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켓크레비스 (Socket Clevises)
가공 배전선로에서 전선로의 수직각도가 15˚이상일 경우 경완철용 볼쇄클과 소켓아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볼아이 (Ball Eyes)
전선로의 수직각도가 15˚ 이상일 경우 현수애자와 인장 클램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스트랍 (Straps)
저압 가공배전선이나 인입선의 인류애자 지지에 사용하는 자재로 서, 인입선용과 저압선용 2 종류가 있으며 인장하중은 600kg이다.
인류스트랍 (Terminal Straps)
특고압 중성선인 알루미늄전선을 저압인류애자와 조합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한다. 인장하중이 1,200kg이므로 장경간 등 하중이 많이 걸리는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동 전선 (Copper Conductors)
도전재료로 동을 사용한 전선을 말한다. 동 전선의 종류로는 경동연선(WO전선),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전선), 저압 수밀형 비닐절연전선(OW-W전선), 특고압 수밀형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동전선(OC-W전선), 인입용 비닐절연전선(DV전선) 등이 있다.
• 경동연선(WO전선)
경동선으로 된 여러 가닥의 소선을 꼬아서 합친 전선으로 염해지역 특고압 중성선, 도심지의 특고․저압 공용중성선에 사용된다. (공칭단면적 종류 22, 38, 60, 100, 150㎟)
•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전선)
경동선을 도체로 하여 폴리염화비닐수지(PVC)로 피복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저압 전압선 및 주상변압기 2차인하선으로 사용된다. (공칭단면적 종류 22, 38, 60, 100, 150㎟)
• 저압 수밀형 비닐절연전선(OW-W전선)
빗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체와 도체의 틈, 도체와 절연체의 틈을 컴파운드로 충진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공단 등 오손지역 저압 전압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칭단면적 종류 22, 38, 60, 100, 150㎟)
• 특고압 수밀형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동전선 (OC-W전선)
절연체로 가교폴리에틸렌(XLPE)를 사용하고, 빗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체와 도체의 틈, 도체와 절연체의 틈을 컴파운드로 충진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개폐기 인하선, 염진해지역 특고압 전압선으로 사용된다. (공칭 단면적 종류 38, 60, 100, 150㎟
• 인입용 비닐절연전선(DV전선)
600V 이하의 주로 가공 인입선에 사용하는 염화비닐수지로 피복된 다심의 절연전선을 말한다. 대부분 소선직경 3.2mm를 사용하며, 접지측은 녹색, 전압측은 흑색, 청색, 회색으로 구분한다.
강심 알루미늄 연선 (ACSR)
알루미늄 선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심에 강선 또는 강연선을 넣은 전선이다. 기계적 강도는 강심에 의해, 전기의 전도는 알루미늄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로 가공 송전선, 배전선로 특고압 중성선으로 사용된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97, 160, 240㎟)
알루미늄피복 강심 알루미늄 연선(ACSR/AW)
알루미늄으로 피복된 강심을 사용한 전선으로 ACSR 전선과 규격 및 인장하중 등은 동일하며, 전기저항이 ACSR 전선에 비해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97, 160, 240㎟)
특고압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ACSR-OC)
ACSR 전선을 가교폴리에틸렌(XLPE)으로 피복한 절연 전선을 말한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160㎟)
알루미늄 피복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 (ACSR/AW-OC)
ACSR/AW 전선을 가교폴리에틸렌(XLPE)으로 피복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ACSR-OC 전선과 가격이 거의 동일한 반면 내부식 특성이 우수하고 손실감소효과가 있어 특고압 배전용 전선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160, 240㎟)
트래킹억제형 수밀 알루미늄피복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ACSR/AW-TR-OC) 절연층과 외피를 분리한 2중구조를 채용하여 절연 성능과 트래킹 성능을 기존전선에 비해 향상시켰으며, 도체의 수밀구조 채용으로 수분침투에 따른 단선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전선이다. 트래킹 성능 약 2배, 절연성능은 50%정도 향상된 제품으로 오손등급 B이상 및 트래킹발생 우려지역의 특고압 전선으로 사용된다. (공칭단면 적 종류 58, 95, 160, 240㎟)
전선 소요량 (電線所要量)
전선을 가선시 실 소요량은 선로가 평탄할 때 선로긍장과 전선조수의 곱에 10%를 가산하며, 장경간이거나 선로의 고저가 심한 경우 등 특별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전선 철거시에는 선로긍장과 전선조수의 곱으로 산정한다.
전선 이도 (弛度, Dip)
전선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알루미늄선용 분기스리브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의 알루미늄전선 상호간 또는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의 접속개소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주로 사용되는 개소는 본선과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잠바선 또는 분기선의 접속, 알루미늄 저압본선과 변압기 2차 인하선의 접속, 기기류의 리드선 접속, 알루미늄 중성선과 완철 접지선의 분기 접속 등이다.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을 접속할 경우 동선은 알루미늄전선 하단에 위치시켜 접속하여야 한다.
