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실 수전시 준비 및 시험절차

 

1. 준 비 사 항

 

. 장비준비 - 검전기(,저압용) D.S상테스터기 각종 FUSE

  ※ 수전전까지 전화기는 반드시 설치 되어야 한다.

 

. 큐비클내 점검

  ※ 절연저항, 접지저항 측정이 완료 되어야 한다.

큐비클내의 BUS-BAR등 시설물 위에 공구, 자재류가 걸려 있는지 점검한다.

케이블, BUS-BAR, 접지선등이 적정하게 연결 되었는지, VCB 2차측 고압케이블

    의 접지선이 ZCT를 통과 하여 접속 하였는지 점검한다.

각종 계기의 영점 조정은 되었는가?

각종 계전기의 조정은 되었는가? ( 최저치 TAP4, TIME1 )

조작용 DC전원은 연결 되었는지 점검한다.

모든 큐비클은 셋트앙카로 고정 하였는지 확인한다.

각종볼트, 넛트류는 완전히 조이고 풀림상태 확인용 페인팅여부 점검

 

2. 수 전 순 서

 

. 변전소 변전소내 정거장 전기실 상선 정거장 전기실

                                                       → 하선 정거장 전기실

 

3. 수전조작 시험순서

 

. 변전소 정거장 전기실 전원공급의 경우

전기실내의 DS, VCB, TR, 저압반의 모든 단로기 및 차단기를 OFF시킨다.

큐비클뒤의 모든사람을 앞면으로 철수 시킨다.

모든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변전소에 전화하여 준비완료 되었으니 1호계 전원

    투입 토록 변전담당에게 요청한다.

변전소로부터 전원투입을 확인받은후, ) 1호계의 DS 1차측

) 각 변압기반의 PF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고압검전기로 확인

 

1호계에 이상이 없을시는 변전소 1호계를 OFF시키고 2호계를 투입토록하여 와 같이 이상유무를 시험,확인한 후 이상이 없을시는 변전소에 1호계 까지 투입요청 한다.

 

. DS반 과 VCB반 간의 시험확인

1호계 DS를 투입하여 고압검전기로 각 변압기반의 PF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1,2,3호계를 확인 하고, 1호계 DSOFF 시킨다.

2호계 DS를 투입하여 과 같이 실시한다.

 

. VCB반의 계전기등 동작시험

1호계 계전기 시험

- DS투입 VCB투입 DS 개방하여 교류 부족전압계전기(27:UVR) 동작에 의한 VCB OFF(차단) 되는지 동작시험 한다.

- DS투입 VCB투입 지락과전압 계전기(64:GOVR), 지락방향계전기 (67:SGR) 동작에 의한 VCB OFF(차단) 되는지 동작시험.

- DS투입 VCB투입 지락선택계전기, 과전류계전기 동작에 의한 VCB OFF(차단) 되는지 동작시험 한다.


2호계 계전기 시험

- 1호계와 동일하게 2호계시험


INTERLOCK 동작시험

- 제어회로 절환개폐기(43R)REMOTE로 놓고 1호계 VCB on, OFF동작 에 의해 INTERLOCK VCB가 동작 되는지 시험한다.

- 1호계 VCB 2호계 VCB on 상태에서 INTERLOCK VCB투입 여부를 확인한다.

- 1호계 VCB LINK VCB on 상태에서 2호계 64Ry 67Ry를 동작하LINK VCB 차단여부를 확인한다.

- 2호계 및 LINK VCB on 상태에서 1호계 64Ry 67Ry를 동작하여 LINK VCB 차단여부를 확인한다.

 

. 원제시험

43RREMOTE로 놓고, 1,2호계 VCB 동작시험 한다.

변압기 온도상승에 의한 VCB 차단시험 한다.

43RREMOTE로 놓고, 1,2호계 VCB on상태에서 원제에 의한 LINK

VCB를 투입여부를 확인한다.

      

. 고압반의 1,2호계 전압, RST TEST

PT 전압체크 - 110V시 정상

R.S.T상이 맞는지 테스트 - 상테스터기로 확인


. VCB반과 변압기반간의 시험확인

1호계의 DS, VCB를 투입한후 1호계 TR이외의 TR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고압검전기로 확인한 후 1호계 VCBOFF 시킨다.

