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gon Gas용접
가. 용접전 용접부위의 처리
각 용접부위는 용접 시행전에 오물 및 습기를 완전히 제거 하여야 하며 Wire Brush로 용접부위의 피막을 제거하여 모재를 깨끗하게 한 후 용접을 시행 하여야 한다.
나. 용접용 전원설비
(1) 용접을 위한 전원설비는 우수한 성능의 발전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발전기 2차측 전선은 부하전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굵기의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며 발전기와 용접기 사이에는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압강하로 인한 용접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발전기 2차측과 용접기 사이의 전원 케이블에는 안전 개폐기를 설치하여 감전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 하여야 한다.
다. 용접기 및 용접용 부속자재
(1) Argon Gas 용접기는 T-Bar용접에 적합한 우수한 성능의 Tig 용접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용접용 Argon Gas는 99.9%이상의 Gas이어야 한다.
(3) 용접용 전극은 우수한 품질의 텅스텐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용접용은 고순도 알루미늄 용접봉을 사용 하여야 한다.
라. T-Bar 용접
(1) 치구로 고정하고 그때 용접부가 서로 밀착하였는지 확인 한다.
(2) 치구와 같이 고정하고 그때 T-Bar의 높이에서 2~3㎜ 위로 하는 것이 좋다.
(3) 치구 No.1, 치구 No.2로 T-Bar를 고정하고 용접부에서 6~10m 이격한 위치에서 볼때 일직선상으로 위치해 있나 확인 한다.
(4) 치구는 용접 후에도 용접부 온도가 내려갈 때 까지 떼어서는 안 된다.
(5) 용접작업
(가) 부극성 전원(Earth)은 T-Bar위에 고정한다.
(나) 순서에 따라서 용접을 하며 상면의 아래보기 용접시는 치구 No.1을 떼어내고 용접한다.
(6) 끝 마감
용접부의 Bead는 Ear 및 Trolley선의 취부에 지장이 없도록 Grinder 등으로 정확하게 끝마감 한다.
(7) 비틀림 측정 및 검사
(가) 치구 No.2를 제거하고 그림-1에서의 “S”구간을 측정하여 0.5㎜이내이어야 한다.
(나) 다음에 가로를 측정하여 오차가 2㎜이내이어야 한다.
(다) 비틀림이 클때는 프로판가스 및 산소를 이용 용접부에 균일하게 100℃~250℃까지 가열하여 교정하고 수냉각 한다.
(라) 교정이 불가능한 경우는 동개소를 절단 재용접한다.
(8) 도장
T-Bar의 하면에는 용접후 부식 방지를 위한 도료를 1회 도포한다.
마. Jumper Wire 및 Feeder Branch용접
(1) 용접준비
(가) 용접부의 오물 및 습기를 제거한다.
(나) Wire Branch로 용접부의 산화 피막을 제거하고 모재를 깨끗하게 한다.
(2) 취부
(가) Jumper선을 T-Bar에 고정한다.
(나) 치구 No.2를 사용하여 T-Bar 밑을 고정한다.
(다) Jumper선을 넝마를 물에 합침하여 감는다.
(3) 예열
(가) 용접부를 프로판가스-산소를 사용하여 150℃~250℃정도에 예열하며 예열중은 넝마를 물에 합침하여 감은 상태이고 Jumper Wire부분에 열전도가 되지 않도록 주의 한다.
(4) 용접
(가) 부극성선 (Earth 선)은 강체에 고정한다.
(나) 용접을 시행한다.
(5) 용접 비파괴 검사(Al. T-Bar)
용접 비파괴 검사(Al. T-Bar)는 2차례 실시하여야 하며 검사 장소는 감리원이 육안 검사 후 취약하다고 판단되는 개소를 지정 검사한다.(단, 검사비는 도급자 부담으로 한다.)
(가) 1차 검사 : 30% 시공시(매 1㎞마다 1개소 이상)
(나) 2차 검사 ; 100% 완료시(매 1㎞마다 1개소 이상)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선방식 검토 (0) | 2017.03.02 |
---|---|
전차선 공사 (0) | 2017.02.22 |
지하부 전차선 공사 (0) | 2017.02.21 |
각종시험 및 시공기록표 (0) | 2017.02.21 |
장력조정장치의 온도변화에 의한 추 이동량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