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토사면의 붕괴재해 예방

 

 

위험요인

 

 

 

 

 

 

성토사면 지반 내 동결된 공극수의 융해로 인한 사면붕괴.

- 절리면 공극수 등의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부석 발생

- 얼음과 눈이 녹아 지하수위와 간극수압의 상승.

- 함수량 증가에 따른 토사중량의 증가.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이 사면내부로 침투하여 사면 유동성 증가 및 전단강도 저하로 인한 사면 Sliding.

 

성토사면의 풍화로 인한 부석 발생 및 사면 불안정.



안전대책

해빙기에 사면 또는 사면하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전에 사면의 붕괴위험 및

    부석 낙하위험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사면의 붕괴 또는 토석의 낙하에 의하여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흙막이

                  지보공의 설치 또는 근로자 출입금지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사면 상부에는 하중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는 차량운행 또는 자재 등을 적치하지 않도록

                    한다.

   

동결지반의 융해시 융해수 및 지표수의 지반침투에 대비하여 배수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성토사면 상부에 쌓였던 눈 녹은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마루 측구 또는 도수로

    등 배수로를 정비하여야 한다.

   

         사면의 경사도 측정 및 지하수위 측정 등 사면계측을 실시하고 이상 발견시 즉시 조치

             하여야 한다.


            사면붕괴 위험시 사면안정을 위하여 억제공법과 억지공법을 적절히 시공하여 근본적인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동절기에 작업을 중단하였던 터널공사의 경우 낙석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암괴의 탈락 여부를 점검한다.


            절토시는 토질의 형상, 지층분포, 불연속면(절리, 단층) 방향 등을 사전검토하여 이에 따른

             안전구배를 준수하여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