2호계의 DS, VCB를 투입한후 2호계 TR이외의 TR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고압검전기로 확인한 후 2호계 VCBOFF 시킨다.

2호계 TR시험

- 1호계 시험순서와 같이 실시한다.


. 변압기의 시험확인

저압반의 MCCB, ACB, ATS등이 OFF 되었는지 확인한다.

1호계 TR시험

- 1호계 TRPF 투입 VCB 투입

- TR 2차측의 상별 전압측정, TR의 소음, 진동을 확인한다.

- 전기실 조명등을 소등하여 변압기, 케이블등에 불꽃이 있는지 확인.

- 시험확인후 VCB, 1호계 TRPF를 차단한다.

- 다음 신호TR을 위의 순서로 시험한다.

2호계 TR시험

- 1호계 시험순서와 같이 실시한다.

 

. 변압기반과 저압반간의 시험확인

1호계의 DS, TRPF를 투입한후 VCB를 투입한다.

1호계의 ACB 1차측 상간전압, 상별전압 및 R.S.T상이 맞는지 확인.

2호계는 위 ,와 같이 실시한다

 

. 저압반의 ACB, ATS의 동작시험 확인

1,2호계 ACB투입 OFF 투입등을 반복하여 동작상태를 확인.

ATS에 연결된 MCCBON, OFF하여 ATSUVR 동작여부를 확인한다.

1호계에 연결된 MCCB 2호계에 연결된 MCCB on, OFF상태에서 1호 계 ATS 차단하여 ATS2호계로 절체 되는지 확인한다.

ATS 2차측 50/51 계전기 및 UVR 동작시 ATS가 정체되지 않도록 확인한다.


. 충전기반 조정 및 비상등 점등시험  

충전기반의 SETTING 및 전압조정, 비상조명등용 MG S/W 동작여부를 확인한다.

1,2호계 VCB를 모두 차단시 비상등 자동 점등여부를 확인한다.

1,2호계 ACB를 모두 차단시 비상등 자동 점등여부를 확인한다.

 

. 3호계 수전  

1. 준 비 사 항

. 장비준비 - 검전기(,저압용) D.S상테스터기 각종 FUSE 무전기 2(터널내 송수신 가능)

. 큐비클내 점검

절연저항, 접지저항측정이 완료 되어야 한다.

전기실 수전시와 같이 점검한다.

 

2. 수전순서


 

 

 

 

S/S

 

 

 

 

                                                      


A

 

 

 

B

 

 

 

C


중앙환기실                              중앙환기실



              

B역 수전시

     B역 변전담당 B역 전기실로 3호계 공급

A역 수전시

     B역 변전담당 B역 전기실로 3호계 공급 B역 전기담당

중앙환기실로 전기공급 → ㉮중앙환기실 담당 A역 전기실로 3호계 공급

C역도 위와같은 순서로 한다.  

 

 

3.수전조작시험

. 정거장 전기실 수전시 (변전실 정거장)

전기실내의 DS, VCB, TR, 저압반의 모든차단기를 OFF 한다.

큐비클내의 이상유무 확인

큐비클 점검자 및 모든사람을 앞면으로 철수 시킨다.

이하 1,2호계 수전시와 같이 한다.

 

. 정거장 전기실에서 중앙환기실 수전시

중앙환기실내의 DS, VCB, TR , MCC반의 모든 차단기를 OFF 한다.

큐비클 점검자 및 모든사람을 앞면으로 철수시킨다.

무전기로 수전요청

수전후 점검은 전기실 수전시와 같이 한다.

 

. 중앙환기실에서 정거장 전기실 수전시

위 가항과 같이 실시한다.

 

. 수전 후 일정 기간동안 이상음, 특정 부위과열, 스파크등 전기적, 기계적으

로 이상 현상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필히 확인, 관찰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설비  (0) 2017.01.04
LCP 자재 기능검사  (0) 2016.12.19
전선의 병렬사용  (0) 2016.11.14
부하 개폐기용 RTU   (0) 2016.11.12
LCP 자재 기능검사  (0) 2016.11.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