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고압용 COS (Cut Out Switch)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가지고 있어 변압기 1차측 또는 단상 분기선로 의 개폐 및 보호장치로 사용되는 자재이다. 과전류에 의해 퓨즈 용단시 퓨즈 홀더가 자동 탈락하는 구조이며, 퓨즈링크의 용단특성은 ANSI/NEMA에서 K(Fast) T(Slow) Type으로 구분하는데 한전에서 는 K Type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퓨즈링크는 변압기의 과부하 보호보다는 내부의 혼촉 사고 시 계통으로 부터 고장을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COS 몸체 재료로 자기제를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 폴리머를 사용한 COS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고압 퓨즈링크 (Fuse Link for 22.9kV)

COS 퓨즈홀더에 삽입하여 변압기 권선단락과 같은 고장 발생와 과부하시 용단되도록 만든 것이다. 변압기 용량에 적합한 사양의 퓨즈링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퓨즈링크 정격전류 1, 2, 3, 5, 8, 10, 15A)

 

내오손용 결합애자 (耐汚損用結合碍子)

염진해 오손지역에서 특고압 COS 또는 피뢰기의 절연성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이들과 완철 중간에 설치하는 애자를 말한다. 재질에 따라 자기제와 PVC제 결합애자로 구분한다.

 

분기고리 (Stirrup)

고압 및 특고압 배전선과 변압기 1차 인하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력선에 압축 접속하

는 자재이다

 

활선클램프 (Live-Wire Clamps)

특고압 배전선으로부터 주상 변압기 1차 인하선을 분리 및 연결시 활선작업이 가능토록

분기고리에 설치하는 클램프를 말한다.

 

배전용 자동 전압조정기 (Distribution Step Voltage Regulator)

22.9-y 장거리 배전선로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전전압을 자동 조정함으로써 선로 말단 전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주상용 기기를 말한다.

 

식물성절연유 (Natural Ester, Vegetable Oil)

, 옥수수 등 식물씨앗에서 추출한 천연에스터로 90년대 중반부터 개발되어 주로 북미지역 전력회사에서 사용중에 있으며, 기존 광유(Mineral Oil)에 비하여 생분해도가 높아 환경친화적이며 발화점/인화점이 높아 난연성능이 우수함

생분해도(Biodegradation) : 세제, 비누 등 유기질이 무기질(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정도를 나타냄

 

극성시험 (極性試驗, Polarity test)

변압기의 극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변압기의 극성에는 감극성과 가극성이 있으며, 감극성을 표준으로 한다.

 

변압비(권수비) 시험

변압비 시험은 변압기 1, 2차 코일의 권수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디지탈 권수비 오차 시험기를 사용하여 전압 Tap별로 측정한다. 변압비의 허용오차는 지정 변압비의 ±1/250 이다.

 

무부하전류 및 무부하손실

(無負荷電流, 無負 荷損失,No-load current & No-load loss)

변압기의 손실은 부하전류의 대소에 관계없는 무부하손과 부하전류에 관계되는 부하손이 있다. 무부하손은 철심중의 히스테리시스손이나 와전류손 즉, 철손과 여자전류에 의한 저항손과 절연체 중의 유전체손이 있으나 대부분이 철손이다.

부하손은 부하전류에 의하여 권선에 발생하는 저항손 즉, 동손과 누설자속에 의하여 권선, 조임금구, 외함 등에서 발생하는 표류부하손이 있으며, 동손이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이때 철손과 동손을 제외한 손실은 매우 작기 때문에 철손과 동손의 합을 전손실 이라 한다. 변압기에 전압을 가하면 변압기 철심에는 교번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여자전류가 흐른다, 자속의 방향이 반대방향때마다 철심 내에 남아있는 잔류자기를 없애기 위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 이 손실의 유효분이 무부하손에 대응되며, 그의 대부분이 철손이다. 또한 무효분은 철손의 자화에 대응되며, 이것이 히스테리시스 손실이다. 이히스테리시스손의 크기는 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loop)내의 면적과 같다. 변압기의 무부하손

중에는 실제로 철손 이외에 동손과 유전체손도 포함되어있으나 이 손실은 대단히 작다. 5%의 여자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동손은 순환전류가 없는 것으로 한다면, 전부하시에 있어서 1차 권선의 0.25%정도로 무시할 정도이다.

 

누유 시험 (漏油試驗, Oil leak test)

온도가 충분히 상승된 상태(포화상태)에서 압력을 가하여 내부압력 0.5/상태로 누유여부를 시험하는 것으로, 상부카바와 외함사이, 1차붓싱과 카바사이, 2차붓싱과 외함사이의 패킹부분등에 대하여 관찰한다.

 

단락강도 시험 (短絡强度試驗, Short circuit strength test)

변압기 부하측 단락(short)고장 발생시 고장전류에 의한 변압기 내부의 기계적, 전기적 강도 유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절연유 시험 (絶緣油試驗, Insulating oil test)

변압기 탱크에서 절연유를 발췌하여 화학적으로 분석하는 시험이다. 절연유는 폴리염화비페닐(Poly Chlorinated Biphenyle : PCB)이 함유되지 않아야 한다.

 

접지동봉 (接地銅棒, Ground Rods)

접지를 위해 땅 속에 묻는 금속봉을 말한다. 단순한 강봉에 동피막을 입히고 나동선을 스리브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동봉과 리드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비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대지저항률이 낮은 지역에서 매우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대지저항률이 높은 지역이나 암반지역에서는 시공시 접지봉이 부러지거나 구부러져 시공이 매우 어렵고, 아주 많은 수의 접지봉이 사용되며, 접지 성능도 크게 저하된다. 또한 부식에 의한 접지봉의 손상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접지의 수명이 매우 짧다.

