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개소 유지보수
1. 외형의 손상 점검
2. 접지저항치 측정
3. 접지극 매설장소
4. 접지회로의 점검
5. 접지회로 주변 환경
뇌격보호대책
1. 가공지선의 다중화
2. 철탑 하부의 차폐선 설치
3. 선로용 피뢰기의 설치
4. 아킹혼의 설치
5. 철탑각 저항의 감소
착화원의 종류
1. 나화
2. 고온의 표면
3. 복사열
4. 충격, 마찰열
5. 전기 불꽃
6. 정전기 불꽃
7. 단열압축
8. 자연발화
9. 전기기기가 점화원이 되는 경우
폭발의 종류
1. 물리적 폭발
2. 화학적 폭발
3. 물질의 상태에 의한 폭발
① 가스폭발
② 분진폭발
③ 미스트폭발
④ 고체폭발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전선의 안전화 대책 (0) | 2010.11.17 |
---|---|
정전기 재해대책 (0) | 2010.11.17 |
화재 . 폭발, 질식 재해 예방 (0) | 2010.11.16 |
지반침하로 인한 재해예방 (0) | 2010.11.16 |
절.성토사면의 붕괴재해 예방 (0) | 201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