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Smart grid)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말한다.

 

 마이크로그리드 (Micro grid)

일정 지역 내에 분산형 전원, 에너지 저장장치 등을 갖춘 소규모 전력망을 말하며, 외부의 대규모 전력계통과 연계 여부에 따라 독립형 또는 계통연계형 마이크로그리드로 구분한다.

3 스마트 파워그리드 (Smart power grid)

송전선로 감시용 센 서 기반의 지능형 송전시스템, 지능형전자장치(IED)를 이용한 디지털 변전시스템, 배전선로 양방향 감시가 가능한 배전지능화 시스템 등 송배전 설비의 지능화를 통한 전력설비 감시, 고장 사전예측 및 신속 복구를 지원하는 기술을 말한다.

 

 수퍼 그리드 (Super grid)

대전력 융통을 위하여 구축하는 대륙 규모의 광역 전력망으로 국가 간 전력거래 및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합 운영하고 스마트그리드의 한계를 극복하는 고도화된 전력망을 말한다.

북유럽 수퍼그리드

(Nord- EU

Supergrid)

남유럽-마그레브

수퍼그리드

(Sud EU-Maghreb

Supergrid)

그랜드 잉가

프로젝트

(Grand Inga

Project)

서유럽의 신재생발전

- 해상풍력(//벨기에)

- 수력(노르웨이)

- 지상풍력(독일 북부)

유럽 전력시장에 공급

용량: 25~30GW(1단계)

500GW (최종)

사하라 사막의 태양열

/태양광 발전

(Desertec Project)

지중해 연안국에 공급

용량 470GW(2050)

사하라사막면적1%

태양열발전시지중해

연안국, 북 아프리카

전체 전력공급가능

콩고의 수력발전자원

(Inga)

북으로 이집트

카이로에 공급

남으로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공급

용량: 100GW

아프리카 전체

전력수요 3배 용량

 

 송전선로 온라인 감시시스템

송전선로 고장예방과 효율적인 설비운영을 위해 송전선로에 볼센서를 설치하여 원격에서 감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볼센서는 풍향/속도, 전선온도, 이도 및 전류측정 기능과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기능이 있다.

 

 송전선로 동적용량 산정시스템

송전선로의 환경(바람, 기온, 일사량 등)요소와 송전선로의 특성(도체온도, 도체전류, 장력 등)을 고려하여 정상 또는 과도상태의 송전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광역계통 감시시스템

(WAMS : Wide Area Monitoring System)

송전선로와 변전소의 전압, 전류 및 위상을 동시에 측정하여 광역 전력계통을 실시간으로 감시, 평가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신속 대응토록 하여 고장파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광역계통 감시제어시스템

(WAMAC : 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기존 WAMS(동시간에 발생한 위상을 측정하여 전력계통을 실시간 감시, 평가하는 시스템)에 자동 제어 기능을 부가하여 광역계통 고장 우려시 신속하게 파급을 최소화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시각 동기 위상 측정장치

(PMU : Phasor Measurement Unit)

1990년대 초반 A.Phadke 교수가 제안한 GPS 기반의 전압, 전류의 위상(Phasor) 측정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GPS를 이용한 시각(time) 정보와 전압, 전류의 파형을 초당 60회 샘플링(sampling)하여 위상값과 함께 상위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전압관리시스템

(VMS : Voltage Management System)

전압품질의 개선과 전압안정도를 향상하기 위해 지역별로 대표모선을 지정하고, 대표모선의 FDMU(현장정보취득장치)로 부터 전압을 취득하여 속응형 전압제어기(발전기)와 정지형 전압제어기(조상설비)의 협조제어를 통하여 전압 및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속응형 전압제어기

(CVC : Continuous Voltage Controller)

제어대상 발전기의 무효전력 출력을 제어하여 전압을 빠르고 정밀하게 제어하는 장치이다.

 

 정지형 전압제어기

(DVC : Discrete Voltage Controller)

SCADA/EMS로 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하여 조상설비, 변압기 탭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현장데이터 측정장치

(FDMU : Field Data Measuring Unit)

변전소의 PT, CT로 부터 전압, 전류 정보를 취득하여 주제어기 또는 RPD(무효전력제어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무효전력제어기

(RPD : Reactive Power Dispatcher)

전압관리시스템으로부터 출력해야할 목표 무효전력값

(Q-LEVEL)을 받아 FACTS 등 무효전력 보상설비와 자

동전압조정기(AVR)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변전시스템

지능형 센서, 전자장치(IED), 운영시스템 등을 설치하여 전력설비를 감시, 계측, 제어 및 보호하는 차세대 변전시스템을 말한다.

 

 배전자동화시스템

(DAS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배전설비의 현장정보(상태정보, 전류/전압, 고장 유무 등)를 통신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현장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고장구간을 신속히 파악하고 원거리에 산재해 있는 자동화개폐기를 배전센터에서 원격 감시·제어하여 정전구 간을 축소하거나 고장 정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배전선로 자동화 단말장치

(FRTU : Feeder Remote Terminal Unit)

배전선로용 개폐기나 차단기의 제어함에 설치하여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고, 배전선로의 전압 및 전류 계측값과 고장발생시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주장치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고장구간 표시기 (FI : Fault Indicator)

배전선로 고장시 고장전류의 통전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순간고장과 일시고장을 구분 표시할 수 있으며 상별(A,B,C,N) 고장표시도 가능하다.

 

 지능형 배전시스템

(ADAS : Advanced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기존 배전자동화시스템 기능 외에 SCADADAS가 통합된 형태의 시스템으로서, 지능형 배전기기를 통해 양방향 조류감시 및 보호협조, 전기품질, 감시, 손실 최소화, 부하균등화 등 분산형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 운영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차세대 배전설비 운영시스템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용어(스마트미터 (Smart Meter))  (0) 2017.02.20
전기용어(배전선로 전압조정기)  (0) 2017.02.20
보호(保護)  (0) 2017.02.15
차단기 트립방식  (0) 2017.02.15
보호계전기 동작 구분  (0) 2017.02.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