알루미늄선용 보수스리브
알루미늄전선 표면에 경미한 손상(전체 소선 중 10% 미만 소선절단)을 받았을 때 전선강도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자재이다. 보수스리브에는 도전성 컴파운드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컴파운드를 충분히 도포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압축형 이질금속 스리브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의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재이
다.
분기 접속용 동스리브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에서 동선과 동선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재이다.
알루미늄 접속 컴파운드 (Compound)
내열성이 높은 광유계의 그리이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전기적, 기계적 접속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입자와 마찰강화제, 산화방지제 등 무기물로 제조된 제품이다. 컴파운드를 사용함으로써 접촉면의 산화피막 생성을 방지하고, 접속부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도전성을 향상시키며,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전선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컴파운드를 바르기 전에 알루미늄전선의 산화피막을 알루미늄 브러시로 제거하여야 한다.
절연관통형 커넥터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저압 가공선로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피복동선 사용개소에서 절연피복을 벗기지
않고 본선과 본선, 본선과 분기선을 직접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자재이다. 절연관
통형 커넥터 사용 시 저압선의 간편한 접속시공 및 접속개소의 완벽한 절연보강이 가능하다. 주상변압기 2차 인하선과 저압선(OW전선)과의 접속점, 저압선과 인입선의 접속점, 기타 분기개소 접속점에 사용된다.
이중절연 자기융착 테이프 (Two-layer self bonding insulating tape)
가공 및 지중 배전선로의 전선 및 케이블의 접속부에 절연이나 방수용으로 사용하는 테이프이다. 재질은 점착성있는 부틸고무와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인드리스 LP카바
22.9㎸-y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절연전선을 라인포스트애자에 고정 시 바인드선 대신에 사용하는 절연커버로서 염진해지역, 태풍다발지역 등에 사용된다.
①바인드레스 LP커버 ②밴드 ③볼트 ④절연연결관
충전부 절연커버 (Insulated cover for charging part)
절연전선을 사용한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충전부의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재이다. 재질은 폴리에틸렌 혼합물 및 합성고무 혼합물이며, 건조 내전압 30kV/1분, 주수 내전압 20kV/1분, 흡수율 0.01% 이하, 내한성 및 내열성, 내트래킹성, 내후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절연커버 종류 및 적용개소는 아래표와 같다.
시설물 이격거리 (離隔距離, Separation distance)
기상, 이도 등 예상되는 최악 조건하에서 전선로와 다른 시설물 또는 식물 등과 이격되어야 할 규정된 최단거리를 말한다.
보호선 및 보호망 (Guard wire & Guard net)
특고압, 고압 또는 저압 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전선이나 광섬유케이블, 안테나, 삭도, 교류전차선 또는 가공송전선과 교차․접근하는 경우에 전선이 튀어오르거나 늘어짐으로써 발생하는 혼촉에 의한 위험전압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하는 것을 말한다. 보호선은 인장강도 8.01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5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한다.
주상변압기 (柱上變壓器, Pole Transformers)
전주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변압기를 말하며, 1차정격전압 13,200V, 2차정격전압 230V의 변압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변압기의 내부구조는 철심, 1차권선, 2차권선, 탭 절환기 등이 있으며, 외부에는 방압밸브와 방열판, 부싱단자, 접지단자 등이 있다. 철심은 일반적으로 규소 강판을 사용하며, 권선용 도체는 전기동, 절연유는 광유를 사용하고 있다.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Amorphous Core Type Pole Transformers)
아몰퍼스 변압기는 지금까지의 변압기 철심소재인 방향성 규소 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던 방식을 탈피하여 철(Fe), 붕소(B)와 규소(Si)의 혼합물을 용융 후 급속 냉각으로 불규칙한 원자배열 구조를 갖는 Amorphous Metal을 철심 소재로 사용하여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발생하는 무부하 손실을 기존 규소강판 변압기에 비해 1/5수준으로 줄인 획기적인 제품이다. 아몰퍼스변압기는 저손실 변압기 대비 철손을 70%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가격은 약 30% 더 비싸다.
보호장치 내장형 주상변압기 (Self Protected Type Pole Transformers)
보호장치 내장형 변압기를 흔히 CSP변압기라고 부르며. 특고압 가공케이블 ABC가 시설된 지역에서 사용하는 변압기로 내부에 유중피뢰기 및 1차측 차단기가 내장되어 있고 이물질이 접촉되어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종류로는 접속함식과 단말처리식이 있으며 접속함식은 1차인하선 2.5m 을 별도로 접속하고, 도심지에서 주로 사용하며, 단말식은 산악지 등에서 1차인하선 또한 변압기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주상변압기 행거밴드 (Hanger Bands for Pole Transformers)
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자재로 상부용과 하부용이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 2017.02.24 |
---|---|
가공지선 (0) | 2017.02.24 |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 2017.02.24 |
지선 (支線, Guy Wire) (0) | 2017.02.24 |
위상변이 연산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