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 폭발, 질식 재해 예방
■ 위험요인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과열로 인한 화재
밀폐공간 내 도장, 방수, 단열 작업 중 화재
현장내에서 피우던 불이 다른 장소로 인화되어 화재발생
콘크리트 양생용 갈탄난로의 일산화탄소에 질식
동결된 폭약 취급 중 폭발
■ 안전대책
가설숙소, 현장사무실 및 창고 등의 난방기구 및 전열기 상태를 확인
- 난방용 전열기의 사용은 승인된 제품만을 사용한다.
- 난방용 유류는 난방기가 켜진 상태에서 주유를 절대 금한다.
- 난방기구 1m 주변내에는 유류 및 가연성 물질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고, 주위에 소화기를 비치한다.
- 점심시간이나 퇴근시 관리자를 지정하여 소화상태를 확인한다.
- 가스를 사용할 때에는 창문 등을 열어 환기를 충분히 시켜야 하며 가스가 새는지 비눗물 등으로 수시 점검한
다.
인화성 물질은 작업장에 필요한 수량만 반입하되 구획된 저장소를 마련하여 분리 보관
유류통에 연료량을 확인하기 위해 라이터나 성냥을 사용하지 말고 반드시 손전등을 사용
가설숙소, 현장사무실 및 창고의 출입구 주위와 인화물질, 화기작업 주변에는 소화기, 방화사 등 진화장비
를 배치
화재예방 교육을 통하여 소화기 사용방법 및 화재발생시의 대피요령 등을 숙지
전기화재 원인 및 대책
■ 발생원인
합선(단락)
전선의 절연이 파괴되어 두 전선이 서로 접촉되는 현상으로 단락점에서 발생한 스파크, 적열된 전선이 주위의 인화성. 가연성 물질에 접촉 발화 또는 단락점 이외의 전선피복이 연소 발화.
과전류(과부하)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개의 전기기구를 사용 또는 계약 용량을 초과하여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 전류가 많이 흐르면 열이 발생 피복이 변질, 변형, 발화, 또는 전선 적열로 화재.
누전
전선이나 기구가 낡아 절연물이 벗겨져 전류가 건물내의 금속체를 통하여 흐르면서 저항열이 축적되어 인화물질에 인화.
기타 규격 이하의 전선 또는 기계기구 등에 충격이 가해져 절연저항이 감소되어 미소전류에 의한 열의 축적과 스파크에 의한 절연파괴로 연소 또는 단락현상이 발생.
■ 예방대책
콘센트에 플러그를 완전히 꽂지 않으면, 흔들려서 열이 발생하므로 플러그를 완전히 꽂도록 하고, 뽑을 때는 선을 잡아당기지 말고 플러그를 잡고 뽑도록 하여야 한다.
전기기구나 전선은 규격품을 사용하고 배선은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한다.
휴즈는 개폐기에 표시한 용량의 휴즈를 사용하며, 금속관내에 전선의 접속점이 없도록 설치한다.
전열기구를 한 개의 콘센트에 문어발식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스파크가 발생하는 곳 주위에는 가연물을 놓지 말고, 가연성가스 및 분진이 존재하는 곳은 방폭 및 방진형 전기설비를 한다.
무심코 버린 담배 꽁초가 발화의 원인이 되므로, 담배는 지정된 장소에서 피우도록 하고 피우다 남은 꽁초는 불씨를 완전히 끈 후 재떨이에 버리도록 교육 실시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불을 피우거나 열풍기를 사용하는 경우 소화기를 비치하고, 질식방지를 위해 환기설비를 설치하거나 호흡용 보호구 등을 지급
현장 내에서 근로자가 임의로 불을 피우지 않도록 한다.
밀폐된 공간 내에서 도장작업 등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경우 환기(자연환기, 강제환기, 국소배기)조치를 하고 화기사용 금지
- 자연환기는 유독물질 가스발생량이 1㎤/min 이하일 때만 자연환기에 의해 오염물질의 통제가 가능하다.
|
|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전기 재해대책 (0) | 2010.11.17 |
---|---|
뇌격보호대책 (0) | 2010.11.17 |
지반침하로 인한 재해예방 (0) | 2010.11.16 |
절.성토사면의 붕괴재해 예방 (0) | 2010.11.16 |
흙막이지보공 붕괴재해 예방 (0) | 201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