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주의 건식에 대하여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1. 개 요
가. 전차선로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철주를 선로를 따라 대지에 고정시키는 것을 전철주 건식이라 한다.
나. 전철주 건식에 있어 일반적으로 고려할 주요 사항은
1) 인접 전철주간 중심 간격거리인 경간 과 전선 장력
2) 궤도 중심에서 전주내면까지 공간거리인 건식 게이지등이 있음.
2. 전철주 경간
전철주 경간과 전선장력은 풍압등에 따라 전차선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운전가능 순간풍속 30[m/s] 에서도 전차선의 위치가 집전가능하여, 전기차 운전 에 지장이 없도록 경간을 정함.
가. 표준경간 결정
1) 차량동요나 풍압등에 의해서도 전차선이 집전장치 유효범위내에 있도록 하여 이선현상을 방지하면서 경제적인 경간을 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한다.
가) 기상조건( 기온. 바람. 눈 )
나) 선로조건 ( 직선로, 곡선로등)
다) 가선방식(열차속도, 드로퍼간격)
라) 전기차 운전조건 (전차선의 높이,편위,구배)
마) 신호기 위치등
2) 그러나, 매 경간마다 위의 조건을 고려함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워 해당선로에 맞는 일반적 조건을 고려해서 이를 표준경간으로 정하여
설계 시공함.
3) 일반적 표준경간(국내)
곡선로 반지름(m) | 경간(m) |
200 초과 ~ 300 | 20 |
300 초과 ~ 400 | 30 |
400 초과 ~ 500 | 35 |
500 초과 ~ 700 | 40 |
700 초과 ~ 1000 | 45 |
1000 이상 | 50 |
1) 표준경간은 일반적 조건을 가정하여 정해진 것이므로, 특수개소( 계곡, 교량,터널등)에서는 아래와 같은 전차선의 편위영향 요소를 고려해서 경간을 조정한다.
2) 전차선 편위 영향 요소
가) 풍압에 의한 전차선 편위
나) 곡선로에서 전차선 편위
다) 가동브라켓 회전에 의한 전차선 편위
라) 지지물 굽힘에 의한 전차선 편위
마) 차량동요에 의한 집전장치의 편위
3) 이들 영향에 의한 각 편위 총합이 집전장치 유효폭 이내 유지토록 경간을 조정 한다.
4) 인접전주와의 경간의 차 지정
가) 인접전주와의 경간의 차 10m 이내(부득이할 경우 20m이내)
나) 커티너리구간의 터널 입,출구 의 표준경간은 20m
다) 터널브래키트의 표준경간 20m
3. 전철주 건식게이지
가. 건식게이지의 표시
나. 전철주 건식은 주로 선로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열차의 운전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선로를 기준으로 건축한계가 정해짐.
다. 건식게이지는 건축한계외에 세워지는 건식가능 위치이며, 궤도중심에서 건식 전 주 내면까지 공간거리를 말하며 선로의 조건에 따라 다름.
라. 건식게이지 선정
일반 성토구간의 건식게이지는 통상 3m(경부고속철도의 경우 3.235m), 역 구내에서는 3.5m 정도이며, 선로의 등급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기타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정차장 구내의 선로사이 건식의 경우
- 입환작업, 기타 구내 작업 지장이 없도록 건축한계 여유를 줌.
( 역 구내 측선 건식게이지 : 2.5m 정도 )
2) 승강장, 화물적하장에 건식하는 경우
- 승객의 승 하차와 화물의 싣고 내림에 지장이 없도록 함.
( 홈의 연단에서 1.5m 이상)
3) 인류주등 차막이 후방에 건식
- 열차의 제동거리 미확보와 같은 경우를 고려해서 10m이상 이격
4) 자동차등이 통과하는 건널목에 인접하는 경우
- 건널목 양단에서 5m이상 이격
5) 곡선로등에 설치하는 경우
- 신호기 확인에 지장이 없는 위치
6) 깍기,돋기구간에 건식하는 경우
- 배수로 외측에 건식.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류기에서 순시 과부하 내량이 큰 것을 필요로 하는 이유 (0) | 2017.03.31 |
---|---|
조가선의 설치 목적 및 조가선에 요구되는 성능 (0) | 2017.03.31 |
변전소 애자의 오손 시험법에 대하여 (0) | 2017.03.31 |
전철구조물에서 가동브라켓의 종류와 특성 (0) | 2017.03.31 |
가공전차선로에 사용되는 애자의 섬락전압 시험방법 (0) | 2017.03.31 |