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RTU (Advanced Feeder Remote Terminal Unit)
기존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기능 이외에 양방향 조류와 전기품질을 감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와 단말장치가 통합된 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CLS (Closed Loop Self Healing)
2개의 배전선로를 병렬운전(Closed Loop)하여 고장이 발생할 경우 해당구간만 신속히 분리하고 건전구간은 정전없이 운전할 수 있는 배전선로 운전시스템이다
동작과정은 고장발생 → 구간 인지 → 고장구간 분리 → 고장구간 양단의 차단기 OFF → 무정전 공급(5 Cycle 내송전)으로 이루어 진다.
배전선로 전압조정기
(SVR : Step Voltage Regulator)
배전선로에서 단권변압기의 Tap을 이용하여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로서, 선로전압강하가 5%를 초과하는 배전선로에 적용한다
분산형전원 감시제어장치
(Play & Play Type Interface Device)
태양광, 풍력 등 불규칙 발전원의 전압변동, 고조파 등 전기품질 왜곡으로 인한 연계 배전계통의 안정성 여부를 상시 감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배전지능화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다.
1) 특징
한전의 분산형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접속허용 기술조건 알고리즘을 펌웨어에 탑재하였다.
2) 구성
분산형전원의 발전상태 및 전력품질 정보를 감시하는 발전소측 감시장치(N-IFD)와 22.9㎸-y 가공 배전선로 접속점에 설치되어 분산형전원측 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배전지능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배전측 감시장치
스마트 트랜스포테이션
(Smart transportation)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지능화된 전력공급시스템, 충전장치, 요금결제 및 운영시스템 등을 말한다.
전기자동차 (EV : Electric Vehicle)
추진동력으로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하여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를 실현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 무선충전 전기자동차(OLEV : on-line Electric Vehicle)
차량에 장착된 집전장치를 통해 주행 또는 정차 중 도로에 설치된 급전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이다.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로 충전하여 전기를 주행 동력으로 사용하다가, 전기가 방전되면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배터리 교환방식 (Battery Swaping)
전기자동차가 방전되면 직접 충전하지 않고 방전된 배터리를 배터리교환소에서 미리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을 말한다.
비접촉 충전방식
(Wireless charging/Non-contact charging)
주차장, 도로에 교류에 의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 장치를 설치하고, 자동차 하부에는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에너지를 전달받는 집전장치가 장착 되며, 집전장치에서 발생된 전류는 정류를 거쳐 배터리로 충전이 되는 방식이다.
급속충전(Quick charging) 방식
전기자동차를 20~30분내의 비교적 짧은 시간에 충전하는 방식으로써,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직류 100~450V를 가변적으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일반적으로 급속 충전기는 교류전력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 표시장치, 차량과 충전기간의 충전케이블, 안전 및 보호기능을 구비한 외함 등의 장치로 구분할수 있으며 통신규약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도 포함한다.
완속충전(Slow charging) 방식
충전기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교류 220V를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배터리용량에 따라 6~8시간 정도 소요되며, 약 6~7kW 용량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설치된다.
충전인프라 운영시스템
충전기의 위치 및 이용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전기자동차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충전시설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오프보드 충전기 (Off-board charger)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로써 차량에 탑재되지 않고 별도로 설치된 충전기를 말한다.
온보드 충전기 (On-board charger)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가 전기자동차에 탑재된 충전기를 말한다.
V2G (Vehicle 2 Grid)
전기자동차를 전력망에 접속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V2H (Vehicle 2 Home)
전기자동차와 주택 내부의 전력선을 연결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용어(스마트가전 (Smart Appliance)) (0) | 2017.02.20 |
---|---|
전기용어(스마트미터 (Smart Meter)) (0) | 2017.02.20 |
전기용어(스마트그리드 (Smart grid)) (0) | 2017.02.20 |
보호(保護) (0) | 2017.02.15 |
차단기 트립방식 (0) | 2017.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