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방지장치의 설치목적, 흐름요인, 설치위치선정 및 설치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개요
전차선이 한쪽 방향으로 전차선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류 구간의 중앙점에 시설하며, 이 설비를 전차선“흐름 방지 장치”라 한다.
2. 목적
가. 전차선은 인류구간의 양측에 활차식 자동 장력 조정장치를 사용하면 풍압 습동,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등에 의해서 선로의 한쪽 방향으로 전차선이 이동하게 된다.
나. 따라서 전차선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여 전차선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흐름요인
흐름요인으로 장력추 중량의 불균형, 선로조건(선로구배, 선로 곡선부), 가동브래킷이 O형 및 I형이 연속하는 경우, 기상조건(풍향, 풍압)에 영향을 받는다
가. 선로구배
전차선 무게에 의해 외력이 상시 가해지므로 양측 밸런서의 취부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일괄 조정시 선로구배 25/1000, 구배 연장 1,600[m]로 하면 외력의 크기는 약 80[kg.f] 이다
나. 선로 곡선
1) 고정 빔 구간.
곡선로의 경우 기후 변화 등에 의해서 전차선이 이동하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하여 전차선의 신축에 따른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곡선 부분이 조정구간의 한쪽 방향에 치우쳐 있고 다른 측이 직선의 경우 활차의 중추가 이동이 심하게 된다.
2) 가동 브래킷 구간.
가) 곡선 "O" 형
"O"형의 경우 전차선의 이동량을 늘리는 방향의 분력으로 된다.
이 때문에 가동 브래킷이 연속 또는 집중하고 있는 경우 풍력등 외력을 받아 가동브래킷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한쪽으로 흐르게 된다.
나) 곡선 "I" 형
"I"형의 경우 전차선 이동방향의 역 방향 힘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전차선의 흐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 Pre Stretch
일반적으로 동선이나 알루미늄선은 장시간 경과하면 장력 이도가 그르지 않는등 전차선이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 약1년후 재 조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가설 당시에 사용 장력보다 큰 장력(인장하중의 약 50%)을 단시간 가해서 미리 전선을 신장시켜주는 공법을 프리 스트레치 공법이라 한다.
프리 스트레치에서의 장력과 시간
설비명 | 전선 종별 | 과장력 | 시간 |
전차선 | CU 170[mm^2] | 2,000 | 30분 |
CU 110[mm^2] | 2,000 | 30분 | |
조가선 | St 135[mm2 | 3,000 | 10분 |
St 90[mm2] | 1,600 | 10분 |
4. 설치 위치 선정
가. 흐름 방지 장치는 전선이 아래로 처져 열차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전선의 이도, 가고 등을 선정한다.
나. 특히 스팬선의 경우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조가선을 고정한 스팬선의 한쪽의 이도가 특히 크게 되어 B점의 가고를 크게 하는 등 스팬선의 이도및 인류 높이 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5. 설치 방법
가. 흐름 방지 장치는 전차선의 흐름이 특히 크게 우려 될 경우가 있을 때 800[m]이하의 인류 구간을 만들어 한쪽에서 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 흐름방지장치는 전차선의 양 인류 구간의 전차선 장력이 평형이 되는 개소에 (양측의 억제 저항이 같게 되는 지점) 즉 중성점에 설치한다
다. 스팬선식의 경우는 그림처럼 B점의 가고를 크게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공전차선의 구조물에 대한 응력-변형율의 선도를 그리고 설명하시오. (0) | 2017.02.08 |
---|---|
강구조물의 응력과 변형도에서 프와송의 비는 무엇인가. (0) | 2017.02.08 |
회생제동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0) | 2017.02.08 |
전차선의 편위를 최대 250mm로 제한하는 근거 (0) | 2017.02.08 |
표정속도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