 

심타용 용융아연도금 접지봉 (Hot Deep Galvanized Ground Rods)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땅속 깊이 심타 시공이 가능하며, 암석지역에서 더욱 작업성이 용이하게 만든 접지봉을 말한다. SM45C 기계구조용 탄소강재를 채택하여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며 굵기는 25로 봉이 휘어지지 않는 최적의 굵기로 산정하고, 길이는 800로 하여 암석과 접촉시 기계장치로 타격하여도 봉이 휘어지지 않는 길이이다. 접속부는 기존 커플링방식에서 나사식으로 부식되지 않도록 수밀형의 도전성 컴파운드로 충진되어 부식에도 강하다.

기초부 리드단자 타격용 핀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The Conductive Concrete Ground Rod(Plate))

또는 형상으로 고강도 시멘트에 도전성이 우수한 재료(접지저항 저감제 등)를 균일하게 혼합 제작한 것으로, 접지동봉에 비해 고가(봉 은 9.9, 판은 6.3)이며, 암반지역을 제외한 일반적인 장소에 장비(오가크레인 등)를 이용하여 굴착 시공한다.

 

완철접지 클램프 (Grounding clamp for Steel Crossarms)

배전선로용 완철에 접지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로서, 접지선을 삽입하고 너트를 완전히 조인다.

 

접지저항 저감제 (接地抵抗低減劑)

접지공사시 접지저항을 저감시켜주는 것으로 무공해성 저감제와 고강도 저감제가 있다. 무공해성 저감제의 조성재료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분산제(무기충전제), 도전성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 반응 조정제(무기염)이며, 고강도 저감제의 경우 세골재(규사)를 추가한다.

 

접지몰딩 (Ground Moulding)

접지선 노출 시공 시 접지선을 보호하기 위한 자재로 밴드고리를 이용하여 전주에 부착한다.

 

내뢰혼 (Current Limiting Arcing Horn)

배전계통에서 낙뢰 및 서지로부터 절연전선 섬락단선 및 LP 애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재이다. 본체는 ZnO 한류소자를 내장하고 Polymer Rubber로 밀봉하였으며, 링혼은 본체와 연결되어 전선과 본체 방전 전극간의 섬락경로를 형성한다. 고정부는 본체를 완철하부에 취부하여 대지에 방전경로를 형성시킨다.

 

피뢰기 (避雷器, Lightning Arrester)

교류 전력계통에서 뇌 또는 회로개폐에 의한 과전압을 제한하며 속류를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말한다. 배전용 피뢰기는 정격전압 18kV급이 사용되며, 재질에 따라 자기제와 폴리머 피뢰기로 구분된다. 자기제 피뢰기의 공칭방전전류는 2.5kA, 폴리머 피뢰기는 5.0kA이다. 특성요소로 ZnO 소자를 사용한 Gapless형 피뢰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머 피뢰기는 오손등급 B급 이상의 염진해 지역에 사용한다.

 

가공지선 (架空地線, Overhead Ground Wires)

뇌로부터 배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체 위쪽에 배전선과 평행하게 가설한 금속선을 말한다. 배전용 가공지선에 는 일반적으로 아연도강연선 22이 사용되며, 염진해 지역에서는 나경동연선 22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공지선의 차폐각은 45°이며, 가공지선 지지대에 설치된다.

 

가공지선 지지대 (架空地線支持臺, Supporter for Overhead Ground Wires)

배전선로에서 전주의 상단 끝부분과 결합하여 가공지선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자재로서,

사용용도에 따라 일반형과 편출용으로 구분한다. 편출용 가공지선 지지대는 전주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500mm 이상 이격 될 수 있는 구조이다.

 

가공지선용 인류클램프 (Deadend Clamps for Overhead Ground Wires)

내장주 또는 인류주에서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고정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이다.

 

인입선 (引入線, Service Wire)

전선로의 지지물 등으로부터 전기사용장소의 인입선 접속점에 이르는 전선을 말한다. 인입선은 전압에 따라 고압인입선과 저압인입선으로 나누어지고, 시설방법에 따라 가공인입선과 지중인입선으로 분류된다. 가공인입선으로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전선), DV전선, 600V CV 전력케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600V CV 전력 케이블 (Cross 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cable for 600V)

경동선에 가교폴리에틸렌의 절연재와 비닐보호피재로 피복한 저압용 전선으로, 저압 지중선용 또는 가공저압배전선로 및 복잡한 인입선정비를 위하여 활용하며 가공인입선의 경우 다심케이블을 사용하고 지중인입선의 경우 단심 케이블을 사용한다. 내열성 및 내약품성, 내유성이 우수하다.(공칭단면적 종류 25, 35, 70, 120, 240, 300)

 

인입선완철(Polyvinyl Chloride Insulated Drop Wires)

가옥 측 인입점에서 인입선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완철로서, 길이 500, 1000, 1500mm를 사용한다.

 

인입용 PVC 인류애자 (Polyvinyl Chloride Strain Insulators for Drop Wires)

주상 및 가옥 측 인입선 완철에 설치하여 가공 저압인입선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애자를 말한다.

 

인입선 걸이 (Hooks for Service Drop Lines)

인입선을 메신저 와이어에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열화 현상   (0) 2017.02.24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2017.02.24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지선 (支線, Guy Wire)  (0) 2017.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