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식(電子式) 누전 차단기의 특성중 다음 사항을 기계식 누전 차단기에 대한 장단점.
1. 누전화재 경보기 개요
누전경보기의 동작원리는 누전차단기의 동작원리와 같다고 볼수 있다. 배선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각상의 전류차를 영상변류기로서 감지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키지 않고 경보만을 울리는 방식이다. 즉 누전차단기는 누설전류를 검지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키고 누전화재경보기는 누설전류를 검지하여 경보만을 발령하는 기기이다.
2. 누전화재경보기의 동작원리
2-1. 누전전류 검지
누전경보기는 각 feeder에 흐르는 전류의 합성 전류값을 검출하여 누전전류를 감지한다. 따라서 전류검지부분인 ZCT의 결선은 3상 4선의 경우 전압선과 접지선 4선(A,B,C,N)을 모두 ZCT에 관통하여야 하며 단상2선식이나 3선식 모두 같은 방법으로 전압선과 접지선을 관통시킨다.
2-2. 증폭
ZCT에 검지된 누전전류는 매우 적기 때문에 경보회로에 구동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일정한 증폭회로를 통하게 된다. 이때의 신호는 주로 SCR의 turn on 동작을 위한 펄스형태의 신호로 발진하게 된다.
2-3. 경보회로 동작
SCR의 turn on 동작으로 경보회로의 전원 스위칭 동작이 on되면 경보기에 주전원이 투입되어 경보를 발하게 된다. 이때의 경보는 사이렌이나 경광등등 설치장소에 적합한 형태의 경보를 발하게 된다.
누전경보기 원리도
3. 설치함이 바람직한 장소
3-1. 공공의 안전확보를 위한 설치
저압 또는 고압의 전로에서 비상용 조명장치, 비상용 승강기, 유도등, 철도용신호장치, 병원용 전기설비 등 누전으로 인하여 전로가 차단되는 경우 공공의 안전확보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기계기구에 대하여는 경보만을 발하는 누전화재경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3-2. 공장의 생산손실 방지
누전발생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공장에서 제작중인 생산품의 품질저하, 장시간 정전시 원재료의 폐기가 불가피하거나, 정상으로 복귀후에도 막대한 기동비용이 소요되는 공장에 사용된다. 단, 단순 누전의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이나 취급원료 및 생산품, 위험분위기의 생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지 않는 다는 전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4. 기타사항
누전경보기 설치장소의 부하가 고조파를 많이 발생시키는 경우 고조파전류로 인한 오동작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컴퓨터, 방전등의 경우와 같이 고조파를 많이 함유한 부하가 밀집되어 있는 경우 고조파 성분을 분석하여 누전화재경보기측에 고조파 보상을 위한 회로의 보완이나 부하측의 고조파 억제를 위한 필터의 설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단선(半斷線)현상 (0) | 2016.10.31 |
---|---|
Noise 발생 방지책 (0) | 2016.10.31 |
정전기 재해예방대책 (0) | 2016.10.31 |
정전작업시 전기재해 대책 (0) | 2016.10.31 |
중대재해 (0) | 2016.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