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드레스 체크(Address Check)

CPU가 실행할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읽어주며 어드레스가 정확한지 체크한다.

CPU가 잘못된 어드레스를 지정하면 응답이 없다.

 

Watch Dog Timer

CPU가 일정간격으로 프로그램 상에서 정해진 Point에서 Timer에 신호를 출력하여 주므로 프로그램의 정지, 폭주 등을 감시한다.

 

정정치 불일치 Check

다중화된 정정치 메모리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체크한다.

 

롬 검사(Rom Check)

미지 고정 프로그램에서 연산을 실행해 소정의 연산결과로 얻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출력접점 검사

최종 출력접점 또는 트립지령 계전기 접점이 오동작 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출력부 검사

최종 출력접점 또는 트립지령 계전기 접점을 강제적으로 동작시켜 출력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고압배전계통

배전용변전소의 주변압기에서 인출되는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고객단에 위치한 주상변압기까지를 말한다. 보통 22.9kV 34선식으로 공급되며, 고압 배전선로와 전주, 보호기기, 배전용변압기 등으로 구성된다. 일부 도서지역은 6.6kV 33선식으로 공급되고 있다.

 

저압배전계통

배전용변압기 이후의 전력계통으로서 보통 전등용과 동력용으로 나눈다. 전등용은 12선식 220V, 동력용은 34선식 380V로 공급되고 있다.

 

배전선로 (配電線路, 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는 발전소, 변전소 또는 송전선로로부터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거치지 아니하고 전기수용장소에 이르는 전선로를 말한다. 이 배전선로를 이용해서 직접 고객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배전이라고 한다.

배전선로는 먼 거리까지 대용량전력을 송전하는 선로와 는 달리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는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송전선로에 비해 전압은 낮고 전선로는 짧지만, 배전용 변전소에서 인출되는 회선수가 많고 각각의 회선은 전선로의 간선과 많은 분기선으로 복잡하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배전간선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전송된 전기를 도중 또는 말단까지 주된 부하를 공급 하는 배전선을 말한다.

 

배전분기선

배전간선으로부터 분기한 배전선을 말한다.

 

회 선 (回線, Feeder)

발전소 또는 변전소 인출구에 설치된 배전선용 차단기 또는 개폐기를 갖는 배전선로의 단위를 말한다.

 

배전전압 (配電電壓, Distribution Voltage)

배전선로의 정격전압을 의미하

 

전압강하율 (電壓降下率, Percentage Voltage Drop)

송전단과 수전단 간의 전압의 차이, 즉 선로전압 강하를 수전단 전압으로 나누어 %로 나타낸 것을 이른다.

 

배전선로 분할 및 연계 (配電線路分割連繫)

분할은 선로고장 발생 시 정전범위를 축소하기 위하여 구분개폐기로 적당한 구간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계는 그 분할 구간에 대하여 공급여력을 갖고 있는 인접 배전선과의 연계선을 통해 역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 배전선로는 3분할 3연계를 기본으로 운영하고 있다.

 

가공배전방식 (架空配電方式, Features of Overhead Distribution System)

전주를 이용하여 전선, 주상변압기 등을 전주 위에 설치하는 배전계통 구성방법이다. 이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건설비가 저렴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 상태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 바람, 태풍 등의 직접적인 영향

(2) 자외선으로 기자재들의 수명에 악영향

(3) 미관 측면에서 부정적 작용

 

전주 (電柱, Electric Pole)

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물로, 콘크리트전주, 강관 전주, 철주 및 철탑 등이 있다.

 

콘크리트전주 (Concrete Pole, CP)

철근과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든 전주로, 중심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근입부분에 근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며, 몸체에는 접지선 사용을 위한 인입구와 인출구가 있고. 규격에 따라 정해진 수의 발판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멍이 좌우로 배열되어 있으며 완철을 설치할 수 있는 구멍들도 갖추고 있다. 콘크리트전주 말구의 직경은 190mm이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직경은 1/75의 비율로 증가한다. 설계하중에 따라 일반용, 중하중용, 고강도용으로 구분하고 있다.

