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점검 및 진단순서
1. 실태의 파악
2. 결함의 발견
3. 대책의 결정
4. 대책의 실시
작업에 대한 안전점검 항목
1. 작업의 관리
2. 작업환경에 대한 점검
3. 작업공정의 점검
4. 작업방법의 점검
5. 작업자에 대한 점검
불안전 행동에 대한 점검
1. 작업자세
2. 무리한 힘의 사용
3. 합리적인 작업동작
4. 기타(운반자세, 거리, 중량의 적정성, 의욕, 과로, 주의력 등)
전기안전관리와 관련한 감리원의 업무
1.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제반 안전관리 지도에 적극적인 노력
2. 안전관리 계획의 사전검토, 실시확인 및 평가, 자료의 유지
3. 기록유지
4. 안전점검
5. 안전교육지도
6. 사고처리 및 보고
'법 질의회시(유권해석) > 산업안전보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대리인이 안전관리자 자격보유시 겸직 가능 여부 (0) | 2016.11.03 |
---|---|
안전관리자의 직무 (0) | 2016.10.31 |
안전조치의 필요성, 안전보건 총괄책임자의 선임 및 직무 (0) | 2016.10.31 |
20억미만 공사에서의 안전관리자 선임 (0) | 2013.10.29 |
법상 안전관리자 선임대상이 아님에도 감리단에서 요구한 경우 (0) | 201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