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차 운전에서 점착력을 설명하시오.
전기차의 공전과 대책(재점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열차의 구동력(견인력)은 윤중과 점착계수에 비례 으로 나타내며 가감속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점착력 이상의 힘을 가할 수는 없음
- 레일위에 놓인 차륜을 회전/정지시키려고 힘을 가하면, 차륜과 레일 사이에 미소한 미끄러짐을 수반하면서 점착력이 생김
- 점착력은 미끄럼 속도와 더불어 증가하지만, 어떤 한계를 초과하면 미끄럼 속도가 크게 증가되어 점착력이 저하되고, 가속시에는 공전, 감속시에는 활주(미끄럼)로 나타남.
- 점착계수 : 차륜/레일 사이에 전달되는 최대 점착력을 윤중으로 나눈 것
2. 점착력과 점착계수 와의 관계
건조하고 양호한 상태 : 0.3, 젖은 상태 : 0.1 정도로써, 차륜/레일 사이의 개재물, 표면 성상, 속도, 윤중 변동등의 운전조건에 따라 편동함
3. 점착계수 증대 방법
- 차륜/레일 사이의 접촉면의 상태를 점착계수가 높도록 관리(표면 관리)
- 점착력 제어 : 차륜에 가하는 힘(구동력, 제동력)을 점착계수가 높게 되도록 제어
※ 공전(slip)시 토크 감소를 검지하여 재점착 제어(전기구동방식 유리)
- 열차의 구동축(driving wheel) 증가 : 분산 동력 방식
- 윤중 변화를 적게 하도록 함
4. 제동성능 개선
가. 점착성능과 제동성능
- 제동성능은 바꾸어 말하면 감속도이고, 감속도는 점착계수에 의해 결정됨.
- 최대 제동력은 윤중과 점착계수와의 곱으로써 계산되어 다음 식이 성립하며,
⇒ 0.1g 의 가속도를 얻으려면 점착계수가 0.1이 되어야 함
- 감속도 γb와 제동거리 S 와의 관계
[m]
여기서, V: 제동 초속도[Km/h], t : 공주 시분[sec]
나 제동성능 향상
- 점착력 유효 활용 :
점착력을 너무 강하게 하면 활주(slide)가 발생하여 차륜/레일에 손상을 주므로, 활주를 검지하여 일시적으
로 제동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재점착 제어함으로써 제동력을 강하게 하는 활주방지기구 채택
- 비점착계 제동방식 도입 :
점착제동에서는 점착성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발전/회생제동과 와전류(Eddy current) 제동과 같이 차
륜/레일 사이의 점착에 의존하지 않는 전기제동방식의 제동시스템 도입.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정속도 (0) | 2017.02.08 |
---|---|
열차저항의 종류를 들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0) | 2017.02.08 |
전기차의 평균속도와 표정속도를 구하는 방식 (0) | 2017.02.08 |
전기기관차를 전동열차와 비교할 때 그 장 단점 (0) | 2017.02.08 |
변압기의 접지 (0) | 201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