 

배전용 강관전주 (Tubular Poles for Distribution Lines)

강관을 단일재로서 만들어지고 있는 전주. 콘크리트전주에 비해 약간 값이 비싸지만,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쉬운 것이 특징이다. 배전용 강관전주는 일반형, 컬러형, 곡선형 등이 있다. 강관전주는 콘크리트전주의 운반이 어려운 곳, 콘크리트전주로 강도 및 길이를 얻기 어려운곳, 환경친화적인 설비구축이 필요한 곳, 지상의 장애물 또는 지하 매설물로 콘크리트전주의 시설이 어려운 곳에 사용된다.

 

배전용 철주 (Steel Post)

배전용 철주는 4개의 다리의 주각으로 구성되며 각 주각은 하나의 공통기초를 공유한다. 각 주각 사이는 완철이나 형강 등으로 연결되어 작은 4각형의 기둥모양으로 제작한 지지물을 지녔으며, 일반적으로 근개(각 다리의 지표면상 거리)가 작다. 하천이나 계곡 등 장경간 개소나 특수한 장소에서 콘크리트전주로는 필요한 강도나 길이를 얻기 어려운 경우나 공사상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배전용 철탑 (Steel Tower)

완철이나 강관을 사용하여 별개의 기초를 갖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된 조립 구조물로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강도와 상정하중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시설된 철탑을 말한다. 근개가 커서 상대적으로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한다. 원칙적으로 지선의 보강을 요하지 않는다. 배전철탑은 철주 이하의 지지물로 필요한 길이나 강도를 얻기 어려운 장소에 사용한다.

 

발판볼트 (Step Bolts)

지지물의 승주를 위해 콘크리트전주 등에 설치하는 볼트를 말한다. (규격 : M16×160mm)

 

전주번호찰 (電柱番號札, Number Plates for Electric Pole)

배전선로의 전산화 전주번호 및 전주일련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지표상 1.82.0m 높이에 전주표면에 완전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전주도색판 (電柱塗色板, Pole Guard Plates)

차량충돌 예방 및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를 목적으로 전주 하단에 부착하는도색판을말한다.

 

콘크리트 근가

(根枷, Concrete Anchor Blocks)

전주나 지선의 맨 하단부에 전주, 지선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설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주용으로는 1.2M 근가, 지선용으로는 0.7M 근가를 사용한다. 근가는 지표면하 0.5m 깊이에 매설하고, 지반 연약장소의 경우 근가의 수를 증가하여 설치한다. 근가용 U 볼트를 사용하여 전주에 근가를 체결한다.

 

전주 근입 (根入, Electric Pole Penetration)

전주 중 땅속에 들어가는 부분을 말한다.

 

지선 (支線, Guy Wire)

지지물의 절손, 도괴, 및 경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물과 지지물간 또는 지지물과 지선근가간을 연결하는 선을 말하며, 주로 아연도강연선이 사용된다. 지선은 사용목적이나 형태에 따라 보통지선, 수평지선, 공동지선, Y지선 및 궁지선으로 분류하며 전주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인류지선, 각도지선, 양종지선 및 양횡지선으로 분류한다.

 

. 사용목적에 따른 형태별 분류


보통지선

전주근원으로부터 전주길이의 약 1/2 거리에 지선용 근가를 매설하여 설치하는 지선으

로서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된다.

 

수평지선

토지의 상황이나 그외 사유로 인하여 보통지선을 시설할 수 없을 때 전주와 전주간 또는 전주와 지선 주간에 시설한 지선

 

공동지선

두 개의 전주에 공동으로 시설하는 지선으로서 전주 상호 거리가 비교적 접근해 있을 경

우에 시설

 

Y지선

H주일 때 현장여건상 전주별로 별도 보통지선 설치가 곤란하거나 1개의 지선용 근가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1개의 지선 롯드 및 근가로 2단의 지선을 부설하는 것

 

궁지선

비교적 장력이 작고 타 종류의 지선을 시설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지선용 근가를 전주 근원 가까이 매설하여 시설하며 시공방법에 따라 A형과 R형으로 구분 한다.

. 장력방향에 따른 분류

- 횡지선 : 전선로와 직각방향으로 시설하는 것

- 종지선 : 전선로의 방향으로 시설하는 것

- 인류지선: 전선로의 시작, 종단, 분기 또는 각도개소에서 전주를 중심으로 전선로의 반대 방향으로 시설 하는 것

- 각도지선 : 수평각도주에서 수평횡분력의 반대방향으로 시설하는 것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위상변이 연산  (0) 2017.02.24
시퀀스 (Sequence)  (0) 2017.02.24
자동제어 기구번호  (0) 2017.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