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조정(周波數調整, Frequency Control)
전력계통의 주파수를 표준주파수로 유지하기 위해 시시각각의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발전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주파수조정발전소(周波數調整發電所, Designated
Power Station for Frequency Control)
주파수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표준치를 벗어나므로, 주파수를 표준치로 맞추기 위하여 필요한 발전량을 조절하기 위해 지정된 발전소를 말한다.
자동주파수제어(自動周波數制御, Automatic Frequency Control)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표준주파수가 되도록 발전소의 발전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으로서, AFC 또는 LFC(Load Frequency Control)라고도 한다.
시차(時差, Time Deviation)
표준주파수와 계통주파수의 편차 적산치를 시간으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다.
계통주파수특성정수(系統周波數特性定數, Power
System Frequency Characteristic Constants)
전력계통의 발전력과 전력수요와의 불평형량과 주파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수로서, 주파수-부하 특성 정수와 주파수-발전력 특성정수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1[Hz] 변동하는데 계통부하에 몇%의 변동이 일어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운전기준전압(運轉基準電壓, Standard Operating Voltage)
계통전압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발,변전소별로 정한 전압의 기준치로 운전목표전압이라고도 한다.
전압, 무효전력특성정수(電壓, 無效電力 特性定數, Power System Characteristic
Constants of Voltage and Reactive Power)
전압-무효전력 조정설비, 부하시 전압조정기, 발전기 및 조상설비 등의 조작과 그것에 의한 계통내 각곳의 전압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수를 계통전압 특성정수라 하고, 무효전력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수를 무효전력 특성정수라 한다.
전압, 무효전력제어
(電壓, 無效電力制御, Reactive Power and Voltage Control on Systems)
발,변전소의 적정한 운전전압 유지와 무효전력조류에 의한 송전손실의 경감 등을 목적으로 한 전압조정 및 무효전력 조정을 위해 부하시 전압조정기, 발전기, 조상(調相)설비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저역률운전 (低力率運轉, Lower Power Factor Operation)
전력계통의 전압조정 또는, 안정도 향상을 위해 발전기의 여자(勵磁)를 증가시켜(무효전력의 발생을 많게하여), 역률을 낮게 지(遲)역률로 운전하는 것으로서, VAR운전 이라고도 한다.
고역률운전(高力率運轉, High Power Factor Operation)
전력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해 발전기에서 무효전력의 발생을 적게하여 고역률로 운전하는 것이다.
진상운전(進相運轉, Leading Phase Operation)
전력계통의 전압조정을 위해 발전기의 여자(勵磁)를 감소시키고,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진상역률로 운전하는 것으로서, 진상역률 운전 또는 진상(LEAD)운전이라고 한다.
고역률, 진상운전을 포함하여 저여자운전이라고도 한다.
조상기운전(調相機運轉, Synchronous Condenser Operation)
전압조정을 위해 발전기를 동기조상기로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전압프리커(電壓프리커, Volatage Flicker)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짧은 주기의 전압변동을 말하며, 조명의 어른거림, TV화면의 동요 등 다른 기기에 악영향을 미친다.
전압불안정현상 (電壓不安定現狀, Voltage Instability)
중부하 장거리 송전선의 일부 회선 정지 등에 따른 계통내 부하의 급속한 변동 또는 전압변화에 의해 수전단 전압이 계속 저하되어 정상전압의 회복이 어려운 현상
손실방정식 (損失方程式, Loss Formula)
송전손실을 발전기 유효출력의 2차형식으로 나타낸 것을 손실방정식이라한다.
상표시 (相表示, expression For Phase)
다상(多相)회로에 있어서 각 상에 대하여 붙여진 명칭 표시로서, 각상의 접속 또는 상회전의 방향을 확인하거나, 고장상을 조사하는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상차 (位相差, Phase Differance)
동일 주파수의 2개 지점간의 전압 상호간 또는 동일 지점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각에 따른 차(差)를 말한다.
송전계통도 (送電系統圖, Transmission Network diagram)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전력설비 접속 관계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다.
임피던스맵 (Impedance Diagram)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발전기, 송전선, 변압기 등의 임피던스값을 계통도위에 기재한 것이다.
안전전류 (安全電流, Current Carrying Capacity)
도선(導線)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를 말한다. 그 크기는 전선의 종별, 주위온도, 사용 장소 등에 따라 다르다
수요관리(需要管理, Load Management)
전력수요는 시간대별, 월별, 계절별에 따라서 격차가 심하게 나타나므로 부하경향을 분석하여 단기간에 발생되는 최대부하를 억제 조절하고 심야부하를 조성하여 부하의 평준화 및 사용의 합리화를 기하여 부하율을 상승시켜 설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투자비 및 전력 원가절감을 위한 전력사업의 경영과제 중 하나이다.
부하조절(負荷調節, Load Control)
부하제한의 필요성이 예측되거나 장시간 지속될 경우 수용가에게 사전 통보하여 부하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전력 수급을 조정하므로서 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전원제한(電源制限, Shedding of Power)
전력계통의 고장시, 수급평형의 유지나 안정도의 유지 또는 설비의 과부하 해소를 위하여 발전기 출력을 급속 억제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부하제한(負荷制限, Load Shedding)
전력계통 고장시 안정도의 유지 또는 설비의 과부하 해소를 위하여 건전한 전력계통이 지속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시스템을 활용하여 일부 부하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수급평형의 유지를 위해 저주파수계전기 또는 급전지시에 의해 수동으로부하를 차단할 수도 있다.
첨두부하이동(尖頭負荷移動, Peak Shift)
전력계통의 수요가 변동되는 것으로 그 첨두부하가 계절별, 기후별, 생활수준 변동에 따라 다른 시간대로 이동되는 것을 뜻하며, 예를 들면 전력계통에 있어 공급력이 부족한 경우에 최대부하시 부하를 경감하기 위하여 특정 수용가에게 의뢰하여 Peak시 사용을 억제하고 비Peak에서 사용토록 하는 것이 있음.
전력수급조정(電力需給調整, Demand and Supply Adjustment)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사용제한(電氣使用制限, Demand Restriction on Electric Power)
전력계통에서 공급력이 부족한 경우 전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다.
직렬콘덴서 (直列콘덴서, Series Capacitor)
전압강하의 개선, 안정도 향상, 루프계통의 조류분포 제어를 위해 장거리 송전선로와 직렬로 설치한 콘덴서이다.
제동저항기 (制動抵抗器, Damping Resistor)
고장발생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상 발전소 인근 단자에 연결하는 저항기이다.
중앙급전발전기(中央給電發展機)
중앙급전장치(EMS)로부터 급전지시를 받고 이에 응동할 수 있는 단위 발전기를 말한다.
전력시장운영규칙상에서는 “전기사업법 제9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개시 신고를 한 발전기 중 용량이 20MW를 초과하는 1기 발전기” 또는 “집단에너지사업자 가 보유한 발전기로서 용량 20MW 이상인 1기의 발전기”로 정의한다. 다만, 대체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는 중앙급전발전기에서 제외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DA설비(SCADA設備) (0) | 2017.02.22 |
---|---|
열병합발전 (0) | 2017.02.22 |
표준주파수 (0) | 2017.02.22 |
설비이용률 (0) | 2017.02.22 |
첨두부하 (0) | 2017.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