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변전 설비 유지보수 Key-Point

(사고유발 원인파악 및 대책)


. 사고원인 

  전압원 - 절연내력, 절연저항, 접지저항.

  전류원 - 과전류, 누설전류, 지락전류, 단락전류

  기 타 - 번개, 개폐 써지, 고조파, 화재


. 사고 유발 원인 및 점검 방법

  1) 전압원에 의한 유형

   ) 절연내력

     - 고압이 넘는 경우 절연내력 시험기로 년 1회 절연내력 전압을 피시험기에 인가하여

        적정 누설전류 및 성류비를 나타내는지 판단

   ) 절연저항

     - 저압의 경우 절연저항 시험기로 년 1(주로 하절기) 절연저항 측정을 시행하고, 3MΩ

        이하 개소를 집중 관리하며 1MΩ 이하로 절연저항이 저하되면 배선 교체 등 보수 작업

        시행

   ) 접지저항

        계통(선로) 및 기기 접지개소를 시험하며 공용접지 방식으로 접지 계통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귀선전류가 없는 상태에서 누설전류 측정 겸용 접지저항계로 측정하며 계통

        접지는 2Ω 이하, 기기 접지는 5Ω 이하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개략 해빙기(2)

        동절기(11)에 측정한다.


  2) 전류원에 의한 유형

  ) 허용 전류

     - 전기사용 시설물의 정격용량에 따른 정격전류를 통전하는데 지장이 없는 전류용량

        (허용전류)을 설치하는 케이블의 시설여부

    - 직선 접속개소의 sleeve 및 단말개소의 Terminal의 크기가 케이블의 두께와 동일

      이상으로 시설 여부 및 특히 동관 단자와 B형 터미날의 전선 접속부와 볼트 조임 개소 간

      두께가 현저하게 얇게되는 경우는 5이하의 전류용량이 적거나 제어용 전선에 한하여

      시설하여야 함

  ) 전압 강하

    - 충분한 전류용량의 전선으로 설계 시공되면 전압강화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거의 없음

    - 부하 전류에 따른 전압강화는 말단 전기사용 부하설비에 나타나며 개략 정격전압의85%

       이하의 전압으로 되면 형광램프는 점등되지 않으며, 정격전압보다 10% 낮은 전압으로

       공급되면 전력손실은 121%증가, 15% 낮은 전압에서의 전력손실은 정격의 225%,

       전압이 20% 낮다면 전류의 증가는 144%로 흐로는 전류의 자승에 비례하여 전력손실이

       능가하여 열손실로 방출되어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접촉 불량

     -접촉되는 둘 이상의 단자대에 이물질에 의한 접촉 불량 (접촉저항이 상승하어 열 발생)

       으로 단말부분의 절연재료가 탄화되고, 열 발생이 지속되면서 급작스러운 지락 및 단락

       사고로 확대 파급.


 3) 기타 여건에 의한 유형

  ) 번개

    - 뇌격 또는 유도뢰 등 과도한 전계에 노출되어 시설물의 절연 파괴

    - 피뢰기 불량 또는 접지설비의 대지저항이 높게 되면 대지 전압의 상승이 크게 되어 공용

       접지시스템의 기기접지 설비의 소손사고 발생

    - 등전위 접지가 형성되도록 Loop 접속을 배제하고 수지(樹脂)식 접지 계통을 구성하며

       계통접지에서 기기 접지로의 접지도선의 굵기에 대한 검토 필요.

  ) 개폐 써지

    - 몰드변압기와 진공차단기의 조합인 경우 차단기 2차측(변압기 1차측)에 방출보호용

       써지업소버 설치

    - 배전반 및 분전반의 경우 유입되는 과도전류 또는 전압으로부터 전기사용 부하설비

      (특히 약전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써지 프로텍터 설치 

  ) 고조파

    - 인버터에 연결된 전동기 역률보상용 개패시터가 설치된 경우 과보상이 되면 절연저하

       개소의 절연파괴 또는 전자유도 현상에 의한 전동기 기여전류로 역전 사고 파급

    - 전동기 불균형 회전, 용량 및 유도 리액턴스가 같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임피던스가

       최소로 되는 단락전류로 인하여 소손사고 발생(특히 3Φ4W 변압기 중성선의 경우

       중성선 단선사고로 발전)

  ) 화재

    - CO및 할로겐 대체 소화가스로 화재발생 진압

    - 화재발생 감지 후 소화가스 방출경고 전 화재원에 접근되어 있는 경우 기능실의 ABC

       소화기로 초기 진압

    - 소화가스 방출경고(소리 및 발광)가 발견되면 인원 대피 우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