 시설하는 전로이외의 전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아니하도록 시설하는 것을 말합니다. 참고로 상용발전기와 비상용발전기의 차이점 및 업무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상용발전기와 비상용발전기의 차이점

 

○ 상용 발전기

- 수용가가 자체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자체 제품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 및 부생가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

- 생산공정용 증기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업체에서 에너지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자가발전기를 상시로 가동하는 것을 말함

- 2001년 말 기준으로 상용자가발전 수용가는 84개소이며 설비용량은 5,761MW 임(제조업이 대부분).

 

○ 비상용 발전기

- 평상시에는 한전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다가 한전의 전력계통사고 및 계획휴전 또는 수용가 수전설비 사고 등으로 인한 전력공급 중단시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고 자체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말함(계통과 분리된 상태에서만 운전)

 

2. 전력계통과 연계관련 응답

 

○ 디젤발전기를 설치하고 전력계통과 병렬운전을 해야 한다면 상용발전기라 할 수 있음

○ 비상용 발전기인 경우 비상시에 대비하여 자체 공급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 에 전력계통과 연계 불요

따라서 비상용으로 디젤엔진 발전기를 설치할 경우 전력계통과 병렬운전 불요

 

3. 전력계통과 연계 시 업무절차

 

○ 상용발전기를 전력계통과 연결하여 운전을 하려면 사업자는 한전에 전력사 용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며(지사 또는 지점)

○ 한전은 전력공급방안 및 보호방식 결정, 정정 및 시험 등을 시행하고

○ 전력거래소는 전력공급방안, 병렬운전 조작합의서, 보호방식 등을 검토하여 결과를 한전에 통보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